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lose Up

지리를 알면 안 보이던 것이 보인다

한근태 | 233호 (2017년 9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국가 간 역학 관계 중 대부분은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형성된 것이다. 최근의 북한 문제도 엄밀히 들여다보면 중국 등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국가의 지정학적 이해관계 차이로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과 티베트의 문제도 그렇다. 티베트는 황허, 양쯔, 메콩강의 수원이 있는 중국의 급수탑이다. 엄청난 인구를 거느린 중국에 물은 소중한 자산이고, 결국 티베트 이슈는 중국에 인권 문제가 아닌 지정학적 안보 문제다. 만약 압록강과 중국 사이에 히말라야산맥이 있었다면, 우리가 호주처럼 대륙과 먼 섬나라에 있었으면 훨씬 평화로운 역사를 만들 수 있었을지 모른다. 결국 지리가 역사를 설명한다.
 

요즘 북한 때문에 전 세계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미국은 중국에 북한을 더 세게 압박하라고 밀어붙인다. 그런데 중국은 말을 듣지 않는다. 앞으로도 말을 듣지 않을 것이다. 중국에 북한은 좋은 완충지대다. 그게 사라지면 자신들이 바로 미국과 접해야 하고, 그러면 위험이 더 커진다. 미국과 서유럽이 잘사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럽에서도 스페인과 그리스가 못사는 이유는 또 무엇일까? 큰 땅덩어리를 가진 중국이 쪼잔하게 섬 문제에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또 아프리카와 남미가 못사는 이유는? 지리적 요인이 크다. 이번에는 그런 이슈에 대해 통찰력을 줄 책 <지리의 힘>을 소개한다.


20230620_144032


 

해양 강국을 꿈꾸는 중국

먼저 중국을 생각해보자. 중국은 4000년 만에 처음으로 대륙의 나라에서 해양 강국을 꿈꾸고 있다. 이제껏 중국은 변변한 해군력을 가져본 적이 없다. 북쪽에는 고비사막이 있어 적의 접근이 쉽지 않고 적이 접근해도 미리 알 수 있다. 일종의 조기경보 방어체계라 할 수 있다. 왜 중국은 티베트 문제에 목숨을 걸까? 중국은 지정학적 공포를 느끼고 있다. 만약 티베트를 통제하지 못하면 언젠가 인도가 나설 것이고 인도가 티베트의 통제권을 얻게 되면 거침없이 중국의 심장부까지 밀고 들어갈 수 있다. 또 티베트는 중국의 급수탑이다. 여기에 황허, 양쯔, 메콩강의 수원이 있다. 인구가 미국의 다섯 배인 중국에 물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많은 사람들은 티베트를 인권문제로 보지만 중국은 이를 지정학적 안보 문제로 본다. 그래서 쿤룬산맥 때문에 라싸로 절대 들어가지 못한다는 전문가의 선입견을 이기고 2006년 기어이 기차를 개통해 하루에 네 번씩 승객과 물자를 실어 나른다. 철도로 티베트의 생활수준이 높아진 건 물론 700만 명의 한족 정착민도 함께 들어왔다. 티베트 문화권에서 티베트인은 이미 소수로 전락했다.


만주, 내몽골, 신장 등에서는 이미 한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신장지구 역시 중국이 절대 포기할 수 없는 땅이다. 신장지구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국가는 러시아,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까지 합해 8개국이다. 신장지역은 30, 40년대 두 번이나 독립국가를 선포한 적이 있고 2009년에는 대규모 민족분규가 발생해 200명 넘게 사망했다.


