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cience Says

밝고 긍정적인 얼굴 표정, 평생 연봉과 행복 좌우한다

허행량 | 157호 (2014년 7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 자기계발

인생을 좌우하는 감정 표현

밝고 웃는 표정은 긍정적·적극적 성격으로 이어져 대인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침.

감정 전염의 미러링(mirroring) 효과

감정 표현은 상대방의 감정까지 바꿀 수 있는 전염력을 갖고 있음. 다른 사람이 겪는 스트레스를 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를 받게 됨.

감정 경영

행복을 결정짓는 요소는 크게 유전자, 경제력, 커뮤니케이션 세 가지임. 이 중 유전자와 경제력은 일정 부분팔자소관이지만 커뮤니케이션은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강화,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요소임. , 매일 찡그린 인상으로 분노에 가득 찬 말을 전염시키는 대신 행복한 표정을 지으며 칭찬하는 말을 퍼뜨리기 위해 힘쓸 필요가 있음.

 

 

얼굴표정 = 평생연봉

인간은 얼굴이라는캔버스에 감정이라는그림을 그리는 존재다. ‘얼굴 캔버스하나에 희로애락 등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그렸다 지웠다 하면서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다. 얼굴에 그림을 그리는 화가는 바로 우리 자신이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얼굴은 천연자원, 그것을 개발하는 감정 표현은 우리 자신의 몫인 셈이다. 더욱이 자신이 얼굴에 그린 감정은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자신의 인생수익률을 좌우하는 투자이기도 하다.

 

감정 표현에 돈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감정을 표현하려면 마음만 먹고 얼굴 근육을 움직이면 되기에 투자비가 전혀 들지 않는다. 마음만 먹으면 무한대의 표현이 가능하다. 즉 투자비가 없고, 그 수익은 쉽게 계산할 수 없을 정도로 잠재력이 무한하다. 자기 마음대로 그릴 수 있는 감정 표현은 자신이 수익률을 결정하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자산이자 투자물이다. 우리는 감정 표현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면서도 그 가치를 전혀 모른 채, 아니면 바쁜 일상에 매달려 자원을 낭비하고 있다. 감정 표현을 잘해선호 1가 되도록 천연자원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암울하거나 우울한 표정으로기피 1가 돼 소중한 자원을 낭비하는 사람도 많다.

 

감정 표현은 단순한 표현에 그치지 않고 성격은 물론 인생을 좌우한다. 2001년 버클리대 하커(Harker) 교수팀은 앨범 사진에 나타난 여대생의 감정 표현을 평가한 뒤 30년 후 어떻게 사는지를 추적한 결과, 감정 표현이 인생의 행복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밝고 웃는 표정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성격으로 이어져 배우자를 포함한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웃는 표정을 많이 지을수록 독신 대신 결혼할 확률이 높고, 결혼만족도도 높았다. 특히 행복한 표정을 지을수록 개인의 웰빙점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감정 표현은 자신의 성격은 물론 웰빙을 결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에 대한 사회적 평가와 상대방의 이해를 도와 사회생활을 원활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런 추론은 포커페이스를 지으면 자신의 감정 표현을 통제할 수 있지만 상대방의 감정 표현에 둔감해지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는 또 다른 연구결과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그림 1)

 

감정 표현은 자신의 성격이나 행동은 물론 상대방의 감정을 바꿀 수 있는 전염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 혹은 그런 상황을 만드는 사람들을 의도적으로 피하려고 한다. 행복이나 슬픔과 같은 감정은 사람들 간에 전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우울한 표정을 지으면 대인관계에서기피 1로 전락하게 되고 즐거운 표정을 지으면선호 1가 된다. 투자비가 전혀 없어 먼저 행복한 감정을 표현해 상대방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데도형님 먼저, 아우 먼저로 상대방에게 미룬다. 투자 효과를 생각한다면 자신이 먼저 감정을 표현해 이를 상대방에게 전염시키는주고받기(give and take)’가 효과만점인 셈이다.

 

그림 1성격은 물론 인생까지 좌우하는 감정 표현

 

 

감정 전염의 미러링 효과

인간의 감정·행동은 전염병처럼 전염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내가 행복한 표정을 지으면 상대방도 행복해지는 미러링이 일어난다.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에 있는 거울 신경(mirror neuron)이 감정·행동 전염을 가능케 해 인간의 상호유대감을 구축하는 핵심 메커니즘이라고 주장한다. 실제 커뮤니케이션은 당사자 간 상호 조율(attunement)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 조율을 통해 서로 동화(accommodation)를 수용할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미러링은 바로 동화를 수용했다는 시그널이다.

