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그림 4] 콘텐츠와 스타일에 따라 대화의 급이 달라진다

151호 (2014년 4월 Issue 2)

허행량 허행량
허행량
- (현)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매일경제신문> 기자
-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가?>의 저자
[그림 4] 콘텐츠와 스타일에 따라 대화의 급이 달라진다

대화의 특성

즉흥성과 불확실성. 즉, 대본을 보면서 연설은 할 수 있어도 대화는 할 수 없는 것처럼 애드립(ad-lib)이 넘쳐나고 대화 결과도 예측할 수 없음.


사람들이 대화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힘쓰는 이유

자신이 습득한 정보나 지식을 활용해 남들에게 허세부리고 싶어 하는 ‘피코킹(peacocking)’이 이유.


보편적인 대화 행동 특성

대화 상대에 따라 목소리를 바꾸고 사용하는 어휘도 달라짐. 즉, 매력적인 이성과 대화할 때는 목소리를 낮춰 조용하고 침착한 말투를 사용하려 함. 또한, 남성들은 나이 많은 여성과 데이트할 때보다 나이 어린 여성과 데이트할 때 훨씬 다양하고 난해한 어휘를 사용하려는 경향을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