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lose Up

외국어 능력이 권력이자 자본인 시대

한근태 | 290호 (2020년 2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우리는 왜 외국어를 배우는 걸까? 외국어라는 개념의 등장, 외국어 전파 과정을 둘러싼 패권의 지배, 강압과 불평등을 살펴보면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가 아니다. 민족 정체성의 상징이고, 국가 결속의 강화 장치이며, 국가의 힘을 강제하는 수단이다. 지배국은 피지배국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국어 사용을 강요했다. 외국어 전파는 언어를 둘러싼 강요와 투쟁, 저항과 분투의 역사다.



우리는 엄청난 비용을 투자해 영어를 배운다. 하지만 투자 대비 효과는 별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영어를 배우는 데 목숨을 건다. 왜 그럴까? 영어를 능숙하게 하는 것이 사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걸 몸으로 느꼈기 때문이다. 일제시대 일본은 한국인에게 강제로 일본말을 사용하게 했다. 왜 그랬을까? 왜 굳이 그런 불필요한 일을 했을까? 뭔가 다른 이유가 있지 않을까? 『외국에 전파담』은 그런 외국어의 역사에 관한 책이다.

우리는 왜 외국어를 배우는 걸까? 우리는 언제부터, 왜 다른 나라 언어를 배우기 시작했을까? 외국어라는 개념의 등장, 외국어 전파 과정을 둘러싼 패권의 지배, 강압과 불평등을 살펴보면 언어가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민족 정체성의 상징이고, 국가 결속의 강화 장치이며, 국가의 힘을 강제하는 수단이다. 지배국은 피지배국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국어 사용을 강요했다.

가령, 영국은 지금은 영어를 쓰고 있지만 원래는 켈트족의 지배를 받아 켈트족의 언어를 사용했다. 그러다 5∼7세기엔 게르만족의 지배를 받으면서 게르만어를 쓰게 됐다. 그러다 1066년에는 프랑스 북쪽 노르만족으로부터 침략을 당하면서 프랑스어를 사용했다. 중세에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영향으로 라틴어를 많이 사용했다. 이렇게 게르만어, 고대 프랑스어, 라틴어 등이 뒤섞이면서 오늘날의 영어가 만들어졌다.

영국과 이웃한 아일랜드 사례도 흥미롭다. 19세기 초 아일랜드 사람들은 대부분 아일랜드어를 사용했고 영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런데 영국의 지배가 오래 지속되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영어가 모국어가 되고 아일랜드 말을 쓰는 사람이 드물어진 것이다. 20세기 민족주의 열풍의 일환으로 아일랜드어를 되살리자는 운동이 벌어졌지만 실패로 끝났다. 오늘날에는 3% 정도만 아일랜드 말을 쓴다. 현재 오키나와인 류큐국도 마찬가지다. 자신들의 말 대신 일어를 사용하면서 류쿠국의 말은 종적을 감췄다.

그렇다면 한국어와 한글은 어땠을까? 한글은 세종 때 만들어지긴 했어도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한글이 주목받은 건 오히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서다. 일본어에 밀려 학교에서 한국어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자 한글은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급부상했고 보편적인 문자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외국어 전파는 언어를 둘러싼 강요와 투쟁, 저항과 분투의 역사였다.



외국어는 왜 배울까

그렇다면 모어(母語)와 제2 언어는 어떻게 다를까? 둘은 습득 시기에 따라 구분된다. 모어는 12세 이전까지 자연스럽게 터득한 언어를 뜻하고, 제2 언어는 12세 이후부터 배운 언어를 뜻한다. 제2 언어와 달리 외국어는 다른 국가의 국어이고, 외국어를 배운다는 건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운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언어를 배우는 것을 넘어서는 의미를 가진다.

우리는 왜 다른 나라 말을 배울까? 첫째, 종교적 이유가 있다. 외국어 전파의 역사는 종교의 확산 과정과 맞닿아 있다. 가령, 이슬람 포교 활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슬람 경전인 쿠란의 보급이 중요하다. 그런데 쿠란을 읽고 싶으면 아랍어를 배워야 한다. 이 때문에 이슬람이 지배했던 스페인에서는 번역 활동이 활발했다. 그중 톨레도 지역에서 가장 활기를 띠었다. 이슬람의 영향을 받다 보니 아랍어, 고대 그리스어, 히브리어, 라틴어 등의 언어를 스페인어로 번역하는 일이 많았다.

기독교 성경의 역사도 이와 비슷하다. 로마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313년 밀라노칙령을 발표하고 기독교를 공인한 이후 라틴어는 교회의 공식 언어가 됐다. 원래 구약은 히브리어(일부 아람어)로 기록됐고, 신약은 그리스어로 기록돼 전해졌는데 이를 라틴어로 번역할 필요가 있었다. 인도에서는 불교 전파 과정에서 산스크리트어가 같은 역할을 했다. 산스크리트어로 돼 있던 불교 경전들이 한문으로 번역돼 동아시아로 전파됐다. 산스크리트어가 한자로 번역되는 과정은 르네상스 시대 고대 그리스 문헌이 번역되는 과정과 흡사했다.

