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그림1]Repo Haircut index

121호 (2013년 1월 Issue 2)

강형구 강형구
강형구
한양대 파이낸스경영학과 부교수

필자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버지니아주립대에서 경제학 박사 과정 수료 후 듀크대 푸쿠아 경영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리먼브러더스 아시아본부 퀀트전략팀과 액센츄어에서 재무·금융 교육 프로젝트를 담당했다. 하버드대 Edmond J. Safra Center for Ethics 리서치 펠로를 지냈으며 머신러닝 기반 핀테크 기업인 한다파트너스를 창업한 바 있다.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위원회 자문위원,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자문위원, 국정기획위원회 자문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 연구 분야는 혁신기술 금융과 기계학습(계량경제학) 빅데이터 기반 행동 재무 등이다.
hyoungkang@hanyang.ac.kr
[그림1]Repo Haircut index

유동화은행 시스템에서 예금과 대출은 주로 리포 계약을 통해 이뤄진다. 리포계약은 담보를 단기로 제공하고 ‘대출’을 받은 후 담보를 돌려받기 위해 대출원금과 이자를 갚는 계약이다. 그러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부터 촉발된 위기가 전이되면서 유동화은행 시스템에 뱅크런이 발생했다. 모기지 파생상품들은 리포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담보자산 중 하나였다. 모기지 사태는 담보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렸다. 그로 인해 예금자 즉, 리포 투자자들이 환매를 요구했고 이에 대응해 금융회사들은 리포를 회수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리포시장의 유동성이 급감하고 남은 리포계약에서도 대출자는 더 큰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결국 리포 이자율은 물론 리포계약에서 대출 대비 담보가치의 할인율(헤어컷이라고 한다)이 치솟게 된다. 헤어컷 상승은 19세기 금융위기 때 어음 할인율과 동일한 현상이다. 리포거래의 중지는 헤어컷이 100%인 최악의 유동성 위기 상황과 같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