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타고니아"의 검색결과 입니다.
아티클 검색결과 (33)
-
좋은기업 나이키, 파타고니아 따라하기? 투명한 공급망 정보 공개부터!
소재한 아웃도어 의류 회사인 파타고니아(Patagonia)는 공급업체 지도를 제공하는데, 지도에는 각 협력사가 공급하는 재료나 관여하는 프로세스가 표시돼 있다. 나이키도 다양한 공급망 정보를 구체적으로 공개하는 회사 중 하나다. 1990년대에는 노동력 착취와 열악한 근로 환경으로 불명예를 입었지만 이제 나이키는 공급망 구성원, 원산지, 환경 및 사회적 지속 가능성 관련 정보들을 책임감 있게 공개하는 회사로 유명하다. 공급망에 대한 회사의 조사는 계속되고 있지만 나이키는 ‘완벽한 정보 공개를 통해 명예 훈장을 단...
글로벌리포트 | 199호 (2016년 4월 lssue 2)
-
의류업체의 이색 캠페인 “멸종을 마주하다” 빠른 길보다 지구와 함께 가는 길 택하다
사뭇 공격적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인류가 직면해 있는 기후변화의 위협이 그 어느 때보다 크기 때문이다(빈센트 스탠리 파타고니아 철학 디렉터·Vincent Stanley, Director of Patagonia Philosophy).” 실제로 캘리포니아 지역은 기후변화의 직격탄을 맞아 극심한 가뭄과 허리케인, 산불 피해에 시달리고 있다. 기자가 파타고니아 본사 취재 차 방문했던 기간 중인 지난달 10일에도 LA 최북단 지역인 실마의 샌페르난도 계곡 근처에서 산불이 발생해 한동안 주변 도로가 차단됐었다. ::PAGING:: 대개 기후변화에...
경영전략 | 285호 (2019년 11월 Issue 2)
-
멀리 가려면 친환경적 경영을
복원하는,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추구하는 것이며 더욱 발전된 형태의 지속가능 경영이 될 것이다. 이제 우리는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한다. 과연 이러한 변화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궁극적으로 인류의 미래를 내포하는 질문이 될 것이다. 필자소개 최우혁 파타고니아코리아 지사장 최우혁 지사장은 중앙대 독문학과를 나왔다. 아디다스코리아에서 상품기획팀 매니저와 카테고리 마케팅 매니저(CMM)를 역임했고, 데상트코리아에서 르꼬끄 스포르티브 브랜드...
경영일반 | 292호 (2020년 3월 Issue 1)
-
룬샷 外
사무총장까지 역임하며 신협운동의 무대를 아시아로 확장한 강정렬 박사 등 굵직한 이정표를 세운 세 명의 선구자가 걸어온 발자취를 소개했다. 친환경 글로벌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의 경영 철학과 성장 스토리가 담긴 책이다. 2005년 출간했던 초판 내용에 더해, 이후 파타고니아가 이룬 사업적•환경적 성과와 앞으로 지구를 살리기 위해 100년간 해야 할 일을 담은 개정 증보판이다.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기능성과 내구성을 갖춘 고품질 제품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 철학, 생산 과정 및 유통의 공정성을...
자기계발 | 298호 (2020년 6월 Issue 1)
-
생태계의 법칙을 배워라
기반을 속옷뿐 아니라 양모 의류제품으로까지 확대했다. 다른 기업들 역시 파타고니아의 사례를 따라 기존 제품과 신제품 생산에 기본 원료와 순환적 생산 시스템을 활용했으며 이를 통해 꾸준한 영업 수익을 가져다주는 범위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었다. 생태계의 법칙을 따르면 비용 절감 효과도 볼 수 있다. 우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 원료를 단순화할 경우 공급체인의 복잡성이 감소하고 공급업체의 수도 줄어든다. 이로 인해 공급업체들은 가격 할인과 개선된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
마케팅/세일즈 | 3호 (2008년 2월 Issue 2)
아티클 검색결과 더보기
필자 검색결과 (2)
필자 검색결과 더보기
비즈런 검색결과 (1)
비즈런 검색결과 더보기
프리미엄 검색결과 (2)
영상 검색결과 더보기
그래픽DBR 검색결과 (7)
그래픽DBR 검색결과 더보기
HBR KOREA 검색결과 (28)
-
수익성과 목적성
파타고니아와 그라민은행이 있습니다. 어떤 마법처럼 그런 성취를 이뤄낼 수는 없다고 줄리 바틸라나, 앤클레어 파체, 메틴 센글, 마리사 킴지는 말합니다. 모두 사회적 기업에 대해 10년 이상 연구한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이번 호 아티클 ‘일거양득 플레이북(146 페이지)’에서 재무적 미션과 사회적 미션을 모두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기업들은 그 두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회사의 핵심활동 안에 집어넣었다고 말합니다. 이런 기업들은 필자들이 하이브리드 조직화hybrid organizing라고 부르는 방식을...