하지만 베이징의 대처 방식은 명확했다. 첫째, 반대세력은 무자비하게 탄압한다. 둘째, 그 지역에 돈을 쏟아붓는다. 셋째, 꾸준하게 한족을 이동시킨다. 이곳은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신장은 8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고 중국 심장부의 완충 역할을 한다. 다량의 원유가 매장돼 있다. 핵무기 실험장도 이곳에 있다. 신장지구에는 중앙정부에서 투자한 공장에서 일하려는 한족들로 넘쳐난다. 우루무치에서 136㎞ 떨어진 스허쯔시는 65만 명 인구 가운데 62만 명이 한족이다. 수도 우루무치도 한족이 다수 민족이 돼 가는 중이다. 따라서 그들의 독립은 쉽지 않을 것이다.


이제껏 중국은 변변한 해군력을 가져본 적이 없었다. 광활한 땅덩어리와 긴 국경선, 그리고 짧은 바닷길 덕분에 굳이 해양 세력이 돼야 할 필요성이 없었다. 하지만 이제는 막강한 대양 해군력을 구축해 해양 강국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땅의 나라에서 해양 강국으로 변신하고 있다. 21세기에는 국제적인 해군력 없이는 패권국이 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인식한 중국은 동중국해, 남중국해 등 여러 대양과 해협에서 영유권 분쟁을 치르고 있다. 중국이 이처럼 해상 항로에 집착하는 이유는 이 경로를 통해 자국의 상품이 해외로 나갈 수 있고 또 상품을 만들 수 있는 자원들이 들어오기 때문이다. 만약 가스와 원유를 중국으로 수송하는 해협들과 교역을 가능케 하는 대양이 봉쇄된다면 중국은 고립될 수밖에 없다. 생존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기후의 축복을 받은 미국

둘째, 미국이다. 미국은 지리적 축복으로 세계 최강국이 됐다. 미국은 한마디로 기후와 지리의 축복을 듬뿍 받은 곳이다. 대서양부터 태평양에 이르는 지역까지 통합을 이루면서 무력으로 침범하기 어려운 지리적 위치를 확보했다. 1723년 미국은 조지아주를 마지막으로 초기 13개 식민지주가 성립됐다. 1775∼1783년 사이 독립전쟁을 일으켰다. 애팔래치아산맥은 2414㎞로 어마어마한 규모다. 영국 정부는 애팔래치아산맥 서쪽 지역에 주민들이 정착하는 것을 반대했다. 관리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1803년 미국은 프랑스로부터 1500만 달러를 지불하고 뉴올리언스가 있는 루이지애나 지역의 지배권을 샀다. 덕분에 영토가 두 배로 늘었다. 역사학자 헨리 애덤스는 “투자 대비 이렇게 많은 것을 얻은 일은 이제껏 없었다”라고 평한다. 미시시피강은 2897㎞에 달한다. 미니애폴리스 근처에서 발원해 멕시코만에서 끝난다. 해상 운송은 육로보다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 천연 수로 역할을 톡톡히 한다.


1819년 스페인은 플로리다뿐 아니라 덤으로 꽤 넓은 토지까지 미국에 넘긴다. 1821년 멕시코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자 두 나라는 마주 보는 형국이 된다. 1821년에는 멕시코가 캘리포니아 북부 끝까지 지배하고 있었고 텍사스 쪽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었다. 당시 멕시코 인구는 620만 명, 미국은 960만 명이었다. 두 나라의 세력은 비등비등했다. 1835년부터 벌어진 텍사스혁명으로 백인 정착민이 멕시코인을 몰아냈지만 대접전이었다. 미국의 자본과 사상의 수혜를 받은 텍사스가 독립을 선언하고 1845년 미국에 귀속됐다. 1846년부터 미국과 힘을 합쳐 스페인과 싸웠다. 결국 멕시코는 리오그란데강 남쪽으로 쫓겨간다. 이로써 캘리포니아, 뉴멕시코, 네바다, 유타, 콜로라도의 일부가 포함된 미국의 국경이 확립된다. 1867년에는 국무장관 윌리엄 슈어드는 720만 달러, 에이커당 2센트에 알래스카를 사들인다. 처음엔 쓸데없는 냉장고를 샀다고 놀림을 받았지만 1896년 금광이 발견되고 거대한 유전이 발견되자 그런 얘기는 쏙 들어갔다.


