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cience Says

가슴에 손만 얹어도 거짓말을 적게 한다?

허행량 | 201호 (2016년 5월 lssue 2)

Article at a Glance

마음까지 좌우하는 제스처

실험 결과 가슴에 손을 얹는 행동만으로도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거짓말을 적게 하며, 근육에 힘을 주는 행위만으로도 통제력이 커지고, 손가락을 포개는 행위만으로도 고통이 경감되는 것으로 나타남.

대인관계 및 신뢰 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온도

따뜻한 커피잔을 든 사람은 차가운 음료잔을 든 사람보다 상대방을 더욱 다정하게 평가함. 차가운 팩을 만진 사람은 따뜻한 팩을 만진 사람보다 투자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남.

 

우리는 대화할 때 다양한 제스처를 활용한다. 손가락을 꼼지락거리거나 포개는가 하면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며최고라고 격려하기도 한다. 손을 가슴에 얹어 정직을 표현하기도 하고, 주먹을 불끈 쥐면서 힘내라고 격려하기도 한다. 면접시험을 보거나 중요한 모임을 앞두고 있을 때는 어깨를 활짝 펴거나 목소리를 가다듬는 등의 행동을 취하기도 한다. 이러한 제스처나 행동은 단순한 제스처나 행동에 그치지 않고 사람의 마음을 지휘하는 마법까지 보인다. (그림 1)

 

 

 

내 마음의 지휘자, 제스처

 

프레젠테이션이나 면접을 앞두고 자신감을 느끼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적어도 당신이 남자라면 주먹을 불끈 쥐는 것만으로 자신감을 얻게 되고 자신이 힘 있는 존재라고 생각하게 된다. 2009년 슈베르트(Schubert) 포르투갈 리스본대 교수팀은 주먹을 불끈 쥐는 동작이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실험했다. 그 결과 남성이 주먹을 불끈 쥘 경우 자기 입장을 거침없이 밝히고, 또한 다른 사람이 자신을 존경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구체적으로 주먹을 불끈 쥔 남성(평균 = 4.34, 6점 척도)은 그렇지 않은 남성(평균 = 3.94)보다 자기 입장을 단호하게 밝히고, 주변으로부터 존경받는 존재라고 자평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이 같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먹을 불끈 쥔 효과가 남성에게만 나타난 것은 남성의 경우 신체적 파워가 사회적 영향력을 얻는 데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주먹을 불끈 쥐거나, 손가락을 힘 있게 펼치고, 이를 악물거나, 장딴지 근육을 탄탄하게 하고, 팔뚝 근육에 힘을 주는 등 다양한 동작을 한다. 이처럼 근육에 힘을 줘 탄탄하게 하는 행동이 결의(resolve)나 자기통제(self-control)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2011년 헝(Hung) 싱가포르국립대 교수팀은 근육에 힘을 줘 탄탄하게 만드는 행동이 결의나 자기통제도 굳게 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했다. 우선 아이티 재난에 대한 기부 의사를 물은 결과 펜을 세게 쥔 집단(92%)이 가볍게 쥔 집단(72.4%)보다 더욱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혔다. 연이은 실험에서 펜을 얼마나 세게 쥐느냐에 따라 차가운 물통에 손을 넣어 얼마나 오랫동안 견디느냐 하는 여부를 검증했다. 그 결과 펜을 세게 쥔 집단(평균 = 126.89)은 가볍게 쥔 집단(평균 = 73.07)과 통제집단(평균 = 69.53)보다 훨씬 오래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힘을 불끈 주는 행동이 정신을 통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수 더원(The One)은 노래할 때 가슴에 손을 얹는 제스처를 취한다. 보통 정직하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가슴에 손을 얹는 제스처를 하곤 하는데, 이런 조그만 동작이 사람들에게 어떤 인상을 줄까? 2015년 폴란드 파주코우스키(Parzuchowski) 교수팀은 이런 제스처가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를 실험했다. 사람들은 가슴에 손을 얹는 사람(49%)을 그렇지 않은 사람(18%)보다 정직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가슴에 손을 얹는 사람에 대한 신뢰도(평균 = 4.68, 7점 척도)를 그렇지 않은 사람(평균 = 4.17)보다 훨씬 높게 평가했다. 즉 가슴에 손을 얹는 제스처는 정직과 신뢰성과 관련된다고 평가했다.

