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필자
DBR 필자와 필자의 아티클을 소개합니다.
-
파이살 후크(Fasisal Hogue)
기업가
샤도카(Shadoka), 넥스트챕터(NextChapter) 등 여러 회사를 창립한 기업가이다. 그의 최신 저서로는 『Transcend: Unlocking Humanity in the Age of AI (초월: AI 시대, 인간다움의 잠금을 해제하다』(Post Hill Press, 2025)가 있다.
-
이정흔
객원기자
객원기자
-
최상혁
NASA 랭글리연구소 수석연구원
NASA 랭글리연구소 수석연구원
인하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리건주립대에서 기계공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 나사 랭글리연구소에 입사해 지금까지 230편 이상의 연구 논문과 보고서를 발표하고 지난 2020년 한국인 최초로 나사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현재 나사 랭글리연구소에서 첨단 전자·에너지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팀을 이끌고 있으며 나사 양자기술 위원, 고위험 성공 전략 위원 등을 지냈다.
-
한형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안보팀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안보팀장
필자는 국제 무역, 경제 안보, 글로벌 공급망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경제학자다.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서 경제안보팀장을 맡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글로벌 공급망, 기술 정책, 에너지 전략, 무역 및 투자 협력 등이다.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인도 등 주요국 간 경제 협력 및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스위스 제네바 국제개발대학원(IHEID)에서 국제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
페드로 폰테스 팔카오(Pedro Fontes Falco)
리스본대학연구소 부교수
리스본대학연구소 부교수
리스본대학연구소(ISCTE-IUL)의 협상학 부교수이며 ISCTE 경영교육원의 경영학 석사 과정 공동 디렉터이다.
-
랜달 S. 페터슨(Randall S. Peterson)
런던비즈니스스쿨 교수
런던비즈니스스쿨 교수
런던비즈니스스쿨 조직행동학 교수로 같은 학교 리더십연구소의 학술 디렉터이다.
-
하미혜
삼일PwC 거버넌스센터 상무
삼일PwC 거버넌스센터 상무
필자는 연세대 경영학과 학부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양대 경영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부터 공인회계사로 일하며 삼일PwC 등에서 회계감사 및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했다. 2017년부터 현재까지 삼일PwC 거버넌스센터(구 감사위원회센터)에서 실무를 총괄하고 있다.
-
전용주
디토닉 대표
디토닉 대표
고려대에서 전기전자전파공학을 공부하던 중 일본으로 건너가 도시바와 히타치에서 아키텍트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이후 한국에 돌아와 여러 스타트업의 R&D를 이끌었으며 현대자동차의 사내벤처 프로그램으로 스핀오프해 디토닉을 창업, 대표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AI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기여한 공로로 은탑 산업훈장 및 과기부, 국토부, 행안부, 중기부 등에서 장관상을 수상했다.
-
이내형
유니버셜로봇 코리아 대표
유니버셜로봇 코리아 대표
이내형 대표는 바텍 등 글로벌 부품 기업, 공장 자동화 기업 분야에서 20년간 경력을 쌓았다.
-
김유진
서강대 경영대학 교수
서강대 경영대학 교수
필자는 서울대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Berkeley)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상하이 공과대에서 조교수를 지내다 서강대로 옮겨 국제경영 및 전략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혁신과 기업가정신이다.
-
김이나
한국서치펀드 부대표
한국서치펀드 부대표
김이나 한국서치펀드 부대표는 연세대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뒤 PwC와 베인앤드컴퍼니에서 기업의 미래 전략 수립과 디지털 혁신을 이끌었다. 이후 한국재무학회와의 협업을 통해 국가 금융기관 관련 신규 정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했으며 혜움에서는 금융 AI 에이전트 전략을 총괄하며 소상공인 자본시장의 디지털화를 주도했다. 현재는 한국서치펀드에서 중소기업 승계 문제 해결을 위한 서치펀드 모델의 국내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염정호
LG전자 AI 음성이노베이션팀 팀장
LG전자 AI 음성이노베이션팀 팀장
염정호 LG전자 팀장은 성균관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싱가포르국립대에서 건축 석사학위를 받았다. LG생산기술원을 거쳐 LG전자 UX연구소에서 UX 원칙 수립 및 AI 사용성 개선 연구를 진행했다. 현재 AI 음성이노베이션팀 팀장을 맡고 있다.