선교사들에게 언어는 중요한 문제다. 선교는 이동을 전제로 하고, 가장 먼저 언어의 장벽을 넘어야 하기 때문이다. 선교를 위해서는 주민들과 원활한 소통이 필요하다. 선교사들이 일단 주민들의 말을 배운 뒤 이들에게 자신의 언어를 가르치려 하는 이유다. 신자가 된 원주민은 선교사의 말을 익히고 성경을 읽기 시작한다. 기본적으로 선교 활동은 침략이란 패러다임에서 이뤄진다. 이는 단순히 종교의 전파가 아니라 새로운 시장의 확대라는 더 큰 목적을 가진다.



둘째, 정치적 이유가 있다. 한 나라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어를 결정하고 이를 보급해야 한다. 제국주의에서 언어는 매우 중요하다. 언어는 무역을 위해, 선교를 위해 퍼져나간다. 외국어의 전파 과정은 결코 평화롭지도, 평등하지도 않다. 언어는 권력을 쥔 자가 결정해서 보급한다. 왕조와 지배계층이 사용하는 언어가 그 나라 국어가 된다. 국어는 국가를 장악한 권력자가 해당 국가를 통치하는 도구다. 국어를 지정하고, 보급을 위한 기관을 설립하고,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1635년 만들어진 아카데미 프랑세즈가 대표적이다. 1713년 세워진 스페인 왕립 학술원도 비슷하다. 국가 차원에서 국어 관련 기관을 설립한 이유는 국가와 왕권과 언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학술원과 문화원은 그런 목적에서 만들어진다. 국어 보급을 위해서는 사전도 필요하며, 사전의 편찬과 보급은 대중들에게 국어를 가르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다.

언어는 사회 통합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1919년 6월28일 베르사유조약으로 1차 세계대전이 마무리되자 1929년 10월29일 대공황이 일어난다. 1922년 무솔리니는 수상이 되고,
1933년 히틀러는 총통이 된다. 파시스트 독재자에게 사회 단결은 매우 중요한 이슈였고, 이를 위해 언어는 좋은 상징적 장치가 됐다. 이를 눈치챈 히틀러는 때맞춰 독일어 순화운동을 시작하고 점령지에서 강제로 독일어를 가르쳤다. 일본 역시 그랬다. 1932년 일본은 만주국을 설립한 뒤 일본어를 필수로 가르친다. 그리고
1941년 필리핀 지배를 시작하면서부터는 영어 교육을 중지하고 일본어 교육을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여행도 외국어를 배우는 동기 요인이 된다.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까지 유럽은 비교적 평화로웠고 이 기간 그랜드투어가 크게 유행했다. 유럽인들은 벨기에나 프랑스에 가서 프랑스어를 배우고 춤과 승마를 즐겼다.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 베네치아, 로마, 피렌체를 둘러본 뒤 북쪽 빈, 베를린을 거쳐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돌아봤다. 그다음 영국으로 향했다. 『로마제국 쇠망사』를 쓴 에드워드 기번도 그랬다. 그는 1763∼1764년 로마에 머물면서 로마사에 관한 책을 구상했다. 외국어 학습은 여행 준비 차원에서 이뤄졌다. 요즘에는 그런 사람이 많다. 철저하게 여행을 목적으로 일본어를 공부하는 아주머니들이 좋은 예다.



혁명과 민족성, 그리고 외국어

유럽이 평화로웠던 지난 100년 동안 영어가 부상했고, 이때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났다. 영국이 산업혁명의 발원지가 된 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다른 유럽 대륙에 비해 왕권이 약했고, 개인의 소유권이 강했던 것도 그중 하나다. 개인의 재산권을 행사하기 좋은 환경이었던 것이다. 이들은 재산을 늘리기 위해 여러 아이디어를 냈다. 새로운 기술을 사업장에 적극 활용했다. 기계류의 발명이 활발하게 이뤄졌고, 이를 통해 생산성이 높아졌다. 생산성이 높아질수록 돈이 많아지고 노동력도 필요해졌다. 16세기 후반부터 150년 동안 유럽의 맹주는 프랑스였고, 외교 무대의 공통어는 프랑스어였다. 그런데 프랑스혁명, 나폴레옹전쟁 등으로 프랑스가 주춤한 사이 영국이 최강자로 떠올랐다.

산업혁명 외에도 유럽 전역에서는 크고 작은 민주화 운동과 독립혁명이 일어난다. 공통점은 같은 문화를 향유하고 같은 언어를 쓰는 사람끼리 국가를 이뤄 살고 싶다는 욕망이 혁명의 촉매제가 됐다는 점이다. 언어는 민족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프로이센의 경우도 그랬다. 이들은 8년간 의무 교육을 실시했다. 교사를 양성하고 고등학교 제도를 신설했다. 주된 목적 중 하나가 국가에 충실한 국민을 만드는 것이었다. 미국도 그랬다. 1783년 독립한 후 토마스 제퍼슨은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직접 버지니아대를 설립하고 건물 설계까지 했다.

