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Editor’s Letter

여름, 청춘, 그리고 축제

김현진 | 374호 (2023년 08월 Issue 1)
여름, 축제 시즌을 맞아 최근 하나둘씩 재개된 해외 유명 뮤직 페스티벌의 라인업을 보면 ‘국뽕’이 차오릅니다. 먼저, 미국 시카고를 기반으로 매년 8월 개최되는 ‘롤라팔루자’의 올해 행사 헤드라이너(간판 출연자)는 K팝 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입니다. 올해 행사에는 K팝 걸그룹 최초로 ‘뉴진스’도 참가하게 됐습니다. 지난해 방탄소년단(BTS) 멤버 제이홉이 K팝 아티스트 최초로 헤드라이너로 무대에 오른 데 이어 2년 연속 K팝 아티스트들을 축제의 주요 출연자로 활용한 셈입니다.

한편 미국 캘리포니아주 콜로라도사막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규모 음악 축제, ‘코첼라 페스티벌’의 올해 헤드라이너는 ‘블랙핑크’였습니다. 폴 매카트니, 레이디 가가, 비욘세, 아리아나 그란데 등 이 페스티벌의 과거 라인업 히스토리만 봐도 그 명성을 짐작게 하는 무대를 장식하게 된 겁니다.

본격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팬데믹으로 파행을 겪었던 공연 및 페스티벌들이 오프라인 무대로 속속 복귀하고 있습니다. ‘축제의 귀환’ 시기에 전 세계 곳곳에서 열리는 음악 페스티벌들이 K팝 아티스트 모시기에 나선 이유를 자세히 살펴보면 ‘국뽕’을 뛰어넘어 전 세계적인 시대상을 읽을 수 있습니다.

먼저 오랜만에 무대 앞에 돌아온 관객들을 몰입시킬 만큼 화려한 ‘종합예술’을 보여줄 수 있는 아티스트로 K팝 스타만 한 출연자는 찾기 힘들 겁니다. 이에 더해 축제 내에 사회적 의미를 담는 행사가 많아진 것도 라인업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잇따라 발생한 인종차별과 혐오 사건에 대한 사회적 환기 차원에서 다양성 존중 메시지를 앞세운 축제들이 많아졌습니다. 따라서 대형 페스티벌 역시 주로 백인 남성 위주의 록밴드를 무대에 세웠던 전통에서 벗어나 다양한 인종과 장르의 음악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K팝 아티스트들의 출연은 이런 맥락에서도 의미를 갖게 된 겁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