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표 1] 한국의 주요 수출시장 비중 추이

155호 (2014년 6월 Issue 2)

박번순
- (현)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전문위원, 산업연구원(KIET) 연구원
[표 1] 한국의 주요 수출시장 비중 추이

동남아 지역의 노동 시장 관련 리스크

최저 임금 인상 경쟁, 숙련 근로자의 절대적 부족, 노사 분규 증가

갈수록 증대하는 중국과의 경쟁 압력

최근 중국이 동아시아 생산공유(production sharing)의 핵심 축으로 부상. 즉, 중국이 동아시아 시장에 대한 부품 및 중간재 공급국으로서의 위상 강화. 삼성전자의 경우 베트남에서 휴대폰을 생산하고 있지만 정작 한국에서 휴대폰 부품을 수입하는 것보다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하는 규모가 2배 이상 많은 상황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전략

고부가 제품 전략, 현지 근로자 교육 확대, 노사관계 신뢰 회복 프로그램 운영, 부품 업체에 대한 현지 투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