96호 (2012년 1월 Issue 1)
문제 제기: 기술 혁신의 수가 많아지고 확산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혁신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뛰어넘어 신속하게 혁신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시사점: 과거의 혁신은 아이디어 발굴부터 고객 피드백까지의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뤄지는 ‘선형적 모델’이었다면 최근에는 혁신 과정의 주체들이 거미줄처럼 서로 이어진 ‘그물망 모델(networked model)’로 바뀌고 있다. 신속하게 혁신을 추진하려면 회사의 혁신 성숙도를 평가해야 한다. ‘혁신 성숙도(innovation maturity)’는
△1단계: 예측하기 어려운(unpredictable) 혁신
△2단계: 검증된(qualified) 혁신
△3단계: 다듬어진(disciplined) 혁신
△4단계: 빠르고 효과적인 혁신
△5단계: 시장 주도적인 혁신 등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더 높은 단계의 혁신으로 나아가기위해 사람 수, 연결 마디, 보상 체계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