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왕이 묻고 신하가 답하다: 정조-정약용

중용이란… “항상 정성을 다하는 것입니다”

김준태 | 308호 (2020년 11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오늘날 리더에게 ‘중용’은 무슨 의미일까? 중용이란 내가 지금 서 있는 지금, 이 자리에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적절한 지점을 찾는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정조가 ‘때에 맞는 중용’이라는 의미로 ‘시중’의 ‘시(時)’ 자를 강조한 이유다. 하지만 시중이 무엇인지 알아도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 조심하고, 삼가고,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계신공구(戒愼恐懼)’의 자세로 언제나 정성을 다해야 한다. 중용에 정답은 없다. 스스로 늘 부족한 점이 없는지를 반성하며 ‘내가 더 정성을 다해야지’라고 다짐하는 마음가짐으로 노력해야 군자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131


공자의 손자 자사(子思)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중용(中庸)』. 원래는 『예기(禮記)』의 한 편이었다가 송나라 때 ‘사서(四書)’ 체제가 확립되면서 별도의 경서로 독립했다. 『중용』의 핵심은 말 그대로 ‘중용’이다. 공자가 지극한 덕(德)이자 군자가 추구하는 가치라고 칭송한 ‘중용’은 나의 마음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거나 기대지 않고,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이[중(中)]” “언제나, 항상 그러한[용(庸)]”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어느 한쪽에 치우쳤는지 아닌지, 정도가 지나쳤는지 모자랐는지의 기준은 고정돼 있지 않다. 환경이나 변화한 양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다. 요컨대, 중용이란 내가 서 있는 지금 이 자리에서 가장 적절한 지점을 찾는 노력이자 자세라고 볼 수 있다.

『중용』은 조선왕조 내내 매우 중시됐는데, 정조는 초계문신(抄啟文臣)1 을 대상으로 연 절일제(節日製)2 에서 이 『중용』에 관한 문제를 냈다.3 여기서 정조가 세부적으로 질문한 내용이 30개가 넘기 때문에 전부 다룰 수는 없다. 그중 2개만 꼽아서 소개하자면 하나는 ‘시중(時中)’이고 다른 하나는 ‘정성(誠)’이다.

우선, 정조는 “군자도 시중(時中)을 필요로 했으니 가장 중요한 것이 ‘시(時)’ 자란 말인가?”라고 물었다. 중용이 ‘지금 여기’에 꼭 알맞은 선택을 하는 것이라면 당연히 ‘지금 여기’가 어떤 상황인지부터 헤아려야 한다. 작금의 현실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적합한 이치가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래서 ‘때에 맞는 중용’이라는 의미로 ‘시중’이란 말이 나온 것이다. 하지만 치우치지 말라, 모자라거나 지나치지 말라는 경계 자체는 중용을 고정된 환경 속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오해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래서 보통 사람들은 ‘시(時)’ 자를 망각하곤 하는데 군자는 반드시 ‘시’에 맞게 중용을 행한다.

여기에 대해 정약용(丁若鏞)은 “사물의 마땅한 법칙은 때에 따라 각기 다릅니다. 마치 저울에 물건을 올려놓으면 물건의 무게에 따라 추가 달리 멈추는 것과 같습니다. 군자도 중용하려면 당연히 시중해야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4 ‘시’가 왜 중요한지를 부연해 설명한 것이다. 다른 글에 나오는 것이긴 하지만 정조의 말을 조금 더 살펴보자.

하늘이 덮여 있고 땅이 깔려 있고 해와 달이 비추고 서리와 이슬이 내리는 곳이라면 어디인들 마땅한 도리가 없겠으며, 어느 곳인들 ‘중’이라는 것이 없겠는가! 성인은 일상적으로 행하는 도리 속에서 그 ‘중’을 골라서 잡는 것이기 때문에 ‘중용’이라고 하는 것이다. 중용이란 처음부터 높고 아득하여 실행하기 어려운 일이 아니다. 어디를 가든 ‘상도(常道)’가 있고 어디를 가든 ‘중도(中道)’가 있으니, 이른바 ‘시중(時中)’이라는 것이다. ‘중’이란 글자의 뜻이 ‘시’라는 글자와 표리관계를 이루니, 『주역』에서 ‘시(時)의 뜻이 진실로 크다’라고 말한 까닭이다.

중용은 어려운 철학 이론이나 고상한 척하는 실천법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에서 ‘최적’의 지점이 중용이고, 그 지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곧 중용이다. 아무리 훌륭한 내용이라도 ‘지금, 이 순간의 삶’을 담아내지 못하면 쓸모가 없다. 아무리 좋은 목적을 가지고 애를 쓴다고 해도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면 실패하고 만다. 이상과 원칙을 유지하면서도 어떻게 하면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낼지, 시의성을 확보할지를 고민하는 모든 사람에게 ‘시중’은 여전히 중요한 가치다.

다만, 문제가 있다. 무엇이 ‘중용’인지, ‘시중’인지는 노력하면 알 수는 있다. 지식을 쌓는 공부와 마음을 수양하는 공부를 통해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정도는 알 수 있다. 그런데 안다고 해서 곧바로 실천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세상에 나쁜 짓을 저지르는 사람이나 게으름을 피우다가 후회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흔히들 ‘시중’이 무엇인지 머리로는 알지만 정말로 그것을 실천해야 함을 마음 깊이 이해하지 못한다. ‘중용’을 행하기 위해 무언가를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진심으로 절박하게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중용』에서 ‘정성(誠)’을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그래서다.