 

2014년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엥거트(Engert) 박사팀은 인간은 타인이 겪는 스트레스를 보는 것만으로도 자신 역시 스트레스를 받는 존재임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했다. 친소관계(낯선 사람인지 혹은 친밀한 파트너인지), 경험방식(직접 알고 지내는 실제 주변 사람인지, 아니면 TV를 통해서나 간접적으로 얼굴을 접하는 사람인지), 남녀에 상관없이 타인이 겪은 스트레스를 보고 100명 가운데 26명꼴로 스트레스 호르몬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겪는 타인이 낯선 사람이면 피험자(타인의 스트레스 현장을 접한 사람)의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솔)이 약 10% 정도 증가했지만 해당 인물이 파트너인 경우엔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약 40% 정도 늘었다. 비디오로 타인이 스트레스를 겪는 것을 봤을 땐 24% 정도, 현장에서 타인이 직접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을 지켜보면 약 30% 정도 피험자의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증가했다. 이 밖에 남성이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을 볼 경우엔 23% 정도, 여성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엔 약 27% 정도 피험자의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유의미하게 늘었다. 인간이 아무리 이기적인 존재라도 타인이 받는 스트레스에 공감하는 것을 보면 인간이 얼마나 서로 의지하는 존재인지를 말해준다. 우리가 매일 노출되는 주변 상황이나 사람이 스트레스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 2)

 

책을 읽을 때 주인공의 감정도 독자에게 전염된다. 스토리를 읽는 동안 독자는 주인공이 돼 주인공처럼 느끼고 주인공처럼 행동한다. 2009년 워싱턴대 스피어(Speer) 교수팀은 사람들은 이야기 속 주인공의 감정이나 동작 하나하나를 미러링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구체적으로 주인공의 동작을 따라 하지는 않지만 동일한 행동을 관장하는 뇌세포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가령 주인공이 친구의 죽음을 슬퍼하며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면 독자도 실제 눈물을 흘리지는 않지만 눈물을 흘리는 것을 관장하는 뇌 부위가 활성화된다.

 

스트레스나 우울증 같은 부정적 감정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선 이를 피하는 것이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돈을 버는 매출관리도 중요하지만 돈을 절약하는 비용관리가 더 중요한 것과 마찬가지라는 논리에서다. 스트레스의 원천인 우울하거나 암울한 사람과의 교제를 가능하면 피하고 그런 뉴스, 영화,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피하는 게 상책이다. 우울한 음악을 듣고 난 뒤 자살한 사람이 많아자살곡으로 불리는글루미 선데이(Gloomy Sunday)’까지 나오는 것을 보면 음악·영화·드라마 속 감정이 얼마나 강력하게 전염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처럼 행복해지려면 행복을 위해 투자하기보다 우선 행복을 해치는 것으로부터의 전염을 피하는 비용관리가 중요하다.

 