1869년에는 대륙횡단철도가 개통된다. 1898년 스페인의 힘이 약해지자 미국은 스페인에 전쟁을 선포하고 쿠바, 푸에르토리코, 괌은 물론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까지 손에 넣는다. 모두 좋은 땅이었지만 특히 괌이 유용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는 비좁은 말라카 해협에 있다. 이 해협을 통해 매일 1200만 배럴의 원유가 지나간다. 외국 원유와 가스에 대한 중국의 갈증은 점점 커지지만 미국의 니즈는 줄어들고 있다. 셀 가스 덕분에 2020년부터는 에너지 수출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편 걸프 지역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 것이다. 걸프 지역은 새로운 파트너로 중국을 찾을 것이다. 미국 5함대는 바레인에 있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쇠락을 점쳤지만 이 예측은 빗나가고 있다. 이 나라는 에너지 자급자족마저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나토국가들의 방위비를 합친 것보다 많은 국방비를 쓰고 있다. 게다가 미국의 인구는 유럽이나 일본처럼 고령화되지 않았다. 세계 인구의 25%가 미국으로 이민을 가고 싶어 한다. 세계 최고의 대학 20개 중 17개가 미국에 있다. 비스마르크는 1세기 전 이런 말을 했다. “신은 바보들과 주정뱅이, 그리고 미국에 특별한 섭리를 베푸신다.” 이 말은 지금도 유효해 보인다.

20230620_144016






지리적 분열이 함께하는 서유럽


셋째, 서유럽이다. 이념적 분열과 지리적 분열이 함께 감지되고 있다. 서유럽에는 진정한 의미의 사막이 없다. 지진이나 화산, 대규모 홍수 또한 드물다. 하천들은 길고 평탄해서 선박을 통한 교역이 쉽다. 천연 항구가 많다. 상대적으로 축복받은 곳이다. 근데 왜 이렇게 많은 민족국가가 존재하는가? 눈에 띄게 많은 산맥과 강, 계곡을 보면 납득이 간다. 이베리아반도는 피레네산맥 때문에 다른 쪽과 소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프랑스도 피레네산맥, 알프스, 라인강, 대서양 같은 천연 방벽으로 형성된 나라다. 유럽의 주요 강은 서로 만나지 않는다. 대다수 강들이 연결돼 있지 않다. 당연히 이 하천이 천연 국경 역할을 한다. 하천 유역마다 적어도 하나의 주요 도시들이 발전했다. 2858㎞로 두 번째로 긴 다뉴브강은 독일의 블랙포리스트에서 발원해 남쪽으로 흘러 흑해로 간다. 무려 18개 나라에 영향을 준다. 연안은 자체로 국경을 형성한다. 슬로바키아와 헝가리,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세르비아와 루마니아, 루마니아와 불가리아 등등…. 2000년 전에는 로마제국의 국경이었고 중세 이후에는 주요 교역로, 오늘날 오스트리아 수도인 빈, 브라티슬라바(슬로바키아 수도), 부다페스트(헝가리 수도), 그리고 베오그라드(세르비아 수도)가 다뉴브 유역에 탄생했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오스만제국의 천연 국경이기도 했다. 서유럽은 남유럽보다 훨씬 잘산다. 스페인은 피레네산맥을 넘거나 아니면 포르투갈과 북아프리카와 교역을 해야 한다. 남쪽은 북쪽에 비해 농업에 적합한 연안 평야가 적고 가뭄이나 자연재해의 피해를 더 많이 받았다. 지리적 이점을 가장 많이 누리는 나라는 프랑스다. 북쪽과 남쪽을 전부 아우르는 나라가 사실 프랑스 말고는 없다. 서유럽 쪽으로 비옥한 대지가 펼쳐져 있다. 상당수 강이 서로 연결돼 있다. 서쪽으로 흐르다 대서양으로 빠지는 센강, 남쪽으로 흐르는 론강은 지중해로 흘러간다. 이 지리적 특징은 상대적으로 평탄한 지형과 어우러져 나폴레옹 시대부터 지역 통합을 이루고 권력을 중앙으로 모으는 데 적합했다.