전략 | 아디 이그내이셔스(Adi Ignatius) | [2019년 3-4월호]
-
맹목적 ESG 측정, 실천과 학습을 놓칠 수 있다
걸 알아냈습니다. 마찬가지로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도 옷감보다 지퍼가 훨씬 빨리 망가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수선 팀의 지혜를 활용하고 제품의 구성 원리를 파헤쳐 다운 침낭이나 점퍼를 해체하지 않고도 지퍼를 교체할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위 기업들의 공통점은 실행과 학습에 중점을 뒀다는 겁니다. 즉, 측정만 잘하는 게 능사가 아니라는 거죠. 견고한 ESG 실천과 그 영향을 측정하는 것은 ESG 점수 획득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 기업의 방향을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무엇을...
지속가능성 | 제니퍼 하워드 그렌빌(Jennifer Howard-Grenville) | [년 2021-03-15]
-
ESG 심판의 날이 온다
분명하게 명시한 공익과 영리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는 새로운 종류의 기업을 말합니다. 파타고니아, 세븐스 제네레이션 등의 소비자 브랜드를 포함해 3500개 이상의 기업과 사회적 영향을 중시하는 투자자들로부터 투자를 받은 여러 중소기업이 비콥 인증을 받았습니다. 2019년 여름 프랑스 식품 대기업인 다논의 주주들은 ‘가능한 많은 사람에게 음식을 통해 건강을 가져다준다’는 기업 목적을 선언하면서 비콥과 비슷한 프랑스 인증의 사회적 기업(entreprise à mission)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기업의 사회적 및...
지속가능성 | 워런 발드마니스(Warren Valdmanis),마이클 올리어리(Michael O’Leary) | [년 2021-03-24]
-
보잉과 스컹크워크스의 운명을 가른 차이
데 도움이 되겠죠. 나이키와 애플, 그리고 아웃도어 브랜드인 파타고니아 같은 소비재 회사들은 자사의 고유한 본질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회사 안팎에서 회자되는 이야기를 통해 자사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대표적 기업들입니다. 결국 경영진이 명심해야 할 점은 간단합니다. 평판에 기반해 사업을 운영하는 조직 대부분은 일반 대중들을 상대로 소비재 회사나 유통업체들이 즐겨 하는 광고나 홍보에 대한 필요를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그들의 평판이 긍정적인 문화에...
인사조직 | 마이크 윌버딩(Mike Wilberding),제럴드 쇼린(Gerald Schorin) | [년 2020-05-14]
-
온라인 마케팅 시대, 카탈로그의 귀환
부활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유통사 노드스트롬(Nordstrom), 의류업체 파타고니아(Patagonia) 등 유명 브랜드와 여객 및 휴양 등 레저 업체들은 카탈로그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답니다. 미국 월마트의 온라인 의류업체 자회사 보노보스(Bonobos)와 아마존(Amazon) 등 효율적인 디지털 소비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우는 온라인 소매업체까지 카탈로그를 발행하고 있죠. 아날로그식 마케팅의 대명사인 카탈로그가 어떻게 e메일과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공세에서 살아남았을까요? 전자상거래 기업들은 카탈로그를 어떻게 활용할 수...
마케팅 | 조나선 Z. 장(Jonathan Z. Zhang) | [년 2020-05-04]
HBR KOREA 검색결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