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olumn

‘공급 과잉’ 물류센터, 위기를 기회로

정진우 | 374호 (2023년 08월 Issue 1)
“쿠팡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 얼마 전 필자의 아내가 택배 상자를 정리하면서 꺼낸 말이다. 몇 해 전부터 로켓배송, 새벽배송, 샛별배송과 같이 빠른 배송을 뜻하는 단어가 일상용어가 됐다. 쿠팡을 시작으로 컬리, 오아시스 등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들이 급격히 성장했고, 기존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 업체들 또한 서로 앞다퉈 온라인 판매와 빠른 배송 시장에 진입했다. 대형 마트를 찾아가야만 구매할 수 있었던 신선 식품들이 다음 날 새벽이면 집 앞에 놓여 있는 나라.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곳이 바로 대한민국이다.

이 같은 유통 시장의 변화는 물류 부동산 시장에도 엄청난 활기를 불어넣었다. 이커머스 공룡 기업들을 중심으로 대형 물류센터 수요가 빠르게 증가했다. 2017년 이전만 해도 약 1조 원 미만이던 수도권 물류센터의 연간 거래 규모는 지난해 6조2000억 원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건물 준공 전 장기 임차 계약을 체결하거나 아예 물류센터 준공 전부터 소유권을 사들이는 ‘입도선매’식 사례가 쏟아질 정도였다.

하지만 본격적인 엔데믹 시대에 들어서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처럼 여겨졌던 물류센터가 이젠 공급 과잉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특히 신선 식품 보관용 저온 창고 임차 시장의 큰손이었던 이커머스 업체들이 물류센터를 직접 건립하기 시작했다. 임차 수요의 한 축이 사실상 무너진 것이다. 물류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는 시장의 전망 역시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다.

하지만 이런 과잉 공급 문제가 과연 지금 처음 일어난 상황일까? 불과 10년 전만 해도 오피스 시장이 현재의 물류 시장과 유사한 상황이었다. 2012년 이후 서울 주요 권역을 중심으로 프라임급 오피스가 대규모로 공급되면서 서울 오피스 시장은 한때 약 15% 수준의 높은 공실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기회는 이 시기에 있었다. 당시 서울 오피스 시장이 장기적으로는 결국 성장할 것이라고 믿은 투자자들은 결국 투자금 대비 2배 이상의 높은 자산 가격 상승효과를 봤다.

공급 과잉에 빠진 수도권 물류 부동산 시장도 마찬가지다. 시간이 지나 시장이 안정화될 경우 견고한 펀더멘털로 인해 이내 회복할 것이다. 중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물류 부동산 시장의 성장이 멈췄다고 볼 수도 없다. 주목할 지역은 부산경상권이다. 수도권 물류 부동산 시장이 어느 정도 성숙기에 접어든 상태라면 부산경상권은 이제 막 성장 단계에 진입했다. 수도권 전역에 당일 배송 인프라를 구축한 이커머스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남하하고 있어서다. 수도권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부산, 대구, 경남, 경북이 주요 타깃이다.

부산경상권에 준공된 물류센터 연면적은 수도권 대비 약 5분의 1 수준이다. 투자 규모 역시 10분의 1 정도로 매우 낮다. 하지만 최근 투자 목적의 물류센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의 임차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투자 규모 또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식 투자 대가인 워런 버핏은 말했다. “대부분의 사람은 남들이 주식에 관심을 보일 때 흥미를 갖는다. 하지만 주식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는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을 때다. 평소엔 인기 있고 잘나가는 주식을 살 수 없기 때문이다.”

물류 부동산 시장의 위기 역시 또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장기적인 가치, 그리고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유심히 살피면서 미래를 위한 투자에 나서야 할 때다.
  • 정진우 정진우 |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리서치팀장, 경제학 박사

    필자는 중앙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미국 클리블랜드주립대에서 도시계획 석사, 한양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부동산 경제 분야 전문가다. 현재 미국계 상업용 부동산 컨설팅 회사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에서 리서치팀장으로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관한 자료 조사 및 분석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DBR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상업용 부동산 관련 강의를 진행한 바 있으며 경제학과 머신러닝을 이용해 상업용 부동산 분야의 질적인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jinwoo.jung@cushwake.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