이탈리아 남부는 북부에 비해 못산다. 북부는 중공업과 관광업, 금융의 중심지이다. 남부와 분리하자는 움직임까지 있다. 스페인도 그렇다. 연안 평야는 토질이 나쁘고 규모도 적다. 하천의 길이가 짧아 내륙으로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고원지대인 메세타 센트럴은 아예 내륙 일부 시장과의 연결을 막았다. 서유럽과는 피레네산맥이 막았다. 그리스도 그렇다. 해안은 주로 가파른 벼랑이다. 농사를 지을 만한 평야도 거의 없다. 내륙은 가파르고 하천들도 수송에 부적합하다. 폭이 넓고 토양이 비옥한 골짜기도 드물다. 숙련된 고급 인력을 보유한 대도시도 개발하기 어렵다. 게다가 바다 건너편에 ‘거인’ 터키가 있다. 그리스는 19세기와 20세기 초반 터키와 몇 차례 전쟁을 치렀고 그 때문에 현재까지도 많은 돈을 국방에 쏟아붓고 있다. 섬이 1400개이고 그중 사람이 사는 곳은 200개이다. 영해 순찰을 위해서는 해군이 필요하다. 감당하기 힘든 국방비를 써야 한다.


독일은 평야지대이기 때문에 불안하다. 서쪽에는 프랑스, 동쪽에는 러시아가 있다. 최악은 두 나라가 동시에 침공하는 것이다. 두 나라는 서로를 두려워한다. 1907년 프랑스가 러시아, 영국과 손을 잡고 3자 동맹을 맺었던 것도 이런 배경이 있다. 유럽연합의 설립에는 프랑스와 독일의 화해가 깔려 있다. 더 이상 상대를 향해 주먹을 날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는 독일에 도움이 됐다. 원래 유럽연합은 1951년에 만들어진 유럽석탄철강공동체가 발전해 28개국이 모인 하나의 집합체가 됐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부유한 나라들이 가난한 나라를 도와야 할 처지가 되자 부자국가 사이에 격렬한 반발이 일어났다. 지리적으로 영국은 훌륭한 편이다. 질 좋은 농지, 훌륭한 하천들, 최적의 해양 접근성, 유럽대륙과 교역하기 부족함이 없는 어획량 등…. 섬나라 덕도 본다. 유럽국가들이 전쟁과 혁명의 소용돌이에 있을 때 영국은 괜찮았다. 물론 영국도 전쟁은 했지만 늘 본토와는 한 발짝 떨어져 있을 수 있었다. 전략적 이점을 보장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영국을 잇는 해상 항로의 요충지인 이른바 GIUK갭이다. 도버해협은 33㎞에 불과하다. 북극해에서 출발하는 어떤 러시아 해군함정도 이 갭을 통과하지 않고는 대서양으로 나갈 수 없다. 스코틀랜드 독립에 민감한 이유도 그렇게 되면 북해와 북대서양에서의 주도권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영국은 유럽 가운데 있지만 여전히 유럽 바깥에 있다. 두 가지 이슈가 있다. 주권과 이민자 문제다.

 

