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유대인 창조경영

美에…맛에…땅에… 창의성 불어넣어 성공을 낚다

육동인 | 136호 (2013년 9월 Issue 1)

 

 

편집자주

유대인은 전 세계 인구의 약 0.2%에 불과한 소수민족입니다. 역사적으로도 모진 핍박과 시련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유대인은 천재적인 두뇌와 시대의 흐름을 볼 줄 아는 안목을 바탕으로 전 세계 각 분야에서 최고위층의 지위에 오르는 데 성공했습니다. 비주류에서 주류로, 주변부에서 핵심부로 올라선 유대인들의 지혜를 통해 초경쟁 시대의 생존 전략에 대한 통찰을 얻어 가시기 바랍니다.

 

창조경제가 새 정부 정책의 중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창조경제를 이끌 창조산업이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많다. 창조산업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학자들마다 생각이 다르고 정부도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다 보니 여기저기서 이런저런 논리들이 등장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혼란스럽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하지만 유대인들을 보면 창조산업이란 별도로 존재하는 것 같지 않다. 모든 사람들이 자기 안에남과 다른창의성을 갖고 태어나듯 어떤 산업에서든지 기존에 없던남과 다른창의성을 구현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창조산업이고대박을 터뜨리는 비즈니스다. 유대인들이 다양한 산업군에서 창의성을 발휘해 성공한 사례들을 살펴보자.

 

()에 창의성을 불어넣다

 

우선 헤어디자인 산업. 1940년대 후반,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영국 런던의 뒷골목은해방의 힘찬 기운보다는 오히려전후의 혼란으로 어수선했다. 이 틈을 파시스트 잔당과 인종차별주의자들이 파고들었는데 유대인들은 이들의 좋은 화풀이 대상이었다. 허구한 날 맞고만 살 수 없었든지 이 지역에서 살던 예비역 군인 등 43명의 유대인들이 ‘43그룹이란 모임을 만들어 폭력으로 저항하기 시작했다. 43그룹의 가장 막내가 바로 나중에 세계적인 헤어디자이너가 된 비달 사순이다.

 

비달 사순은 1928년 런던 근교의 가난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14살 때부터 미용실에서 일을 배웠다. 1954년 런던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인 본드가() 108번지에 자기의 미용 살롱을 오픈했다. 당시 여성들의 머리 스타일은 펌이나 올림머리가 전부였다. 비달 사순은 기하학적 모양의 짧은 쇼트 커트 형식인보브 컷이라 불리는 단발머리를 선보여 큰 파장을 일으켰다. 천편일률적인 스타일에서 탈피해 여성들이 자기 얼굴 형태에 맞는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꾸밀 수 있게 해준 덕택이다. 이는 미니스커트 유행과 맞물리며 헤어디자인의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고 할 정도로 대박을 친다. 당시 BBC 방송에서는여성 혁명이라고까지 치켜세우기도 했다. 그는 1965년 미국으로 이주해 자신의 이름을 딴 비달사순이라는 브랜드의 샴푸 등 각종 헤어용품으로 큰돈을 벌었다. 흥미로운 점은 그가 은퇴한 뒤 자비를 털어 이스라엘 히브리대에 세운 비달사순센터는 헤어디자인이 아니라 반유대주의와 인종박해에 대해 연구하는 곳이라는 사실이다. 세계 최고의 미적 감각을 가진 화려한 모습의 내면에는 과연 무엇이 있었을까, 정말이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비달 사순의 예에서 보듯 창의성 발휘에는 업종의 구분이 없다. 창의성만 발휘할 수 있다면 대박을 터뜨리는 창의산업이 된다. 특히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에서는 창의성이 더욱 빛을 발하곤 한다.

 

여성적이고 섬세한 감각이 필요한 대표 영역으로는 화장품이 꼽힌다. 미국에는 에스티로더를 비롯, 존슨앤존슨, 헬레나루빈스타인, 레브론, 맥스팩터 등 유대인들이 세운 회사들이 즐비하다. 이 중 대표적인 인물은 단연 에스티 로더라 할 수 있다. 1908년 뉴욕 빈민가인 퀸스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에스티 로더는 수려한 미모로 한때 영화배우를 꿈꾸기도 했다. 하지만 가난 때문에 고교 졸업 후 삼촌이 운영하는 미용연구소에서 미용크림을 팔러 다녀야 했고, 그렇게 화장품과 인연을 맺었다. 어려서부터 피부미용에 관심이 많았던 그녀는 자신이 직접 화장품을 만들기도 했다. 이게 고객들로부터 값싸고 품질 좋다는 평가를 받자 1946년 우리 나이로 마흔에 과감하게 창업의 길로 나선다. 그녀는 업계 최초로 무료 샘플과 백화점 납품 등 고급 매장 전략을 통해 에스티로더를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로 성장시켰고 1998년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20세기 천재 경영인 20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다.

 

달콤함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훔치다

 

시각적 감각이 필요한 미용, 뷰티 산업뿐만 아니라 섬세한 미각이 필요한 식품 업계에서도 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린 유대인 사업가들이 많다. 먼저 초콜릿부터 살펴보자. 초콜릿은 중세시절 이후 상류층의 전유물이었는데 이를 대중화한 사람이 바로 밀턴 허시다. 1857년 독일에서 펜실베이니아로 이민 온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밀턴 허시는 집이 가난해 학력이라곤 초등학교 4학년을 다닌 게 전부다. 하지만 수많은 시행착오와 사업실패를 거듭하고 나서 오늘날 초콜릿의 대명사가 된 허쉬초콜릿을 일궈냈다.

