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Organizational Behavior

투명한 남녀 임금 격차 공개는 기업 평판에 유리

이용훈 | 381호 (2023년 11월 Issue 2)
Based on “The Impact of Mandated Pay Gap Transparency on Firms’ Reputations as Employers”(2022) by Amanda Sharkey, Elizabeth Pontikes, and Greta Hsu i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67(4): 1136-1179



무엇을, 왜 연구했나?

지난 몇 년간 남녀 간의 임금격차는 한국 사회의 뜨거운 감자였다. 국제노동기구 헌장에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즉 같은 일을 하는 사람은 성별, 나이, 직급에 관계없이 동일한 임금을 받아야 한다는 원칙이 명시돼 있다. 이에 따르면 같은 회사에서 일하는 남녀의 임금 차이는 평등을 추구하는 현 사회 분위기에 반할 뿐 아니라 여성의 일할 권리나 그들의 경제적 공헌을 기업과 사회가 충분히 인정해주지 못하는 현실을 방증한다.

남녀 간의 임금격차는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여성 노동권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온 서구 국가들에도 상당한 수준의 남녀 간 임금격차가 존재하며 이것이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예컨대, 2018년 영국 BBC 뉴스의 에디터인 캐리 그레이시(Carrie Gracie)는 회사의 비정상적인 남녀 임금격차를 이유로 퇴사했다. 2022년 미국 여자축구 선수들은 미국의 동등고용기회위원회(EEOC)에 임금 및 혜택의 불평등에 대한 소송을 제기해 2400만 달러의 합의를 이끌어 냈다. 미국 CNBC가 리서치 업체 모멘티브(Momentive)와 2023년 진행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이직하고 싶어 하는 여성의 절반 이상이 더 높은 임금을 이유로 삼았다.

가입하면 무료

  • 이용훈 | 텍사스 A&M대 경영대학 경영관리 교수

    필자는 고려대에서 경영/경제학 학사, 경영관리학 석사를 받고 인시아드(INSEAD)에서 조직행동(Organizational Behaviour)학 박사를 받았다. 홍콩과기대 경영대에서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미국 텍사스 A&M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혁신을 요구하는 산업에서의 네트워크, 사회적 정체성(social identity), 사회적 불평등에 관해 주로 연구한다.
    yglee@tamu.edu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