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영조와 정조를 통해 본 리더십

조급증에 다혈질 ‘막말대왕’ 정조 “골통 늙은이” 운운 신하 막 대하다 신뢰 잃다

노혜경 | 184호 (2015년 9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흔히 정조는 조선후기 중흥을 이끈 군주로학자이미지가 강하다. 그래서 성품도 온화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러나 실제 정조의 성격은 다혈질에 흥분을 잘했고 조급했다. 게다가 직선적이어서 대신들이나 학자들에게도 질타와 욕설을 퍼붓는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정조는 자신이 대학자라고 자신하며 주변 학자들을 무시하고 군사부일체라는 말을 확대해석해서 자기가 임금인 동시에 모든 신하와 백성의 스승이라고 자처했다. 이런 태도는 관료들에게 결코 신뢰감을 줄 수 없다.

 

편집자주

영조와 정조가 다스리던 18세기는 조선 중흥의 시대라 불립니다. 하지만 이런 타이틀은 결코 쉽게 얻어진 게 아닙니다. 노론과 소론 간 권력 투쟁이 극에 달했던 시기에 즉위한 두 왕은 군왕의 소임이란 특정 당파의 이익을 대변하는 게 아니라 도탄에 빠져 있는 조선과 백성을 위해 있는 자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당시로선 너무나 혁명적인 선언인 탓에 수많은 방해와 반대에 직면했지만 이들은 포기하지 않고 자신들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지혜와 용기, 끈기로 무장해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끌어 낸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기록을 통해 진정한 리더의 자질에 대한 통찰을 얻어 가시기 바랍니다.

 

 

요즘 언론에 부하에게 막말하는 공무원, 시의원, 경찰서장 등을 고발하는 기사가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막말한 높은 분에게 대기발령이 나기도 하고, 이른바갑질을 한 것에 대해 두고두고 욕먹는 경우도 많다. 뿐만 아니라의 입장에서 갑질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는 기사도 자주 실리고 있다.

 

조선시대는 어땠을까? 사극을 보면 관료들 사이에서 상관이 마구 하대하거나 막말을 하고 상대방은 존대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조선이 신분제 사회이고 위계질서가 엄했으니 상관이 하급자에게 더 세고 무섭게 대했을 것 같다고 생각하기 쉽다. 드라마를 보면 영의정이 좌의정에게, 좌의정은 판서에게 각각 반말을 하는 장면이 종종 나온다. 그러나 실제로 조선시대에는 관료들 사이에서 상관이라고 막말은커녕 하대하는 것도 용납되지 않았다. 자신보다 품계가 낮다고 해도 서로 같은 관료요, 양반이었기 때문이다. 부부 사이에도 서로 존대했다. 하대는 신분적으로 낮을 때만 가능했다.

 

‘막말’ 대왕 정조

조선시대 역대 왕들 중에서 가장 반전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임금이 바로 정조다. 정조는 조선후기 르네상스를 이끈 학자적인 군주, 개혁의 군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성품도 온화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정조실록>에 드러나는 정조는 정치행위를 주로 기록한 역사서인 만큼 성격이 적나라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상당히 무게감 있고 백성을 사랑하며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 정도가 나타나 있다. 그런데 몇 년 전에 공개된, 심환지(노론 벽파의 수장)에게 보낸 정조의 편지 297통을 보면 뜻밖의 반전을 알 수 있다. 바로 정조의 가감 없는 성격과 언행이다.

 

