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New Biz Books

디자인 딜레마 外

최호진 | 393호 (2024년 5월 Issue 2)
9788934910817


디자인 딜레마

윤재영 지음 · 김영사 · 1만7800원

놀이동산에서 돈을 더 내고 익스프레스 티켓을 사면 긴 줄을 서지 않고 빠르게 놀이기구를 탈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두고 불공정하다며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비슷한 맥락이지만 상황이 달라지면 사람들의 반응도 달라진다. 놀이동산에서 돈을 더 내고 입구에서 가까운 주차장에 주차한다면 더 빠르게 입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서비스에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놀이동산이라는 같은 장소에서 똑같이 서비스 등급을 나누고 돈으로 시간을 사도록 했지만 주차는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유튜브는 돈을 더 지불하면 콘텐츠를 시청하기 전에 봐야 하는 광고를 없애주고, 웹툰은 다음 화를 기다리지 않고 미리 볼 수 있게 해주지만 이런 서비스를 두고 불쾌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데 왜 유독 놀이동산의 익스프레스 티켓에 대해서는 불평하는 사람이 많을까?

그 원인은 ‘줄 서기’에 있다. 일등석 구매자를 위한 창구가 따로 없고 대기 줄이 하나만 있다고 가정해보자. 일등석 구매자가 왔을 때 대기 줄의 맨 앞에 세워준다면 뒤에서 기다리던 사람은 불쾌할 수밖에 없다. 안 그래도 오랜 시간 기다리고 있는데 늦게 공항에 도착한 일등석 티켓 구매자가 내 앞에 서면 새치기당하는 기분일 것이다. 이처럼 같은 성격의 서비스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소비자가 느끼는 기분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그렇다면 고객을 배려하는 줄 서기 경험은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까? 홍익대 디자인학부 교수인 저자는 ‘예약’ 개념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익스프레스 티켓을 예약제로 한정 판매하고, 놀이기구의 일부 좌석을 예약석 개념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익스프레스 티켓 소지자들은 더 부지런히 노력해 예약한 사람들이기에 일반 소비자도 어느 정도 납득하며 불쾌감을 덜 수 있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소비자의 활동 영역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온라인에서 가상현실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말하지 않아도 필요한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고, 가상현실을 체험하고, AI 비서를 활용하는 시대가 됐지만 편리함과 동시에 사용자를 불쾌하게 만들고 윤리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선을 넘는 디자인’도 늘어나고 있다. 저자는 사회 전체가 이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함께 고민해 디자인의 윤리적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철학과 윤리, AI와 게임 등 여러 분야를 넘나들며 일상 속에 숨겨진 ‘디자인 딜레마’를 다뤘다.



9788901280424

아이디어 물량공세

제러미 어틀리, 페리 클레이반 지음 ·  이지연 옮김 · 리더스북 · 2만3000원

다이슨을 청소기 시장의 승자로 만든 ‘먼지봉투 없는 청소기’는 시제품 5127개를 만든 끝에 탄생했다. 유명 타코 프랜차이즈 타코벨은 히트작인 ‘도리토스 로코스 타코’를 출시하기까지 2000여 개의 레서피를 실험했다. 그물을 넓게 칠수록 대어를 낚을 확률이 높아지듯 비즈니스도 마찬가지다. 탁월한 솔루션은 신중하게 고안한 아이디어 한두 개가 아닌 어마어마한 양의 아이디어 속에서 태동한다. 각각 스탠퍼드대 디스쿨 교수 및 구글, 애플 등 글로벌 공룡 기업의 혁신 멘토로 활동 중인 저자들은 ‘소수 정예’의 아이디어를 골라서 내놓는 것이 오히려 조직의 창의성을 깎는 최악의 선택이라고 말한다.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자극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홍수처럼 쏟아내는 법을 소개한다.



XL

기업의 세계사

윌리엄 매그너슨 지음 · 조용빈 옮김 · 한빛비즈 · 2만2000원

기업의 원형으로 볼 수 있는 고대 로마의 단체 ‘소치에타스’는 나라가 커져 중앙 통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로마 정부의 일을 나눠 맡아 세금을 징수하고, 도로망을 구축하고, 수도관을 건설하며 시민의 삶을 개선했다. 그러나 이들이 가진 힘이 강해지면서 본래의 목적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질된다. 그들은 법망을 피해 시민들을 노예로 삼고 사기를 일삼았다. 기업의 폐해는 결국 로마의 몰락을 앞당겼다. 현대사회에서도 기업은 세상을 바꾸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앞으로 기업은 어떻게 진화해야 할까. 고대 로마부터 21세기 실리콘밸리까지 2000년 역사를 살펴보며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