인간은불운보다는행운과 연계되기를 원한다. 커뮤니케이션도 마찬가지로 나쁜 표정을 짓거나 헐뜯는 말을 하는 사람보다는 밝은 표정을 지으면서 칭찬하는 말을 하는 사람과 이어지기를 갈구한다. 과학자들은 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감정 전염의 증거를 내놓고 있다. 2001년 독일 튀빙겐대 빌트(Wild) 교수팀은 인간의 감정은 상대방으로부터 즉각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며 유발된 감정의 크기는 원래 감정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같은 감정전염은 아주 짧은 노출만으로도 가능하며 남녀를 구별하지 않고 유발된다. 흥미로운 것은 다른 감정에 비해 행복과 슬픔이 가장 강력하게 전염된다는 사실이다. 다른 연구도 웃음, 미소, 하품, 스트레스, 우울증이 전염된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감정 전염에도 방향이 있다. 2005년 롱비치 캘리포니아주립대 사이(Sy) 교수팀은 지도자의 감정이 그룹 내에서 전염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이 실험에서 지도자의 긍정적인 감정은 부하직원에게 확대 전염되고 부정적인 감정은 축소 전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자가 긍정적인 감정일 때 부하직원들은 더 적극적으로 그 감정에 미러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감정 전염에서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보다는 긍정적 감정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또 다른 연구도 긍정적 태도는 상대방의 미러링을 가져올 가능성을 높이지만 부정적 태도는 이를 낮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2013년 영국 세필드대 베리오스(Berrios) 교수팀은 미팅에서 어떤 성격유형이 이성의 호감을 사는지를 조사했다. 실험결과 일부러 자신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조절하려고 노력하는 사람, 감정 표현이나 감정 이입을 잘하는 사람,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쉽게 토로하는 사람이 상대 이성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감정 표현과 관리를 잘하는 사람이 사회적 경쟁력이 우월하다는 증거다. 또 다른 연구는 자신이나 상대방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이를 능숙하게 조절하는 사람이 대인관계에서 호감이나 신뢰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연구는 감정 표현을 잘하는 사람이 상대방의 감정을 잘 이해해 커뮤니케이션에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감정 전염은 스포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축구나 농구처럼 선수들 간 신체접촉이 많은 스포츠는 상대방의 감정을 고의로 자극해 경기 흐름이나 승패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2010년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페핑(Pepping) 교수팀은 페널티킥에 성공한 뒤 두 팔을 크게 벌리며 기쁨의 세리머니를 하면 이 같은 감정이 동료 선수와 경쟁팀 선수에게 어떻게 전염되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기쁨의 세리머니를 하는 게 하지 않는 것보다 상대 팀 선수가 페널티킥에서 성공할 확률을 낮추고, 동료선수가 페널티킥에 성공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널티킥 성공의 기쁨을 최대한 과장 표현하는 것이 동료선수와 경쟁 팀 선수에게 정반대의 효과를 일으키는 것이다.

 

2000년 영국 세필드대 토터델(Totterdell) 교수는 크리켓 스타선수의 감정 전염이 어떻게 팀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다. 그 결과 동료선수의 기분이 좋을 때나, 나이가 많거나, 팀에 헌신적인 선수일수록 동료선수의 감정이 전염돼 팀 성적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저리그 야구를 분석한 또 다른 연구도 타자들 간의 안타 행진도 전염성이 높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그림 2보는 것만으로도 타인에게 전달되는 감정 전염

 

 

 

매일 찡그린 인상으로 분노에 가득 찬 말을 전염시킨 사람과 행복한 표정을 지으며 칭찬하는 사람 가운데 누가 더 커뮤니케이션 자산이 풍족할까.

 

행복코드, 커뮤니케이션

인간은 행복을 꿈꾼다. 과학자들은 행복을 가져오는 비결로 유전자, 경제력, 커뮤니케이션을 꼽는다. 우선 선천적으로 낙천적이라 마냥 행복해 하는 사람이 있다.매일 돈벌이에 매달려 돈으로 행복을 사려는 사람도 있다.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행복을 꿈꾸는 사람도 있다. 유전자, 경제력, 커뮤니케이션이 행복을 좌우하지만 이 세 가지 변수는 속성이 다르고 변수 간 상호작용도 다양하기에 이에 대한 이해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선결 요건이다. (그림 3)

 

우선 유전자는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결정된 것이니팔자라고 할 수 있다. 돈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재산과 자기 노력의 합작품이기에반 팔자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돈을 버는 일은 마음먹은 대로 되는 것이 아니라약육강식의 논리가 지배하는 시장경쟁에 따라야 한다. 이에 비해 커뮤니케이션은 자신이 투자하는 만큼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개선이 쉽다. 자신의 노력으로 가장 확실하게 행복해 질 방법은 커뮤니케이션인 셈이다.

 

과학자들은 낙천주의자는 유전자부터 다르다고 주장한다. 옥시토신 유전자 수용체(OXTR)와 세로토닌 유전자 변형체(5-HTTLPR)는 인간의 낙천주의적 성향이나 불안·우울증세와 관련이 있다. ‘인생은 아름다워라는 영화의 주인공이 어두운 면보다 밝은 면을 보는 것도 세로토닌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 부부생활의 만족도 역시 세로토닌 유전자와 연관이 있다는 최근 연구결과도 행복의 첫째 조건은 타고난 유전자라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자본주의 체제하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돈은 중요한 행복의 필요조건이다. 2013년 미시간대 스티븐슨(Stevenson) 교수는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그 효과가 감소한다는 실증적 결과를 발표했다. 상대적 소득이 행복을 좌우하거나, 소득은 삶의 만족도와 비례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소득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인간의 갈망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여하튼 소득으로 행복을 사는 것은 살인적인 경쟁을 거쳐야 하므로 쉽지 않다.