민족 정체성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있으면 언어는 이어진다. 인도에서도 영어가 깊게 뿌리 내렸는데도 불구하고 아일랜드와 달리 모어가 사라지지 않았다. 이런 차이는 동화 압력의 유무와 상관이 있다. 지배국과 피지배국이 지리적으로 가까우면 서로의 존재 자체가 위협이 된다. 이에 지배국은 피지배국의 모어를 말살시킴으로써 민족성을 희석시키고 자국의 언어를 강제로 주입해 위험요소를 제거하려 한다. 그러나 인도와 영국처럼 멀면 크게 위협이 되지 않는다. 이익의 극대화를 위해 적절히 통치만 할 뿐 인도인을 굳이 내국인화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영국이 인도인에게 영어를 가르친 건 통치의 편의성을 위해서였다. 영어를 할 줄 아는 인도인에게 여러 혜택을 줌으로써 인도인 스스로 영어를 배우게 하는 전략을 택했다.

역사상 가장 성공한 언어 회복 운동은 유대인의 히브리어 부활 운동이다. 죽은 언어를 살려낸 유일무이한 사례이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여러 곳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했다. 대다수 유대인은 이디시(Yiddish)어를 모어처럼 사용했지만 시온주의자들은 이디시어 대신 유대인의 종교 언어이자 고유어인 히브리어를 이스라엘 공용어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히브리어가 부활했다. 그중에서도 러시아계 유대인 벤 예후다는 ‘현대 히브리어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가정에서는 이디시어를 사용하고, 사회에서는 러시아어를 익혔다. 유대인 학교에서는 히브리어와 아람어를 배웠고, 파리에서는 프랑스어를 익혔다. 그는 이렇게 틈틈이 학습하며 현대 히브리어 사전을 편찬했다. 없는 단어가 있으면 같은 어족인 아람에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냈다.

이런 히브리어 부활은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일이었다. 언어는 사라지기는 쉽지만, 살리기는 쉽지 않다. 가령, 조총련(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이 설립한 조선 학교에서는 조선어를 쓰게 했지만 이들이 속한 환경이 일본어를 쓰기 때문에 결국 조선어를 지키려는 노력은 실패로 끝났다. 학교에서만 사용하는 인공 언어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언어는 그 언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공동체가 없으면 소멸할 수밖에 없고, 공동체 고유의 문화나 종교, 민족성을 지키려는 노력 없이는 유지하기 어렵다.


외국어의 의미를 되새기며

21세기에 외국어를 할 줄 안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 외국어는 권력과 자본이다. 돈은 자본의 여러 형태 중 하나다. 일류 대학을 졸업하는 것도, 거주하는 곳도 사회적 자본 형성에 유리하다. 강남이나 뉴욕의 맨해튼, 도쿄의 야마노테 같은 지역들이 그렇다. 주류의 문자를 읽고 쓸 줄 안다는 것 역시 권력이 그들에게 있다는 걸 뜻한다. 일본 야마토 지역의 왕실과 귀족은 자신의 지배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한자와 함께 전파된 불교를 적극 활용했다. 기독교는 라틴어를 교회의 공용어로 삼았기 때문에 지배계층에 속하기 위해 라틴어 구사는 필수였다. 언어가 중요한 지배도구였던 셈이다. 한반도에서의 한자도 비슷한 역할을 했다. 일상에서 쓰는 말과 문자가 분리되기 시작했는데 그 문자는 철저히 지배계층을 위한 것이다. 한자를 사용할 줄 안다는 건 권력의 상징이고 강력한 사회적 자본이다. 이렇게 글과 말이 다른 언어의 공존을 양층언어현상(diglossia)이라고 부른다. 마틴 루터는 종교개혁 운동의 일환으로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했다. 글과 말이 따로 노는 현상을 없애고 모어인 독일어 사용을 통해 성서의 본질을 신자들에게 알리기 위해서였다.

사람들의 첫 기억은 보통 서너 살 무렵이다. 말을 시작한 나이와 기억의 나이가 일치한다. 언어를 통해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언어는 삶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우리말 외에 다른 나라 말을 더 할 수 있다면 그만큼 이해의 폭이 커지고 유연하게 생각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외국어가 어떤 존재인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필자소개 한근태 한스컨설팅 대표 kthan@assist.ac.kr
필자는 서울대 섬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애크런대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핀란드 헬싱키경제경영대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MBA)를 받았다. 대우자동차 이사, IBS컨설팅그룹 상무, 한국리더십센터 소장 등을 지냈다.
  • 한근태 한근태 | - (현) 한스컨설팅 대표
    -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겸임 교수
    - 대우자동차 이사 IBS 컨설팅 그룹 상무
    - 한국리더십센터 소장
    kthan@assist.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