정조는 “성이라는 글자가 중용의 주축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질문했다. 정약용의 답변을 보자.

『중용』의 전체와 쓰임을 낱낱이 설명하기란 어렵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처를 말한다면 오직 ‘성(誠)’ 자 하나뿐입니다. ‘성’은 ‘계신공구(戒愼恐懼)’ 네 글자에서 벗어나지 않는데 여기에 힘을 쏟는다면 중용의 도가 회복될 것입니다. … 배우는 이들이 진심으로 스스로 조심하고 삼간다면,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마음으로 진리의 근원을 추구하고 성현의 가르침을 따른다면, 조금도 안일하지 않고 방종하지 않다면, 고요할 때는 혼매함이 없고 움직일 때는 조급함이 없다면, 사사로운 욕망을 제어하고 하늘의 이치를 보존하여 『중용』의 도를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조심하고, 삼가고,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계신공구(戒愼恐懼)’의 자세로 언제나 ‘정성’을 다한다면 중용을 실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무엇이 옳은지를 알고 있으면서도 귀찮아서, 혹은 욕심 때문에 스스로를 속일 수도 있다. ‘시중’이지만 ‘시중’이 아니라고 부정하는 것이다. 이를 두려워하고 걱정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또 중용을 실천하는 도중에 나의 마음가짐이 흐트러지고, 도리에서 벗어나게 될 수도 있다.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상황에서도 조심하고 삼갈 정도의 절심함이 없다면 이를 극복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계신공구’를 이야기하는 것이고, ‘정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실제로 『중용』에는 이 ‘정성’과 관련한 구절이 많이 나온다. 『중용』 23장의 “정성을 다하면 형상을 이루고 형상을 이루면 드러나게 되니, 드러나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감동을 줄 수 있다. 감동하면 변하고 변하면 화할 수 있으니, 오직 천하에 지극한 정성이 있어야 능히 변화를 이끌 수 있다”라는 말, 『중용』 25장의 “정성이 만물의 처음이자 끝이니, 정성스럽지 못하면 만물도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말, 『중용』 23장의 “지극한 정성은 쉼이 없다”라는 말이 해당된다. 다음 『중용』 20장도 정성에 관한 것이다.

널리 배우며 자세히 묻고 신중히 생각하며, 밝게 분별하고 독실하게 실천해야 한다. 배우지 않을지언정 일단 배우고자 한다면, 능하지 않고서는 그만두지 말라. 묻지 않을지언정 일단 묻고자 한다면, 알지 못하고서는 그만두지 말라. 생각하지 않을지언정 일단 생각하고자 한다면, 터득하지 않고서는 그만두지 말라. 분별하지 않을지언정 일단 분별하고자 한다면, 분명하지 않고서는 그만두지 말라. 실천하지 않을지언정 일단 실천하고자 한다면, 독실하지 않고서는 그만두지 말라. 다른 사람이 한 번에 잘하면 나는 백 번을 하며 남이 열 번에 잘하면 나는 천 번을 해야 한다.

132


다시 말해, 정성은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내가 가진 역량을 남김없이 쏟아내는 것이며, 나 자신과 다른 사람을 속이지 않는 것이다. 내가 최선을 다하지 못할까 봐 걱정하는 것, 게을러지고 방심하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 상대방을 진심으로 대하고 소통하는 것 또한 정성이다. 정성이 있어야 나도 성장하고, 마음을 움직여 상대방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나아가 ‘중용’을 실천하고 ‘시중’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성은 왕에게 매우 강조됐다. 왕이 주어진 책임을 완수하고 맡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그야말로 쉴 틈 없이 지극한 정성을 다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용』이 신하가 왕에게 잔소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는 대리청정 시절, 신하로부터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저하께서 요즘 『중용』을 공부하고 계시는데 『중용』에 이르기를 ‘정성스럽지 못하면 만물도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하였고, ‘정성이란 하늘의 도리로서, 정성이 없이 하늘을 감응시킨 자는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저하께서는 움직이시거나, 가만히 계시거나, 말씀하시거나 행동하시는 순간에 항상 정성을 다하십니까? 아니하십니까?” 5 이런 얘기를 듣는 왕도 참 힘들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리더의 숙명인지도 모른다.

오늘날 리더들도 늘 부하 직원이나 주변인들로부터 ‘과연 최선을 다하고 있는지’ 의구심을 받곤 한다. 정성은 수치로 환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서 늘 문제가 된다. 누군가 ‘지금 당신이 정성을 다하고 있습니까?’라고 묻는다면 자신 있게 ‘그렇다’라고 답변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겸손함 때문이 아니더라도 정성을 다한다는 것이 과연 어느 정도를 의미하는지 막연하기 때문이다. 정성의 본래 특성이 그러하다. 그러므로 정성이란 내가 꾸준히 노력할 수 있도록, 포기하지 않고 완벽을 향해 나갈 수 있도록, 자기 자신을 채찍질하는 일종의 의무 기제로 받아들여야 한다. 늘 부족한 점이 없는지를 반성하며, ‘내가 더 정성을 다해야지’라고 다짐하는 마음가짐이 나의 게으름을 방지하고, 나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줄 것이다.


김준태 성균관대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akademie@skku.edu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 『군주의 조건』 『탁월한 조정자들』 『논어와 조선왕조실록』『다시는 신을 부르지 마옵소서』 등이 있다.
  • 김준태 |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 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akademie@skku.edu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