 

다음으로 이런 제스처가 실제 매력 없는 사람을 평가할 때 얼마나 정확하게 평가하는지를 실험했다. 매력 없는 사람을 평가할 때, 가슴에 손을 얹는 제스처를 취한 사람(평균 = 3.38, 7점 척도)은 자신의 엉덩이에 손을 둔 사람(평균 = 3.95)보다 훨씬 매력도를 낮게 평가했다. 그만큼 정직하게 사람을 평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손을 가슴에 얹은 사람(평균 = 5.50, 9점 척도)이 어깨에 얹은 사람(평균 = 7.89)보다 속임수를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슴에 손을 얹은 간단한 제스처가 사람들이 자신은 정직하다고 생각하게 하고, 다른 사람이 자신을 더욱 믿게 하는 것은 물론 자신도 거짓말을 더 적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가운뎃손가락을 펼치는 것은 서양에서는 적대 행위로 해석된다. 그런데 가운뎃손가락을 펴는 것이 인간의 인지나 감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는 편이다. 2009년 챈들러(Chandler) 미시간대 교수팀은 악당에 대한 글을 읽는 동안 자신의 가운뎃손가락이나 엄지손가락을 펼치도록 했다. 흥미롭게도 엄지손가락 그룹(평균 = 5.73)이 둘째 손가락을 펼친 그룹(평균 = 6.59)보다 가상의 악당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가운뎃손가락 그룹(평균 = 8.41)이 둘째 손가락을 펼친 그룹(평균 = 6.74)보다 가상의 악당을 악의적으로 평가했다. 이처럼 욕설을 의미하는 가운뎃손가락과 격려를 상징하는 엄지손가락 제스처는 가상의 악당에 대한 평가마저 좌우한다.

 

 

단지 손가락을 포개는 행동이 진통 효과를 발휘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2015년 마로타(Marotta)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대 교수팀의 연구다. 실험 결과, 집게손가락 위에 가운뎃손가락을 포개는 행동(cross fingers, 행운을 바란다는 의미)만으로 고통이 경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

 

 

 

상대의 호의를 끌어내고 싶다면 따뜻한 커피를 마셔라?

 

따뜻한 음료를 마시거나 샤워를 하는 단순한 행위도 사람의 마음을 좌지우지하는 마법을 부린다. 추위는 사람들이 주변 환경을 지각하고 해석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를 토대로 2015년 첸(Chen) 홍콩대 교수팀은 기온과 소속의식 간 관계를 검증했다. 그 결과 찬물(10℃)을 마신 사람(평균 = 3.24)은 따뜻한 물(40℃)을 마신 사람(평균 = 3.78)보다 소속의식(belonging, 5점 척도)이 떨어졌다. 이어 찬물과 따뜻한 물을 마신 뒤 물 온도와 자신의 신체적 느낌을 평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찬물 그룹은 따뜻한 물 그룹보다 물 온도를 낮게 평가했고, 자신의 체온 역시 따뜻한 물 그룹보다 낮게 평가했다. 특히 이 같은 효과는 가족 간의 유대관계가 취약한 사람들이 더욱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상대방의 호의를 끌어내고 싶을 때는 냉커피가 도움이 될까, 아니면 따뜻한 커피가 도움이 될까? 따뜻하거나 찬 커피잔을 잠시 든 후 상대방을 평가하도록 한 결과, 뜨거운 커피잔을 든 사람(평균 = 4.71, 7점 척도)이 찬 커피 잔을 든 사람(평균 = 4.25)보다 상대방을 더욱 다정하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실험에서 차가운 커피잔을 들었던 사람은 자기 선물(75%)을 친구 선물(25%)보다 많이 샀다. 하지만 뜨거운 커피잔을 들었던 사람은 자기 선물(46%)보다 친구 선물(54%)을 많이 샀다. 따뜻한 커피와 같은 사물이 인간 심리는 물론 대인관계까지 좌우하는 셈이다.

 

외로운 사람이 샤워를 자주할까, 그 반대일까? 2012년 바르(Bargh) 예일대 교수팀은 외로움과 샤워빈도 간 관계를 추적했다. 연구팀은 외로움과 샤워 횟수 간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다는 것(r = 0.48)을 발견했다. 또한 외로움과 따뜻한 물을 선호하는 정도 역시 유의미한 상관관계(r = 0.26)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외로움, 즉 심리적 차가움을 따뜻한 샤워라는 물리적 따뜻함으로 보상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영화를 보면 잔혹한 살인마가 샤워하는 장면이 많다. 셰익스피어의 맥베스가 묘사하는 것처럼 손을 씻거나 샤워하는 것은 세균이나 물리적 더러움을 씻는 데 그치지 않고 영혼의 더러움을 씻는 행위로까지 확장된다. 2009년 종(Zhong) 토론토대 교수팀은 손을 씻는 단순한 행위가 영혼의 깨끗함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실험했다. 그 결과 과거에 자신이 저지른 부도덕한 행위를 회상한 사람(66%)은 도덕적인 행위를 회상한 사람(33%)보다 일회용 항균 물티슈(antiseptic wipes)를 두 배가량 많이 사용했다. 또한 손을 씻는 사람(74%)이 손을 씻지 않는 사람(41%)보다 타인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그림 3)

