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mini box I: 지속가능성 위한 2가지 전략

공급망 다변화하고 ‘글로컬’ 전략 강화해야

류주한 | 378호 (2023년 10월 Issue 1)
급변하는 국제 환경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대응하는 기업의 역량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미·중 패권 경쟁은 정치적, 군사적 긴장을 넘어 미국의 대중국 기술 및 광물 규제로 공고화되는 모습이다. 이처럼 지정학적 위험 요인이 도사리는 최근 글로벌 산업 환경에 우리 기업이 체감하는 불확실성은 배가되고 있다. 지정학적 흐름을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적극적인 위험 관리 전략을 세우지 않으면 미래의 사업 성장과 성공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기존의 글로벌 비상 운영 체계만으로는 부족하다. 국제 정세를 파악할 수 있는 기업 고유의 시각을 기르고 적합한 대응 전략을 짜야 한다. 현재 기업이 직면한 글로벌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 다음 2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미·중 간 긴장은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우리 기업은 이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국에 집중된 공급망이 얼마나 큰 불확실성을 초래하는지 경험했다. 미·중 갈등으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은 우리의 공급망을 다변화할 기회이기도 하다. 공급망 분산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지역으로 생산과 배분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중국에서 즉시 철수하는 것은 최선의 방법이 아니며 제조업체의 경우 중국 지역의 공급망 규모를 축소하며 생산 및 판매를 강화할 수 있는 한국 인근 지역을 공급망 기지로 모색해야 한다. 이미 많은 서구 기업은 중국 없이도 중요한 투입물이나 민감한 수출품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니어쇼어링i 과 프렌드쇼어링ii 을 늘리고 있다. 이런 추세는 향후 수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멕시코 몬테레이에 대규모 생산 시설 건설을 계획한 테슬라(니어쇼어링), 미국 전기차, 2차전지 부문에 대한 국내 대기업들의 대규모 직접투자(프렌드쇼어링)가 대표적인 예다.

GettyImages-972733814_[변환됨]

가입하면 무료

  • 류주한 류주한 |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 유치, 해외 직접투자 실무 및 IR, 정책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국내외 학술 저널 등에 기술 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비시장 전략, PMI, 그린 공급망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jhryoo@hanyang.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