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Editor’s Letter

과학적으로 비과학 읽기

김현진 | 375호 (2023년 08월 Issue 2)
서울 대치동에서 중고생 대상으로 학업·진로 상담을 진행하는 한 유명 입시 컨설턴트가 최근 학생 상담 시 꼭 물어보는 정보 중 하나는 MBTI입니다. “학생은 ENFP라서 진득하진 못해도 순발력이 있겠네. 선생님들과도 잘 지내서 수행평가는 잘 받겠고…”와 같은 상담이 실제로 이뤄지는 겁니다. 대중성을 철저히 살피는 K팝 업계도 MBTI를 스토리텔링 소재로 활용합니다. 예컨대, 최근 새 앨범을 낸 SM 소속 아이돌 그룹 NCT드림의 앨범 제목은 ‘ISTJ’였습니다.

최근 몇 해간 MBTI가 사회 각 분야로 빠르게 스며들고 있습니다. 전 세계 곳곳의 기업 현장으로도 확산돼 포천 500대 기업의 80%가 이미 인사 결정에 MBTI를 참고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비주류’로 여겨졌던 MBTI가 비즈니스의 ‘주류 영역’에 당당히 입성한 모양새라 할까요.

하지만 상당수 학자는 MBTI에 대해 아직 엄정하게 과학적으로 증명된 바가 없는 ‘유사 과학’ 또는 ‘비과학’이라고 규정합니다. MBTI의 과학성을 입증하기 위한 학문적 시도는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누적 데이터가 많지 않다는 점도 지적합니다.

유사 과학에는 증명이나 분석으로 신빙성을 입증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 보이는 영역도 있습니다. 사주나 점술 등입니다. 임원 면접 때 관상가를 대동한다든지, 선거나 인사 등을 앞두고 유명한 점술가를 찾는 수십 년 전 관행은 AI 기술이 고도화된 2023년에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유사 과학은 MZ세대 등 젊은 층 사이에서 더 인기가 높습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