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코로나19 시대 글로벌 공유 오피스 시장 분석

“불편함 콕 집어 해결” 토종 기업이 뜬다

민성식 | 310호 (2020년 12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공유 오피스 비즈니스 모델을 전 세계에 확산시킨 위워크(WeWork)가 부실 경영 논란에 이어 기업공개(IPO)에도 실패하면서 공유 오피스 모델 자체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가 확산되자 공유 오피스의 몰락을 예견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적어도 한국 토종 공유 오피스들은 코로나19를 기회로 삼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보다 한국 부동산 시장 정보 및 네트워크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는데다 한국 기업들이 원하는 오피스 환경을 더 잘 이해하고 있는 덕분이다. 게다가 재택근무, 분산 근무가 확산된 것도 오히려 기회가 됐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편리한 시스템 운영과 효율적인 회의 운영 등이 활성화하면서 ‘한국형’ 공유 오피스 비즈니스 모델은 점차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시대에도 성장하는 한국 공유 오피스

최근 위워크(WeWork)의 기업공개(IPO) 실패로 공유 오피스란 사업 모델에 대한 의구심이 커진 상황이다. 코로나19가 화두가 되다 보니 공용 공간을 함께 사용하고 커뮤니티 위주로 운영돼 사람 간 대규모 접촉이 불가피한 공유 오피스가 방역에 취약하기 때문이라는 우려가 일단 가장 크다. 실제로 위워크는 국내에서 20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나 올해 신규 출점은 단 1곳에 그쳤고 서울 본점인 을지로 지점 역시 절반 규모로 축소하고 있다.

반대로 이러한 흐름과 달리 국내 업체들은 분산 업무를 위한 거점 오피스 사용의 증가와 스타트업 붐을 타고 건재를 과시하고 있다. 패스트파이브는 2019년 18개 지점에서, 현재는 27개 지점으로 규모를 확대하고 IPO를 진행 중이다. 스파크플러스도 작년 11개 지점에서 올해 16개 지점으로 몸집을 키우면서 상장 주관사를 선정해 IPO를 준비하고 있다. 해외 공유 오피스 사업자들은 코로나로 신규 투자에 소극적으로 반응한 반면 국내 토종 업체들은 위기를 성장의 기회로 발판으로 삼아 더 큰 도약을 꿈꾸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대기업발 거점 오피스 및 스마트워킹 오피스 도입이 활발하게 논의되며 공유 오피스 업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SK, 한화 등 대기업들의 거점 오피스 체제 전환은 코로나로 인한 업무 환경 변화, 스마트워크의 보편화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위험 분산 차원이었던 거점 오피스 도입이 통근자의 출퇴근 시간 감소 및 근무지의 선택 등 노동 환경 개선까지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공유 오피스는 이러한 업무 환경 변화에 가장 적합한 운영 방식을 갖추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다. 일반 임대 오피스와 달리 여러 지점을 운영하고 있고 입주사 특성에 따라 다양한 공간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에 즉각적으로 기업의 거점 오피스 수요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9

한국형 ‘위워크’가 더 빨리 성장하는 이유

선두를 유지하던 위워크가 아직 실패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처럼 국내 사업자들이 선전하는 이유는 눈여겨볼 만하다. 부동산은 본질적으로 공간을 사용하는 산업이기에 그 나라의 문화가 깊숙이 배어 있게 마련이다. 무엇보다 토종 공유 오피스 회사들은 국내의 정세 흐름을 빨리 감지하고 유연한 조직과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지점별로 각기 다른 불편이 접수되거나 민원이 발생할 경우, 빌딩 소유자와 공유 오피스 운영자는 기존의 운영 규정을 변경해야 한다. 해외에 본사가 있는 글로벌 회사들은 아무래도 규정 변경을 위한 보고나 의사결정에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반면 국내 회사들은 국내 정서나 문화를 잘 이해하고 있어 복잡한 설명과 보고 단계 없이 즉각적으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의사소통 단계도 상대적으로 단순하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