 

이에 비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행복을 사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기법 연마에 투자하면 된다. 물론 사람 대부분이 돈과 커뮤니케이션 둘 다 갖춰 행복을 사려 하지만 그런 행운은 아무에게나 오지 않는다. 돈은 권력과 지배욕(dominance)을 가져다준다. ‘돈이 있으면 귀신도 부릴 수 있다는 말처럼 돈은 지배욕을 드러내 커뮤니케이션을 해치기 쉽다. 이러한 속성을 모른 채 사람들은 행복을 위해 돈벌이에 집착하면서도 마음대로 풀리지 않으면 찌푸린 얼굴로 세상을 살아간다. 행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오히려 행복을 쫓아내는 셈이다. 백화점을 가도, 회사를 가도, 운동하러 가도 무표정한 얼굴로 행복을 좇는 것인지, 쫓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한 사회적 자산이라는 사실을 참작하면 자신의 귀중한 무형자산을 망치고 있는 셈이다.

 

감정 경영

유전자와 돈은팔자타령을 해도 되지만 커뮤니케이션은팔자 탓이 아니라내 탓이다. 우리 조상들은웃으면 복이 온다’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는 등으로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해왔다. 매일 찡그린 인상으로 분노에 가득 찬 말을 전염시킨 사람과 행복한 표정을 지으면서 칭찬하는 말을 퍼뜨린 사람 가운데 누가 더 커뮤니케이션 자산이 풍족할까. ‘40대 이후에 자신의 얼굴에 책임을 지라는 말처럼 자신의 커뮤니케이션에 책임을 져야 한다. 미소를 포함한 표정을 짓는 것은팔자타령을 할 것이 아니라 본인이 노력하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우리 주변에는 얼굴이 무표정하고 우울한 사람이 뜻밖에 많다. 과학자들은 현실이 사람의 표정을 이렇게 만들기도 하지만 이런 표정이 현실을 더 우울하고 암울하게 한다는 다양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 유달리 우울하거나 암울한 음악이나 영화, 구체적으로 쥐어짜는 노래나 암울한 장면이 가득한 영화가 많다. 동체일심과 감정 전염은 우리가 누구, 그리고 무엇과 주파수를 맞추며 살아가느냐에 따라 우리의 행복, 나아가서 인생을 좌우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 번 사는 인생, 당신은 우울한 세상에 자신을 맡기고 싶은가, 아니면 행복한 세상에 맡기고 싶은가? 얼굴 생김새는 조상 탓이라고 할 수 있지만 표정은 우리 자신의 책임이기에 그 답은 우리 자신에게 있다.

 

그림 3행복을 결정짓는 3요소-유전자·경제력·커뮤니케이션

 

참고문헌

Harker, L et al. (2001). Expressions of positive emotion in women’s college yearbook pict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ersonality and life outcomes across adult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1, 112-124.

Engert, V et al,. (2014). Cortisol increase in empathetic stress is modulated by emotional closeness and observation modality. Psychoneuroendocrinology, 45, 192-201.

Wild, B et al,. (2001). Are emotions contagious? Evoked emotions while viewing emotionally expressive faces: quality, quantity, time course and gender differences, Psychiatry Research, 102-2, 109-124.

Sy, T et al,. (2005). The contagious leader: impact of the leader’s mood on the mood of group members, group affective climate, and group process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295-305.

Berrios, R et al,. (in press). Why do you make us feel good? Correlates and interpersonal consequences of affective presence in speed-dating.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Moll, T et al,. (2010). Emotional contagion in soccer penalty shootouts: celebration of individual success is associated with ultimate team success.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0, 28-9, 983-992.

Totterdell, P. (2000). Catching moods and hitting runs: mood linkage and subjective performance in professional sport team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6, 848- 859.

Stevenson, B & Wolfers, J. (2013). Subjective well-being and income: is there any evidence of sati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Papers & Proceedings, 103-3, 598-604.

 

허행량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hsignal@gmail.com

필자는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했고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매체경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SSCI급 저널에 손가락 비율과 얼굴 넓이-높이 비율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매일경제신문>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저서로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까?> 등이 있다.

  • 허행량 허행량 | - (현)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매일경제신문> 기자
    -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가?>의 저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