아킬레스건을 가진 러시아

넷째, 러시아다. 가장 넓은 나라지만 지리적으로 아킬레스건을 갖고 있다. 이 나라를 횡단하려면 6일은 걸린다. 러시아는 미스터리라는 포장지로 여러 겹 싸여 불가사의한 나라다. 1939년 처칠이 한 말이다. 하지만 열쇠가 있다. 바로 러시아의 국익이다. 러시아가 가장 경외하는 것은 강인함이다. 나약함을 경시한다. 러시아 입장에서 폴란드는 군대를 이동시켜야 할 때는 상대적으로 좁은 통로지만 반대로 적군이 모스크바로 진격하는 것을 막는다. 극동 지역에서 러시아를 지켜주는 건 지리다. 아시아에서 러시아 내로 군대를 이동시키기는 어렵다. 너무 넓고 춥기 때문이다. 우랄까지는 갈 수 있지만 더 이상은 힘들다. 그 긴 보급선을 어떻게 할 것인가? 지난 500년간 러시아는 몇 차례 침공을 받았다. 1605년 폴란드가 북유럽평원을 건너 들어왔다. 1708년에는 카를 12세 치하의 스웨덴이 침공했다. 1812년에는 나폴레옹의 프랑스가, 1914, 1941년에는 독일이 두 차례 침공했다. 하지만 다 실패했다. 러시아는 부동항의 의지가 강하다. 북극해의 무르만스크는 1년에 몇 달은 얼어 있다. 블라디보스토크조차 1년에 4개월은 언다. 따뜻한 물이 흐르는 해상교통로를 만드는 것은 그로부터 200년이 넘은 지금도 난제로 꼽힌다. 아킬레스건이다. 크림반도는 신이 러시아에 선물한 축복이다. 여기 있는 세바스토폴은 러시아의 유일한 부동항이다. 그런데 흑해를 나서서 지중해로 가려면 터키의 간섭을 받아야 한다. 그 해협을 항해할 수는 있지만 제한된 인원만이 가능하고 분쟁 시에는 이마저도 허용되지 않는다. 보스포루스를 통과해도 지중해에 도달하려면 에게해도 건너야 한다. 현재 러시아의 최고 무기는 가스와 석유이다.


다섯째, 라틴아메리카다. 이곳은 내륙이 텅 빈 거대한 지리의 감옥에 갇힌 형국이다. 라틴아메리카 대륙은 산악지대와 빽빽한 정글이 내륙을 차지하면서 마치 거대한 지리의 감옥에 갇혀 있는 것과 같다. 서로를 가르는 이 같은 거리의 제약을 극복하는 일 또한 만만치 않아 이 대륙은 수송 인프라를 구축하기도 어렵다. 내륙이 모기와 질병에 시달리기 때문에 사람들은 주로 해안가에서 산다. 그래서 라틴아메리카 대륙 대다수 국가는 해안 지역에 수도가 있다.


독립이 된 후에도 내륙에 투자하지 않았다. 멕시코는 패권 국가지만 북쪽에는 사막이고, 동쪽과 서쪽에는 산맥이, 남쪽에는 정글이 있다. 브라질은 존재감이 높아지지만 내륙은 여전히 고립돼 있다. 대다수가 스페인어를 쓰고 브라질만 포르투갈어를 쓴다. 볼리비아는 1879년 태평양전쟁에서 국토의 상당 부분을 칠레에 빼앗겼다. 402㎞에 이르는 해안 지역을 칠레에 빼앗긴 이후 내륙에 갇혀 있다. 가장 가난한 나라이다. 멕시코는 미국의 그늘 아래 살아야 할 운명이다. 1846, 1848년 치른 미국과의 전쟁 이전에는 현재의 텍사스, 캘리포니아, 뉴멕시코, 애리조나가 멕시코 땅이었다. 브라질 지리가 자국 내 운송도 막는다. 거의 미국에 버금갈 땅이다. 3분의 1은 정글 지대다. 아마존은 함부로 손대기도 힘들다. 아마존강은 부분적으로만 항해가 가능하다.


 

지정학적 피해자, 아프리카

여섯째, 아프리카다. 유럽인이 만들어 놓은 지정학적 구도의 피해자다. 실제 아프리카는 지도에 그려진 것보다 훨씬 크다. 아프리카 대륙은 강이 문제다. 대개 고지대에서 발원한 강이 가파르게 꺾여 내려오기 때문에 배를 띄우기가 쉽지 않다. 잠베지강 길이는 장장 2735㎞다.


