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품질의 역설

김남국 | 1호 (2008년 1월)
엄선된 경영 정보를 제공하는 동아비즈니스리뷰(DBR)는 ‘Knowledge Frontier’ 코너를 통해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는 지식 창조자들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전합니다. 세계 최고의 경영학 저널에 실린 첨단 지식은 물론이고 논문 심사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유명 경영학자의 ‘워킹 페이퍼(working paper)’ 내용까지도 이 코너를 통해 소개합니다.
 
혁신의 걸림돌 되는 품질집착
품질이 좋아야 물건이 잘 팔린다.’ 너무 당연한 명제로 들린다. ‘좋은 제품을 싼 값에 만들어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는 이론에 감히 도전장을 던질 수 있을까. 하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이런 통념에 도전하는 연구결과가 자주 발표되고 있다. 품질에 대한 강한 집착이 오히려 과감한 혁신의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다. 저명한 경영학자들이 왜 이런 주장을 할까.
 
우선 품질에 대한 집착이 혁신의 걸림돌이 된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대 와튼스쿨의 매리 베너 교수와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마이클 투시만 교수는 미국의 페인트 및 사진 산업 관련 기업의 20년 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품질경영을 잘 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ISO 인증을 더 많이 받은 기업일수록 원천 특허가 더 적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ISO인증을 획득하면서 품질 개선에 크게 힘을 쏟았던 기업들은 대부분 점진적 혁신에는 성공했지만,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만큼 위력을 가진 과감한 혁신에는 실패했다고 평가했다. ‘프로세스 개선’과 ‘과감한 혁신’ 사이에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 두 목표가 양립하기 어렵다는 이율배반적 관계를 의미) 현상이 생겼다는 분석이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 Berkeley)의 로버트 콜 명예교수도 최근 ‘캘리포니아 비즈니스 리뷰’라는 저널에 ‘호사다마(好事多魔)’정도로 번역되는 ‘Too much of a good thing?’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실었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세계 최고의 품질 경쟁력을 갖고 있는 일본 기업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정보기술(IT)처럼 시장과 환경이 급변하는 산업에서는 품질에 대한 집착이 오히려 과감한 혁신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일본 최대 통신 사업자인 NTT의 경우 통화 품질과 관련해서는 최고의 기술을 가진 업체였다. 하지만 처음으로 인터넷 기술이 소개됐을 때 NTT는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 데이터가 확실하게 전송되지 않는 등 기술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NTT는 기존 기술을 발전시킨 ATM(비동기전송모드) 방식의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열중했다. 이 서비스는 유선전화에서 발전했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인터넷 기반의 TCP/IP기술은 시간이 지날수록 급속히 발전하면서 ATM 기술을 압도하고 말았다. 자연스럽게 일본 기업들은 인터넷 장비 개발 기회를 놓쳤고 시스코 같은 미국 기업이 거대한 인터넷 시장을 독차지하고 말았다.
 
시스템통합업체인 NTT데이터의 사례도 제시됐다. 이 회사도 시스템 구축 초기단계부터 다양한 팀원들이 참여해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특유의 프로세스를 갖고 있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 시장에서 확실하게 입지를 구축했다. 시스템 구축에 시간은 다소 오래 걸리지만 안정성만큼은 최고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민간 기업의 시장 규모가 급속히 커졌다. 민간기업들은 공공기관과 달리 일정 수준 이상의 안정성만 뒷받침된다면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확장성을 갖고 있는 제품을 원했다. NTT데이터는 이런 민간기업의 요구를 맞출 수가 없었고 결국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는데 실패했다.
 
또 1989년 세계시장의 80%를 점유했던 일본 D램 업체들이 몰락한 것도 품질에 대한 지나친 집착 때문이었다고 콜 교수는 분석했다. 대형 메인프레임 컴퓨터가 사용되던 시절에는 일본 D램 업체들은 안정성과 내구성을 무기로 세계 시장의 80%를 지배했다. 하지만 개인용 컴퓨터인 PC시대가 도래하면서 내구성 보다는 높은 성능과 발 빠른 신제품 출시가 중요한 성공 요소로 부상했다. 삼성전자 등 한국 업체들은 이런 시장 변화에 발빠르게 대처했지만 일본 D램 업체들은 품질만 집착하다가 실패하고 말았다.    

가입하면 무료

  • 김남국 김남국 | - (현)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장
    -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편집장
    -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정치부 IT부 국제부 증권부 기자
    - 한경가치혁신연구소 선임연구원
    march@donga.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