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Business trend in Japan: 고객 마음 파고드는 ‘소셜 로봇’

안아주면 꼬리 흔들, 너 로봇 맞니?

정희선 | 348호 (2022년 07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일본에서는 특별한 기능 없이 오로지 주인과의 정서적 교감만을 위해 만들어진 소셜 로봇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꼬리를 흔드는 로봇, 간지럼을 태우면 웃는 로봇, 손가락을 반복해서 깨무는 로봇 등 소셜 로봇들은 아주 단순한 한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사람들의 마음을 파고든다. 이런 로봇의 개발 아이디어도 주로 “무슨 과제를 해결해야 하나”가 아니라 “무엇이 사람을 기쁘게 하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다. 일본의 소셜 로봇 시장 확대의 배경에는 1인 가구 증가, 고령화, 비대면 문화 확산 등이 있으며 이는 한국에서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는 사회인구학적 변화다. 이런 환경의 유사성에 비춰볼 때 국내에서도 향후 소셜 로봇의 성장 가능성, 나아가 로봇 카페, 로봇 옷 브랜드 등 여러 파생 산업의 출현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손가락을 내밀면 부드럽게 깨문다. 이런 단순한 기능을 가진 로봇이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적인 가전 전시회 CES 2022에 등장했다. 손가락을 살짝 깨무는 것만 반복하는 이 로봇은 이름부터 ‘살짝 깨물기 하무하무(甘噛みハムハム, 하무하무는 무언가 깨무는 움직임을 표현하는 일본어의 의태어)’다. 일반적으로 로봇을 떠올릴 때 기대하는 것과는 사뭇 다른 기능이다.

105


로봇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흔히 공장에서 일하는 로봇을 떠올린다. 하지만 이제 로봇은 산업 현장을 넘어 우리 일상 가까이에 침투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도 식당에서 그릇을 나르는 서빙 로봇이나 커피를 내리는 바리스타 로봇을 종종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상업 시설 및 공장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의 로봇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가정용 로봇은 크게 청소 및 요리를 도와주는 ‘가사 로봇’과 의사소통을 위한 ‘소셜 로봇’으로 나뉜다. 아직 국내에서는 가사 로봇의 비중이 크고, 소셜 로봇의 존재감은 미미하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새 일본에서는 특별한 기능 없이 오로지 주인과의 정서적 교감만을 위해 만들어진 소셜 로봇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반려동물 대신 소셜 로봇을 집에 들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소셜 로봇의 주요 특징은 로봇이 사람을 돕거나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로봇을 돕거나 돌보고 싶다고 느끼게 한다는 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소셜 로봇의 인기는 서포트를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서포트를 하기 위해 로봇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입하면 무료

  • 정희선 | 유자베이스 애널리스트

    정희선 애널리스트는 미국 인디애나대에서 MBA를 취득한 후 글로벌 컨설팅사 LEK 도쿄 지점에서 경영 컨설턴트로 근무했다. 현재는 산업 및 기업 정보 분석 플랫폼을 제공하는 일본 유자베이스(Uzabase)에서 애널리스트로 활동 중이다. 『도쿄 리테일 트렌드』,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를 출간했고 일본 트렌드 관련 칼럼을 쓰고 있다.
    hsjung3000@gmail.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