급류와 빅토리아폭포는 매력적이지만 교역로서는 아무 쓸모가 없다. 6개 나라를 지난다. 인도양과 합쳐질 때 1400m의 높이에서 흘러내린다. 니제르강, 콩고강, 잠베지강, 나일강을 비롯한 대부분 강은 서로 연결돼 있지 않다. 수천 개의 언어가 존재한다. 비슷한 규모의 지역을 지배할 만한 공통 문화도 없다.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는 수천 년 이상 사상과 기술의 교류가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 아프리카는 유럽인들이 만들어놓은 지정학과 자연의 천연 장벽 때문에 발목이 잡혀 있다. 현재 56개국이 있다. 놀랍게도 국경선은 유럽인이 그려 놓은 그대로다. 수단, 소말리아, 케냐, 앙골라, 콩고민주공화국, 나이지리아, 말리 말고도 여러 곳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민족 갈등은 유럽인의 지리에 대한 생각과 아프리카의 인구학적 현실이 맞지 않는다는 증거이다. 예를 들어, 줄루족과 호사족은 예전부터 어울리지 않았다. 근데 이들을 인위적인 틀 안에서 해결하도록 강요했다. 오늘날 내전의 대부분은 한 국가 안에 억지로 단일 민족으로 묶으려는 식민주의자들과 그들이 쫓겨난 뒤에 새로 부상해 모든 것을 지배하려는 신진 지배 세력, 그에 수반한 폭력의 결과물이다.


중동 역시 인위적인 국경선이 분쟁의 씨앗이 됐다. 중동은 지역적 공간이 느슨하게 나눠진 상태이고, 지리와 부족, 종교가 통치하고 있었다. 민족국가를 건설하려는 시도 또한 없었다. 대다수 주민들은 국가나 법적으로 정해진 국경선을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오스만제국이 무너지자 영국과 프랑스는 서로 다른 생각을 품었다. 1916년 영국 외교관 마크 사이크스 대령은 펜을 들고 중동의 지도 위에 선들을 쓱쓱 그었다. 프랑스 프랑수아 조르주 피코가 비밀리에 맺은 사이크스 피코협정의 근간을 제공했다. 그 선의 북쪽은 프랑스가, 남쪽은 영국이 지배하기로 했다. 그 협정 이전에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는 물론 팔레스타인도 따로 없었다. 현재 지도에 있는 나라와 국경선은 역사가 짧고 기반 또한 취약하다.


일본은 프랑스나 독일보다 넓은 땅을 갖고 있다. 하지만 천연자원이 부족하다. 철과 원유 같은 원자재를 얻기 위해 1895년 대만을 점령했고 이어 1910년 한반도를 합병했다. 1931년 만주를 점령하고 1937년 중국 땅을 전면적으로 침공하기에 이른다. 일본이 전쟁을 한 것도 따지고 보면 자원을 확보하려는 일본과 이를 저지하려는 미국 사이의 갈등이 원인이다. 지금 한반도가 겪고 있는 문제도 강대국 사이에 낀 지리적 특성 때문이다. 만약 압록강과 중국 사이에 히말라야산맥 같은 것이 있다면 어땠을까? 만약 우리가 호주처럼 뚝 떨어진 곳에 있었다면 훨씬 평화로운 나라가 되지 않았을까? 지리적 관점에서 사물을 보면 안 보이던 것을 볼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이 책을 보면서 든 생각이다. 



한근태 한스컨설팅 대표 kthan@assist.ac.kr

필자는 서울대 섬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애크런대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핀란드 헬싱키경제경영대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MBA)를 받았다. 대우자동차 이사, IBS컨설팅그룹 상무, 한국리더십센터 소장 등을 지냈다.

  • 한근태 한근태 | - (현) 한스컨설팅 대표
    -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겸임 교수
    - 대우자동차 이사 IBS 컨설팅 그룹 상무
    - 한국리더십센터 소장
    kthan@assist.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