 

 

 

 

내 마음의 히터

 

인간관계는 흔히 온도로 은유돼 표현되곤 한다. 냉대나 환대라는 표현으로 사람에 대한 대접을 표현하기도 한다. 따뜻하거나 차갑다는 형용사로 성격을 표현하기도 한다. 사람을 평가할 때 냉혹한, 냉혈한이라고 물리적 속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성격이나 인간관계를 물리적인 속성인 기온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손님이 오면 따뜻한 커피를 대접하고 싶고, 사람을 만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샤워를 유달리 오래 하기도 한다. 여름에는 귀신이 나오는 오싹한 납량영화를 보고 싶어 하지만 추울 때는 훈훈한 로맨스 영화를 찾는다.

 

흥미로운 것은 물리적 따스함과 심리적 따스함을 관장하는 뇌 부위가 같다는 과학적 사실이다. 2013년 이나가키(Inagaki) UCLA대 교수팀은 피험자가 친구나 가족이 보낸 다정한 메시지(심리적 따스함)를 읽을 때, 또는 따뜻한 팩(물리적 따스함)을 붙잡았을 때 어떤 뇌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했다. 그 결과, 다정한 메시지(심리적 따스함)를 읽을 때와 따뜻한 팩(물리적 따스함)을 잡고 있을 때 똑같은 뇌부위(ventral striatum and middle insula)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람들은 무더운 여름에는 납량영화를 좋아한다. 그렇다면 추운 겨울에 사람들은 훈훈한 로맨스 영화를 보고 싶어 할까, 아니면 다른 영화를 보고 싶어 할까? 2012년 홍(Hong) 홍콩과기대 교수팀은 추위와 보고 싶어 하는 영화 장르 간 관계를 분석했다. 즉 날씨가 추우면 무엇인가 따뜻함을 원하고, 그 결과 훈훈한 로맨스 영화를 더 좋아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로 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날씨와 온라인 영화 대여 간 관계를 추적했다. 그 결과 날씨가 추울수록 사람들은 로맨스 영화를 더 많이 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같은 결과는 로맨스 영화를 심리적 따스함과 연상시키는 사람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즉 실제 기온과 로맨스 영화에 대한 선호 간에는 부(negative)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물리적 따뜻함은 사회적 유대, 소속의식, 불안, 신뢰도 등 다양한 심리적 속성에 영향을 미친다. 왕따는 심리적 고통에 그치지 않고 신체적 고통과 연결된다. 2008년 종 교수팀은 왕따와 추위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우선 자신이 과거에 당한 왕따를 회상한 왕따 그룹(평균 기온 = 21.44℃)은 비왕따 그룹(평균 기온 = 24.02℃)보다 똑같은 실내온도를 더 낮게 평가했다. 다음으로 온라인 게임에서 소외된 사람은 따뜻한 음식과 음료를 찾는 경향이 더 높았다. 구체적으로 왕따 그룹(평균 = 5.17, 7점 척도)이 비왕따 그룹(평균 = 4.33)보다 따뜻한 음식과 음료를 더 많이 찾았다. 이처럼 심리적 냉대인 왕따를 경험한 사람은 물리적으로 따뜻한 음식과 음료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온라인상에서 왕따는 어떻게 표현될까? 2012년 이저만(Ijzerman) 네덜란드 틸버그대 교수팀은 온라인 게임에서 왕따를 당하는 게이머의 체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실험했다. 이 실험에서 온라인게임을 할 때 왕따를 당하면 게이머의 손가락 온도가 실제 떨어졌다. 하지만 따뜻한 찻잔을 든 후에는 왕따를 겪은 사람도 부정적 감정이 다소 완화됐다.

 

또 다른 연구는 스트레스를 받은 뒤 인간관계에 불안해하는 사람은 물리적으로 따뜻한 온기를 더 간절하게 필요로 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더욱이 관계에 불안해하는 사람은 따뜻함에 노출된 뒤 자신의 연인관계에 더욱 만족해했다.

