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아시아 양극체제 때, 한국은?

곽동원 | 9호 (2008년 5월 Issue 2)
시나리오 플래닝의 가장 큰 목적은 미래에 발생 가능한 모든 현상을 염두에 두고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력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기업이 미래 불확실성에 대해 염려하면서도 사실상 ‘대세’라고 믿어지는 현재의 현상 그대로, 그것도 지금까지 지속돼온 방향성이 미래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전제 아래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래 불확실성을 단순히 걱정만 하는 기업과, 다양한 가능성을 모두 검토하여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기업의 경영성과는 매우 큰 차이가 난다. 또 결정적인 순간에는 정반대의 운명을 맞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업의 책임 있는 경영자라면 이른바 ‘대세 (mega-trend)’를 좇는 것이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항상 대세를 ‘뒤집어’ 생각해보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이와 관련, 최근 한국 경제계에서 가장 큰 메가 트렌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중국과 인도의 경제 발전이 주는 시사점에 대해 생각해보자.
 
1990년대 이후, 특히 21세기 들어 신흥 경제대국인 중국과 인도는 세계 경제의 핵심 성장 엔진으로 부상했다. 이 두 국가는 공통적으로 거대한 영토와 천연자원, 막대한 인구와 거대 시장을 바탕으로 세계 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AT커니가 조사한 2007년 해외직접투자(FDI) 매력도에서 나란히 1, 2위를 차지하는 등 무서운 속도로 경제성장을 구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제 성장의 결과가 다시 이들 나라 소비자의 구매력 증대로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도 형성돼있다.
 
중국과 인도 경제의 부상에 관련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대세론’은 대략 다음과 같다.
- 베이징 올림픽 이후 경기 침체에 대한 일부의 우려에도 중국은 고속성장을 지속할 것이며, 2020년경 미국 경제규모를 추월해 세계 최대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다.
- 인도 역시 그 동안 전 세계 서비스, IT 산업 공급기지로서의 경쟁력에 제조업 경쟁력까지 강화돼 중국과 더불어 세계 경제의 핵심 축으로 대두됨. 이를 위해 인도는 미국, EU, 중국 등 다양한 경제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한층 증진시켜 나아갈 것이다.
- 이러한 경제 발전 과정에 수십 년간 지속돼온 중국과 인도 양국간 정치적 긴장은 양국의 경제적 필요에 따라 완화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이 대세론의 예측대로만 전개된다면 중국과 인도에 이미 진출한 기업은 비즈니스 규모를 키워야 한다. 아직 진출하지 않은 기업이라면 하루빨리 반드시 이 지역을 공략해야 할 것이다. 또 대세론을 따라 한국 기업들이 중국과 인도에서 각 나라별로 사업 기회만 잘 파악한다면 큰 성공을 거둘 수도 있다. 하지만 만약 대세론에 미처 반영되지 않은 가능성이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대세론을 믿고 여기에 맞춰 전략을 수립한 기업들은 재앙을 경험할 수도 있다. 사실 필자는 얼마나 많은 기업이 대세론과 다른 방향의 시나리오 발생 가능성을 심도 깊게 고민하고, 그에 기초해 전략적 의사결정을 하고 있는지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신흥 경제대국의 갑작스러운 부상에 따른 세계 경제 역학관계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기업이 과연 한국에 몇이나 있을까?
 
우선 현 대세론의 허점부터 찾아보자. 위의 대세론에는 중국과 인도 외에 다른 국가들의 존재, 그리고 다자 국가의 입체적 역학관계에 대한 진지한 고민 등이 빠져있다. 그중에서도 현실적 영향력이나 역학관계 측면에서 그 비중에 비해 가장 간과되고 있는 국가가 바로 일본이다. 한국전쟁 이후 아시아 경제의 확고한 맹주로 군림해왔고, 1980년대에는 세계 경제의 차기 리더로 거론되던 일본 경제가 1990년대의 장기 침체와 중국 경제의 부상에 가려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멀어지고 말았다.
 
만약 일본을 고려한다면, 어떤 새로운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까? 중국 경제규모가 올해 일본을 앞설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아시아 경제권 맹주의 자리를 위협받고 있는 일본은 어떤 전략적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일본의 관점에서 최선의 선택은 공동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믿을 만한 파트너를 찾는 것이다. 일본이 보기에 현재 최대 동맹국인 미국은 지리적으로 멀 뿐 아니라, 힘에 부치는 일방외교를 펼치다 국제사회에서의 스스로 리더십을 약화시켜버린 파트너라는 단점이 있다. 또 EU 주요국들도 경제적 이해관계 때문에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일본으로서는 여러 나라 가운데 인도가 매우 매력적인 경제·정치적 동맹국이 될 수 있다.
 
만약 일본이 인도와의 적극적 경제관계를 기반으로 대(對)중국 대응 세력을 결집한다면, 향후 아시아 경제권은 중국의 일극 체제가 아닌 양극 체제로 변화해갈 수 있다. 즉 일본-인도 동맹이 중국을 견제하는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일본과 인도의 협력은 ‘사무라이-스와미 동맹(Samurai-Swami Partnership)’으로 불린다. 스와미(Swami)는 인도의 성(姓) 가운데 하나이며 성인 혹은 연장자를 부를 때에도 사용하는 단어다.
 
이 가정의 실현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다음과 같은 여러 관점을 통해 점검해볼 수 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