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책벌레’ 히틀러: 책은 毒 또는 藥?

김정수 | 30호 (2009년 4월 Issue 1)
1945년 4월 30일
오후 3시 반, 한 발의 총성이 울려 펴졌다. 방 안에 쓰러진 사람은 56세의 남자와 바로 전날 그와 결혼한 부인이었다. 남자는 12년 동안 독일의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며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아돌프 히틀러였다. 그는 보잘것없는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학력도 중학교 중퇴가 전부였다. 20대 후반까지 군대의 연락병으로 뛰어다니던 그가 어떻게 전 세계를 위협하는 인물로 성장했는가 하는 의문은 이후 많은 역사학자들의 연구 과제가 됐다.
 
‘책벌레’였던 히틀러
다행히도, 그리고 신기하게도 1만6000권에 이르는 히틀러의 장서 중 1300권이 미국 의회 도서관 등에 고스란히 보관돼 있다. 히틀러는 전쟁 중에도 매일 밤 1권 이상 책을 읽지 않고는 잠자리에 들지 않았다는 독서광이었다.
 
‘히틀러의 개인 서재(Hitler’s Private Library)’는 역사학자 티모시 라이백이 히틀러의 북 컬렉션을 연구해 내놓은 책으로, 책이 히틀러의 성격 형성과 판단에 미친 영향을 탐구했다. 개인의 장서는 그 주인이 어떤 사람이며, 어떤 생각을 했는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다. 평론가 발터 베냐민은 “개인 장서는 그 주인의 성격을 나타내는 지도”라고 말하기도 했다.
 
히틀러의 책들 역시 마찬가지다. 히틀러가 남긴 미 의회 도서관의 몇몇 책에는 그가 연필로 그은 밑줄은 물론, 책 여백에 적어놓은 메모들까지도 생생히 남아 있다. 또 히틀러의 독특한 독서 습관(항상 책 안쪽에 읽은 시기를 적어놓는)은 중요한 역사적 고비마다 어떤 책이 그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려준다.
 
소책자가 바꿔놓은 인생행로
1918년, 연락병 생활을 마치고 형무소 경비 같은 허드렛일을 하던 히틀러는 우연히 독일 노동당(나치당) 집회에 참석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히틀러는 특별할 것이 거의 없는 평범한 젊은이였다. 하지만 집회에서 안톤 드렉슬러가 건넨 ‘나의 정치 입문(My Political Awakening)’이라는 소책자가 그의 인생행로를 완전히 바꿔놓게 된다.
 
히틀러는 우선 변변한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한 자신도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됐다. 철도 수리공 출신에다가 직업이 없어 한때 나이트클럽 밴드까지 했던 드렉슬러가 정치인으로 변신한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드렉슬러의 책은 히틀러에게 유대인에 대한 증오심도 심어줬다. 히틀러는 ‘유대인들이 이미 독일 전체 부(富)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조직적으로 언론과 정치까지 장악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에 크게 공감했다. 그는 ‘나의 정치 입문’을 읽던 중 독일 노동당 입당 허가를 받았고, 이것이 결정적 계기가 돼 정치인으로 변신했다.
 
히틀러의 위세가 한창 오르던 1930년대 중반, 나치와 가톨릭의 충돌이 책에서 시작돼 책으로 끝났다. 히틀러의 최측근이며 정치 고문이던 알프레트 로젠베르크가 자신의 책 ‘20세기의 편견(The Myth of the 20th Century)’에서 일부다처제와 낙태를 지지하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가톨릭교회는 즉시 이 책을 금서 목록에 올렸고, 히틀러는 수백만 명이 넘는 가톨릭 신자들의 지지를 송두리째 잃을 위기에 처했다.
 
그러던 중 유명한 나치 협력자인 알로이스 후달 대주교가 1937년 펴낸 ‘국가 사회주의의 기초(Foundation of National Socialism)’가 갈등 해결의 물꼬를 텄다. 후달은 책에서 나치와 가톨릭의 공통점과 상생 가능성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나치와 가톨릭은 공통적으로 반유대적이며, 양자가 합심해야만 가톨릭을 탄압하는 러시아 공산주의를 막을 수 있다는 논지였다.
 

전쟁 시작되자 ‘무기 백서’ 탐독
1939년, 히틀러의 폴란드 침공과 함께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 히틀러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고 어려웠던 결정은 바로 이것이었을 듯하다. 당시 히틀러는 전쟁 개시를 놓고 별장에서 고민을 거듭하고 있었다. 이때 그에게 결정적으로 힘을 준 책이 바로 막스 리델이 지은 ‘세계의 법칙(Law of the World)’이었다. 리델은 ‘인간에게는 오감이 아닌 7개의 지각 능력이 있으며, 오감에만 얽매어 있는 인간은 경험의 노예가 돼 새롭고 거대한 일을 결코 시도할 수 없다’는 주장을 폈다. 그리고 역사와 세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깨닫고 역사를 바꾸어가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평범한 인간들의 합리적 사고보다 한 단계 높은 결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설명했다.
 