 

온도와 신뢰는 어떤 관계일까? 우선 차가운 팩과 따뜻한 팩을 만진 뒤 익명의 파트너에게 얼마나 투자할 것인지를 물었다. 그 결과 차가운 팩을 만진 사람은 따뜻한 팩을 만진 사람보다 투자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방에 대한 불신을 보여줬다. 따뜻한 음료를 들고 있을 때는 사회적으로 친밀감을 느끼지만 사회적으로 고립된 존재라고 느낄 때 주변 온도가 더욱 차갑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흔히 기분전환을 위해 쇼핑을 한다는 말을 한다. 쇼핑이란 물리적 행위가 심리적 기분전환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2014년 이승환 애리조나주립대 교수팀은 소비와 행동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실험했다. 첫째, 혼자 식사하는 경우와 파트너와 함께 식사하는 경우 주변 온도를 어떻게 평가하느냐 하는 문제다. 나 홀로 식사하는 사람은 실내온도를 실제 온도(21.5℃)보다 2.10℃ 낮게 평가했지만 파트너와 함께 식사하는 사람은 실제 온도보다 2.87℃ 높게 평가했다. , 자신의 외로움과 주변 온도에 대한 인식이 연계돼 있다는 것이다.

 

내 마음의 리모컨 = 신체

 

인간은 정신이 신체를 통제하기도 하지만 신체가 정신을 통제하기도 한다. 마음대로 몸을 움직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몸이 마음을 통제하는 것은 쉽게 이해하기 힘들다. 최근 과학자들은 마음을 리모컨처럼 통제하는 제스처 같은 몸의 파워,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대한 연구를 쏟아내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에서체화된 인지라는 개념의 중요성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이는 흔히 내용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그만큼 형식도 중요하다는 표현이다. 또한 진심은 통한다고 말하지만 진심을 전할 때 형식도 중요하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제스처, 주변 환경, 신체 같은 마음의 리모컨은 강력한 주문으로 마법을 부린다. 마음의 리모컨은 믿는 사람에게공감 주술로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왕따를 당하거나 외로울 때 따뜻한 커피, 핫팩, 따뜻한 물 샤워, 밝은 조명, 로맨스 영화 같은 물리적 따뜻함으로 치유하는 하나의 치료법이 되고 있다. 행동이 정신을 통제하는 과학자의 연구결과는 커뮤니케이션의 성공방정식을 다차원으로 변형시키고 있다.

 

참고문헌

Schubert, T et al,. (2009). The embodied self: Making a fist enhances men’s power-related self-concep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5, 828-834.

Hung, I et al,. (2011). From Firm Muscles to Firm Willpower: Understanding the Role of Embodied Cognition in Self-Regul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6, 1046-1064.

Parzuchowski, M et al,. (2015). Hand over heart primes moral judgments and behavior.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38-1, 145-165.

Chandler, J et al., (2009). How ex-tending your middle finger affects your per-ception of others: Learned movements in-fluence concept accessi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5-1, 123-128

Marotta, A et al,. (2015). Trans-forming the thermal grill effect by crossing the fingers. Current Biolo-gy, 25-8, 1069-1073.

Inagaki, T et al,. (2013). Shared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social warmth and physical warmth. Psychological Science, 24-11, 2272-2280.

Hong, J et al,. (2011). Warm it up with love: the effect of physical coldness on liking of romance mov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9-2, 293-306.

Zhong, C et al,. (2008). Cold and lonely: does social exclusion literally feel cold? Psychological Science, 19-9, 838- 842.

Ijzerman, H et al,. (2012). Cold-blooded loneliness: social exclusion leads to lower skin temperatures. Acta Psychologica, 140-3, 283-288.

Lee, S et al., (2014). Embodied cognition and social consumption: self-regulating temperature through social products and be-havior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4-2, 234-240.

Chen, Z et al,. (2015). Cold thermal temper-ature threatens belonging: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6-4, 439-446.

Bargh, J et al,. (2012). The substitutability of physical and social warmth in daily life. Emotion, 12-1, 154-162.

Zhong, C et al,. (2006). Washing away your sins: threatened morality and physical cleansing. Science, 313-5792, 1451-1452.

 

허행량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hsignal@gmail.com

필자는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했고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매체경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SSCI급 저널에 손가락 비율과 얼굴 넓이-높이 비율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매일경제신문>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저서로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까?> 등이 있다.

 

  • 허행량 허행량 | - (현)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매일경제신문> 기자
    -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가?>의 저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