-
김면수
마인드디자인연구소 대표
마인드디자인연구소 대표
국제마스터코치(MCC, Master Certified Coach)이자 한국수퍼바이저코치(KSC, Korea Supervisor Coach)로 15년 차 전문코치다. 삼성, LG, SK 등의 대기업 리더들 및 스타트업 리더들과 함께하며, ‘의미 있는 대화’를 통해 자기다움을 실현하는 리더십을 지원해 왔다. ‘세상에 없는 자신만의 길을 걷고자 하는 사람들의 코치’라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코칭과 마음챙김을 융합한 실행 기반 코칭을 실천하고 있다.
-
전정환
커뮤니티엑스 대표·크립톤 부대표
커뮤니티엑스 대표·크립톤 부대표
필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프론트엔드개발본부장, 로컬서비스유닛장 출신으로 2015년부터 7년간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을 지내며 지역창업생태계를 조성했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크립톤의 부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 『밀레니얼의 반격』 『커뮤니티 자본론』이 있다.
-
이종민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이종민 교수는 연세대에서 경영학 학사, 국제경영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영국 레딩대 헨리 비즈니스스쿨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레딩대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연세대에서 국제경영전략, 세계경영환경론, 글로벌 비즈니스 트렌드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국적기업의 해외법인 관리, 국제경영이론, 지속가능 경영 등이며 국내외 다양한 학술 저널에 관련 연구를 활발히 발표하고 있다.
-
니콜라우스 랭(Nikolaus S. Lang)
BCG 헨더슨 연구소
BCG 헨더슨 연구소의 글로벌 리더이자 보스턴컨설팅그룹 지정학센터의 의장을 맡고 있다.
-
아담 잡(Adam Job)
BCG 헨더슨 연구소
BCG 헨더슨 연구소의 전략 연구소장이다.
-
로사 전(Rosa Chun)
아일랜드 더블린대(UCD) 스머핏경영대학원 석좌교수
아일랜드 더블린대(UCD) 스머핏경영대학원 석좌교수
로사 전 교수는 기업 평판과 기업 브랜드, 윤리 경영 전문가다. 영국 맨체스터대 경영학 박사, 맨체스터대 경영대학원 정교수, 한국인 최초 스위스 IMD 경영대학원 교수를 거쳐 현재는 아일랜드 더블린대(UCD) 스머핏경영대학원에서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가 개발한 기업평판척도(CCS)와 윤리평판도구(VECS)는 많은 언어로 번역돼 컨설팅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내부 평판과 외부 평판의 차이(Reputation Gap)가 기업의 미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며 Strategic Management Journal(SMJ),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JAMS), Harvard Business Review, Journal of Business Ethics 등 세계 유수 학회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
레이량(Lei Liang)
시안교통리버풀대 교수
시안교통리버풀대 교수
레이량(Lei Liang) 교수는 중국 시안교통대에서 경영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동 대학과 저장공업대에서 경영학 교수로 재직했다. 또한 중국 교육부 과학기술위원회 경영과학분과 과장을 지냈다. 대학 부설 XIPU 전략적 인적자원 연구원의 원장직을 겸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기업 이론, 조직 생태학, 교육 및 기술 경영이다.
-
취진자오(Qu Jinzhao)
시안교통리버풀대 교수
시안교통리버풀대 교수
취진자오(Qu Jinzhao) 교수는 중국 산둥재경대에서 경영학 학사를, 베이징이공대에서 경영학 석사를 취득한 후 10년 동안 중국 국영기업 HR 부서에서 근무했다. 이후 중국인민대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에서 각각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된 연구 관심 분야는 조직의 성과 및 발전과 연관되는 리더십 역학, 조직 내 창의성 발현 메커니즘, 고성과를 위한 혁신 프로세스 관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