정조는 스스로태양증이 있다고 표현할 정도로 성격이 급하고 다혈질적이며 흥분을 잘하고 조급했다. 그 때문에 화병도 자주 나고 가슴에 심한 통증도 발생한다고 스스로 진단했다. 신하들에게도 자신의 병증을 고백했다. 심환지에게는나는 태양증이 있어 부딪히면 바로 폭발한다고 했고, 훗날 아들 순조의 장인이 되는 김조순에게는옳지 못한 짓을 보면 바로 화가 치밀어 얼굴과 말에 나타나며, 아무리 억누르려고 애를 써도 태양증 기질을 고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런 직설적인 성격으로 인해 정조는 주변의 고관은 물론 후대에 명성이 자자해진 학자들에게도 질타와 욕설을 퍼붓고 있다.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에서 신뢰하던 측근, 서용보에 대해 정조는호래자식이라는 표현까지 썼다. “이 사람은 그저 돌아가는 세태만 지켜보며 숨어 있구나. 진짜 호래자식이네! 안타깝다. 요즘에 하는 꼴은 점점 더 앞뒤 분간을 못하고 있으니 어쩌겠어!” 심지어 원로대신인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에서조차경은 이제 머리 허연 늙은이가 되었네 그려. 조정에서는 높은 지위에 있고 나의 신임도 두텁지. 그런데 매번 그 입을 촉새처럼 놀려서 문젯거리를 만드니, 그대는 정말 생각 없는 꼴통 늙은이구려. 너무너무 답답하다라고 써 보냈다.

 

이 사건의 전말은 당시 관료 중에 물의를 일으킨 자가 있었는데 심환지가 이 사건을 서용보에게 알려주자, 정조는 자기가 서용보에게 말하지 않은 내용까지 말을 옮겼다고 노발대발한 것이었다. 정조는 심환지에게생각 없는 늙은이라고 핀잔을 준 것으로도 부족했는지앞으로 경을 대할 때는 내가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는 방법밖에 없으니 정말 우습게 됐다. ‘이 떡 먹고 이 말 말아라!’라는 속담을 머릿속에 박아 놓는 게 어떤가라고 비아냥대기까지 했다. 아무리 임금이지만 나이 많은 정승에게 속담까지 들먹이며 대놓고 깎아내리는 것은 좀 심하다는 느낌이 든다.

 

 

 

친밀감 표현한다는 핑계로 적나라한 표현 일삼아

원래 조선은 임금이라고 해서 정승과 대신들을 함부로 대하지 않았다. 존경을 표하며 예를 다했다. 정조는 평소에군왕은 친밀하지 않으면 신하를 잃는다. 현명한 신하를 사사로이 대해야만 큰일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다. 심환지에게 보낸 그 많은 편지도 이런 정조의 생각이 반영된 행위였다. 그만큼 정조는 심환지를 더 친밀하게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정조는 편지에서 오늘날의ㅋㅋ에 해당하는呵呵라는 표현까지 사용하고 있다. 요즘 유행하는 이모티콘처럼 가볍게크크크웃는 표현을 벌써 사용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런데 정조의 이런 태도를 단순히 성격으로 간주하기에는 좀 어려운 면이 있다. 정조의 직설적인 표현과 욕설뿐만 아니라 신하를 나무라거나 평가하는 모양새를 보면 좀 과한 면이 분명히 보인다. 1797(정조 21) 7월 인사이동이 있을 때의 일이다. 당시 이조판서였던 이재찬의 인재발탁이 못미더웠던 정조는 심환지에게 서용보를 통해 이조판서의 인재 천거에 개입하도록 지시했다. 그런데 심환지가 뜻대로 움직여주지 않았던지 정조는 심환지를 두고지금 경의 꼴은 진짜() 80가 알맞겠다. 그대가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움직여주지 않으니 내가 도대체 믿을 수가 없다. 소심할 때 소심하더라도 용기를 내야 할 때에는 용기를 내야 하는데, 나서서 일을 해야 할 때 오히려 머뭇거리고 두려워하니 부끄럽지도 않은가라며 질타했다. 정조 스스로 심환지를 친밀한 신하로 생각해 하루가 멀다 하고 편지를 보내는 것까지는 이해한다고 쳐도 이런 직설적인 표현 때문에 왕과 정승이 가까워지기는커녕 오히려 상처를 많이 받았을 것 같다.

