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New Biz Books

안녕, 인간 外



추천의 시대다. 넷플릭스나 왓챠는 내가 좋아할 법한 영화를 알아내 추천해 준다. 아마존이나 알리바바 같은 인터넷 유통 업체들은 고객이 필요한 상품 목록을 파악해 제공해준다. 개인 금융정보를 제공하면 가장 적합한 투자 상품을 추천해주는 애플리케이션도 인기다.

이 모든 것의 핵심은 바로 알고리즘이다. 기업들은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개별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찾아낸다. 또한 고객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공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기도 한다. 우버가 도시의 교통 시스템을 개발하겠다고 공언하고, 자율주행자동차를 개발할 수 있었던 것도 모두 공유 차량 서비스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 덕분이다.

최근 5G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알고리즘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더욱더 방대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받을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회사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워지면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지게 됐다.

사실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의 일상생활을 파고들었다. 자동차 운전을 할 때 길을 직접 찾는 대신 실시간 교통량을 반영해 최단 루트를 찾아내는 내비게이션에 의존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의 역할이 사람들의 인생을 판가름하는 영역까지도 확대됐다. 미국 위스콘신주의 판사들은 한 민간 회사가 개발한 ‘콤파스’라는 위험 평가 알고리즘을 참고해 피고인의 형량을 정한다.

하지만 인공지능 서비스가 항상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결과를 낳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염두에 둬야 한다. 영국에선 한 운전자가 내비게이션에 의존해 운전을 하다가 잘못된 길로 들어서 큰 사고를 당할 뻔한 사건이 화제가 됐다. 심지어 이 남성은 부주의한 운전으로 벌금형까지 받았다. 또한 콤파스라는 알고리즘은 백인보다 흑인에게 훨씬 더 불리하게 작용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편향된 알고리즘이 오히려 법에서 가장 중요한 공정성을 해친 것이다. 저자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오류와 위험성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경고한다.

그렇다고 저자가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결구도’를 조장하는 것은 아니다. 알고리즘이 인간의 지혜와 만날 때 인간의 삶을 훨씬 더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 수녀들이 남긴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한 결과가 흥미롭다. 이 연구진은 수녀들이 젊었을 때 남긴 종신서원에 남긴 단어의 복잡성을 연구했다. 그 결과 젊었을 때 언어 표현력이 뛰어났던 수녀가 치매에 걸릴 확률이 훨씬 낮았다. 작고 평범한 데이터로 보일지라도 인간의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한 분석이 더해지면 인간의 삶을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 유니콘 기업 87개 기업 중 51%가 이민자 출신이다. 그중에서 인도 출신 이민 창업자는 14명. 압도적으로 많다. 유니콘 기업까지 들여다보지 않더라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유수 IT 회사의 중역에는 유독 인도 출신이 많다. 이 인재들을 키운 곳은 바로 인도의 실리콘밸리라 불리는 방갈로르. 이곳에서 매해 배출되는 100만 명의 고급 IT 인력들은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에 도전한다. 미국을 잇는 IT 혁명은 중국이 아닌 인도에서 나올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저자는 더 이상 인도의 성장 가능성, 대규모 시장만을 바라볼 때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핵심은 어떻게 인도의 IT 인재들을 확보하고 양성해 회사의 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여부다.






인간의 평균 수명이 100세까지 늘었다. 수명이 길어지면서 더 젊고 건강하게 살고 싶은 인간의 욕망도 더욱 강해졌다.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사 관리, 금주와 금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사람들의 생활습관도 덩달아 엄격해졌다. 그런데 참 아이러니하다. 매일 16㎞씩 달리고 샐러드와 과일을 위주로 먹은 피트니스 사업의 개척자가 52세에 심장마비로 죽고, 여성 전용 헬스클럽 사업자로 성공한 CEO가 폐암으로 사망했으니 말이다. 저자는 우리가 어쩌면 건강 집착증에 사로잡혀 몸을 오히려 괴롭히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번 생각해볼 때라고 말한다. 과잉 진료, 건강 염려증이 오히려 인간의 잠재된 수명을 갉아먹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미영 기자 mylee03@donga.com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