별장에서 책을 읽으며 히틀러는 자신이 논리적으로 증명하지 못했던 독일 민족의 우수성에 대해 자신감을 얻게 됐다. 그는 책 곳곳에 굵은 연필로 줄을 그었다. 책을 읽은 지 며칠 뒤인 1939년 8월 22, 히틀러는 50명의 장군을 모아놓고 전쟁을 선포했다. 리델의 책이 아니었다면 히틀러가 좀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을 내림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은 발발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전쟁 직후 독일은 폴란드뿐 아니라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에서 큰 승리를 거뒀고, 유럽의 절반이 나치의 지배 아래 들어갔다.
 
이 시기에 히틀러는 전에는 안 하던 일을 하기 시작했다. 사소한 전술 회의에도 직접 참석하고, 전장을 진두지휘한 것이다. 이로 인해 히틀러와 참모들의 의견 충돌이 점점 잦아졌다. 하지만 참모들은 히틀러의 육해공 무기 체계에 대한 해박한 지식 앞에서 ‘꼬리’를 내릴 수밖에 없었다. 히틀러는 이즈음 각종 ‘무기 백서’를 탐독하고 있었다. 러시아의 탱크 부대 화력에 대해 즉석에서 수십 분 동안 연설할 수도 있었다고 한다.

이전에 철학과 인문학, 과학에 대한 책을 탐독했던 히틀러는 전쟁이 시작되자 실용적인 쪽으로 독서의 방향을 바꿨던 듯하다. 하지만 그의 독서는 독일 패전의 원인인 독단적 전략 전술과 의사결정을 불러왔다. 히틀러가 무기와 전술에 대해 조금만 더 어두웠다면 역사는 다른 모습으로 전개됐을지도 모른다.
 
‘폴란드 침공’ 미리 내다본 예언서
194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히틀러는 패배의 기색을 자각했다. 50대 초반이었던 그는 서서히 자신감과 패기를 잃어갔으며, 실제 나이보다 열 살은 더 들어 보였다고 한다.
 
이때 히틀러가 탐독한 책은 어릴 때부터 그의 영웅이었던 스벤 헤딘(스웨덴의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이 지은 ‘대륙 전쟁 속의 미국(America in the Battle of the Continents)’이었다. 헤딘은 책에서 제2차 세계대전의 원인은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 아니라, 독일인에게 너무 가혹했던 베르사유 조약이라고 규정했다. 또 그는 히틀러가 영국에 보낸 평화협상 제안 등을 예로 들면서 히틀러의 평화주의적 면모를 강조했다. 고독감에 빠져 있던 히틀러는 이 책의 초록을 읽고 난 다음 날 바로 장문의 친서를 작성해 헤딘에게 보냈을 정도로 큰 위안을 받았다.
 
1945년, 히틀러는 결국 베를린의 벙커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그가 죽은 방 안에는 80권의 책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중 1권이 ‘노스트라다무스의 대예언(The Prophecies of Nostradamus)’이었다. 신기하고도 놀라운 사실은 1921년에 쓰여진 이 책 68쪽에 ‘1939년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고 정확히 예언돼 있다는 것이다. 미국 브라운대에 보관돼 있는 이 책에는 42쪽까지만 펼쳐본 흔적이 있다고 한다. 히틀러가 조금만 더 책을 읽어 예언을 봤다면 어떤 생각을 했을까?
 
‘히틀러의 개인 서재’를 보면 책은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 아니라, 읽는 사람의 세계관과 가치 체계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는 생각이 든다. 독서는 많은 경우 인생의 갈림길에서 긍정적인 길잡이 역할을 해준다. 하지만 때로는 히틀러의 폴란드 침공처럼 부정적인 영향도 미친다. 따라서 책을 많이 읽는 것은 좋지만, 균형 잡힌 시각으로 읽지 않으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
 
특히 ‘바른 눈’으로 ‘바른 판단’을 내려야 하는 기업의 리더들은 이를 명심해야 한다. 당신의 책 읽기는 숲은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게 하는 ‘단순 지식 습득’이나, 자신의 흥미 또는 입맛에 맞는 ‘지적 편식’일 수도 있다. 지금 당장 개인 서재를 한번 돌아보라. 사고의 전환, 주변 사람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공감대의 형성, 좀더 균형 잡힌 시각과 판단을 키워주는 책들이 얼마나 있는지 살펴보면 어떨까.
 
필자는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산업자원부에서 국제통상 업무를 담당했다. 공인회계사이며,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받았다. 베인&컴퍼니 도쿄 및 시드니 오피스에서 근무했고, 현재는 서울 오피스 이사로 재직 중이다. 국내외에서 금융, 중공업, M&A 및 인수 후 통합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 김정수 | - (현) GS칼텍스 전략기획실장(부사장)
    - 사우디아람코 마케팅 매니저
    - 베인앤컴퍼니 파트너
    - 산업자원부 사무관
    jungsu.kim@gscaltex.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