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olumn

인권경영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투자

서창록 | 377호 (2023년 9월 Issue 2)
2016년 유엔인권이사회가 개최하는 기업과 인권 포럼(UN Business and Human Rights Forum)에 참석한 적이 있다. 당시 유엔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 위원 자격으로 신기술이 인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발표를 요청받고 참석했는데 무엇보다 포럼의 규모에 깜짝 놀랐다. 전 세계에서 1000개 이상의 개인과 단체가 참석해 기업과 시민사회가 함께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지침(UNGPs)을 토대로 산업별 실사(Due Diligence)를 추진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을 하는 자리였다.

국제법에서 인권을 보호하고 존중하고 실현할 책임은 국가에 있다. 유엔인권기구들은 국가가 의무를 다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한다. 오랫동안 이런 국제인권보호 메커니즘의 일부였던 시민사회와는 달리 기업은 아직까지 인권의 주체로 여겨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그 현장에서 필자는 이미 기업이 국제 규범의 형성에 주체가 돼가고 있음을 느꼈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업은 이미 자사의 인권 정책을 넘어서 유엔인권사무소(OHCHR)와 협력 관계를 맺고 국제 인권 기준과 기업 가이드라인 형성에 깊이 참여하고 있었다.

내가 한 번 더 놀란 사실은 그런 중요한 논의 자리에서 한국 기업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는 점이다. 선진국 반열에 오른 대한민국의 존재가 이곳에는 전혀 없었다. 이 문제에 대한 국내의 인식 역시 턱없이 낮다.

지난 6월 EU공급망실사법(CSDDD)이 EU 의회를 통과하면서 인권경영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듯하다. 하지만 글로벌 공급망 속에서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진 한국 경제의 특성을 감안할 때 올해 말쯤 입법 논의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실사법이 가져올 파장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이해와 인식은 여전히 부족하다.

가입하면 무료

  • 서창록 서창록 |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 휴먼아시아 대표

    서창록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2014년부터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 및 실무그룹 위원장을 지낸 인권 전문가이다. 2020년 국내 최초로 유엔 시민적·정치적 권리위원회의 위원으로 선출됐으며 2023년부터 이 위원회의 부의장을 맡고 있다. 2010년부터 인권 전문 NGO 휴먼아시아의 대표로 활동하며 인권 연구·교육·인권기반 국제개발협력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터프츠대 플레처 법률 및 외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crsoh@korea.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