 

우리는 때때로 가깝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오히려 더 상처를 주고, 무시하는 언사를 하게 되는데, 정조 역시 비슷했다. 1799(정조 23) 10월의 일이다. 송시열의 사손으로 당대의 유학자였던 한원진을 이조판서에 추증(追贈, 나라에 공로가 있는 벼슬아치가 죽은 뒤 품계를 높여 주던 일)하고 시호를 내리는 일 때문에 정계가 한바탕 요동쳤던 때다. ‘호락논쟁(湖洛論爭)’이라고 해서 인간과 자연의 본성이 같다고 주장하는낙론과 다르다고 주장하는호론으로 노론 내부에서도 이미 파벌이 갈라져 있었다. 한원진은 호론의 영수였다. 한원진 추증을 찬성하는 쪽과 반대하는 쪽의 치열한 논쟁이 진행되는 가운데 정조는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고 있었다. 정조는 어느 한쪽을 드러내놓고 지지하지는 않았지만 내심 서경덕, 조식, 김창흡의 전례처럼 여러 절차를 거쳐 추증을 진행하려고 마음먹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낙론을 지지하는 상소가 올라왔다. 작성자는 젊은 초계문신(抄啓文臣, 규장각에 특별히 마련된 교육 및 연구과정을 밟던 문신) 김매순과 김이영이었다.

 

정조는 불같이 화를 냈다. “이른바 김매순이란 입에 젖비린내 나고 미처 사람 꼴도 갖추지 못한 놈과 김이영처럼 경박하고 산만해서 동서분간도 못하는 놈이 편지와 발문으로 감히 선배들의 의론에 주둥아리를 놀리고 있다. 정말 망령된 일이다.” 표현 한번 적나라하다. 정조는 이런 편지를 쓰느라 밤을 꼬박 샜고, 다음 날 해가 뜨자 스스로도 너무 흥분했다고 인정하면서내 성품도 정말 별나다고 하겠다. 우스운 일이다라며 편지를 태워 없애버리라고 했다.

 

리더의 기본 덕목

한 나라의 임금이 신하들에게 대하는 태도나 언행은 국정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정조는 세손 시절부터 그저 공부만하고 책만 읽었다고 스스로 회고할 정도로 소외돼 있었다. 즉위한 후에도 생명의 위협을 느껴 재위 7년이 될 때까지 밤에 옷을 갖춰 입고 잤다고 할 정도였다. 이런 성장과정이 자기중심적인 성격을 만들어 냈다. 이것은 자의식의 과잉을 낳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과도한 자신감으로 발전했다. 정조는 자신이 대학자라고 자신했고, 주변 학자들을 무시하고 군사부일체라는 말을 확대해석해서 자기가 임금인 동시에 모든 신하와 백성의 스승이라고 자처했다. 이런 자기중심적 자신감은 태양증으로 표현되는 성격과 함께 상대를 깎아내리고 무시하고 비교하는 언행으로 표출됐다. 이런 태도는 결코 관료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없다.

 

현명한 신하와 사사로이 친해져야 한다고 생각했던 정조는 개인적인 편지를 통해 이를 실천하려고 했다. 그러나 국가경영에 관한 한 국왕에겐 국왕의 위치가 있고, 신하에겐 신하의 위치가 있는 법이다. 정책을 결정하고 조정하는 데 개인적인 편지를 이용해 막말을 하고 감정을 다 드러낸 것은 편지를 받는 상대에게 오히려 불신감만 키우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조는 심환지에게 받은 편지를 모두 태우고 없애버리라고 신신당부를 했지만 심환지는 한 통도 없애지 않고 모두 보관해 후손들에게 대대손손 전했다는 게 그 증거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조직이 잘 운영되려면 리더는 가장 기본적으로 언행부터 조심해야 한다.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을 쉽게 흘려들어서는 안 된다.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조직에서의 운영은 상사와 부하직원이 서로 존중하는 기반 위에 설 때 서로 신뢰가 쌓여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존중하는 가운데 기업은 더욱 성장할 수 있다.

 

 

노혜경 덕성여대 연구교수 hkroh68@hotmail.com

필자는 연세대 사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한국사학)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을 지냈고 강남대, 광운대, 충북대 강사로 활동했다. 저서로 <영조어제해제6>가 있다.

  • 노혜경 | - (현) 호서대 인문융합대학 교수
    - 강남대, 광운대, 충북대 강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 덕성여대 연구교수
    - <영조어제해제6> 저자
    hkroh68@hotmail.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