 

가난 때문에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인쇄공장에 취직한 밀턴은 일에 재미를 느끼지 못해 사탕공장으로 옮겼다. 18세에 필라델피아에서 사탕가게를 연 그는 사업이 신통치 않자 콜로라도주 덴버로 가서 캐러멜 공장을 차렸다. 이때 좋은 우유를 사용해야 좋은 캐러멜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낙농중심지인 데리처치에 초콜릿 회사를 차렸다. 우유와 초콜릿을 농축시키는 기술을 개발해 품질 좋은 초콜릿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됐고 1905년부터 허쉬초콜릿이 쏟아져 나왔다. 허쉬초콜릿이 유명해지자 주 정부는 마을 이름을 데리처치에서 아예 허시로 바꿔 주기도 했다.

 

그는 성공하면 그 결실을 다른 사람과 나눠야 한다는 전형적인 유대인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기업을 통해 번 돈으로 대부분 허시공장 직원들인 마을 주민들이 전기를 무료로 쓸 수 있도록 했고, 학교는 물론 골프장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해줬다. 이런 전통은 지금도허시학교에 남아 있다. 1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무료로 다니는 이 학교는 허쉬초콜릿의 주식을 상당수 가지고 있다. 이는 회사 경영이 좋으면 대부분 이익이 학교로 들어간다는 뜻이다.

 

미국인들에게 달콤하고 감각적인 아침 식사를 제공한 던킨도넛도 유대인의 작품이다. 1916년 보스턴 근교에서 태어난 월리엄 로젠버그는 대공황으로 경제가 어려웠던 시절 10대 초반에 학교를 중퇴하고 식품배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안 해 본 일이 없는 그는 1950브랜드가 있는 도넛을 개발했다. 1954년 던킨도넛이란 이름을 내걸었을 때 이미 5개 점포를 거느리고 있었다. 이후 점포를 늘리며 미국 최초의 프랜차이즈 영업기법을 개발해냈다. 그는 1960년 국제프랜차이즈연합을 직접 조직했다. 현재 미국의 소매 영업 중 프랜차이즈를 통한 판매가 절반을 넘어서고 있다는 것은프랜차이즈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그의 공헌이 어느 정도인지 말해준다. ‘고객은 왕이다’ ‘충분한 서비스라는 말은 없다는 고객중심경영을 강조한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하겐다즈’란 브랜드를 만들어 세계 최초로 아이스크림을 대중화한 매터스 루빈도 유대인이다. 그는 신선한 우유를 사용했다는 생각을 심어주기 위해 낙농국가인 덴마크를 연상케 하는 브랜드를 만들어 하루아침에 아이스크림의 황제가 됐다. 버몬트주의 한 버려진 주유소에서 회사를 시작해 나중에 하겐다즈의 라이벌로까지 성장한 아이스크림업체인 벤&제리의 창업자 벤 코헨과 제리 그린필드,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아이스크림업계의 강자 베스킨&라빈스의 창업자인 버튼 베스킨과 어빙 라빈스 모두 유대인이라면 지나친 우연일까.

미국 부동산 시장은 유대인 없이 움직이지 않는다

 

미용, 식품 분야뿐 아니라 예술성이 강조되는 건축이나 부동산 분야에서도 유대인들의 활약이 눈부시다. 흥미로운 것은 과거 유대인들은 종교적, 사회적 핍박으로 언제 자신들이 사는 곳에서 쫓겨날지 모르는 탓에 다이아몬드 같은 작은 귀중품이나 현금을 선호하지 환금성이 더딘 부동산을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 유대인들이 어떻게 부동산 시장에 뛰어들어 큰 성공을 이룰 수 있었을까.

 

사실 유대인들이 원래 부동산을 멀리한 것은 아니다. 유대인들의 지혜서인 <탈무드>에선사람은 항상 자신이 가진 재산을 세 가지 형태로 유지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첫째, 현금 같은 유동자산, 둘째, 다이아몬드 같은 귀중품인 동산, 세 번째는 부동산이다. 투자위험을 분산시키기 위한 안전한 포트폴리오 투자기법을 옛날부터 깨우치고 있었던 셈이다. 수천 년 동안 이리저리 쫓겨 다니던 불안한 생존현실이 유대인들로 하여금 어쩔 수 없이 부동산을 기피하게 만들었지만 2차대전 이후 이스라엘이 독립하고 많은 유대인들이 안정된 나라인 미국에 정착하면서 이들에게 부동산은 다시 매력적인 투자대상으로 떠올랐다.

 

실제 미국의 유대인 부호 상당수는 재산을 부동산이나 건설업을 통해 번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컴퓨터 인터넷을 축으로 하는 1990년대 신경제바람이 불기 전인 1980년대까지 미국 경제잡지 <포브스>가 매년 발표하는 부자들의 재산 순위 상위에 랭크돼 있는 유대인 자산가 상위 절반가량은 늘 부동산 사업가들이었다. 하얏트호텔의 프리츠커 가문, 주택건설회사 카프만&브로드의 소유주 엘리 브로드, 캘리포니아 부동산재벌인 도널드 브렌 등이 언제나 상위권에 들어 있었다.

 

지금은 아예 미국 부동산 시장은 유대인 없이는 움직이지 못할 것이란 얘기까지 나올 정도다. 상업용이나 주거용 부동산이 가장 많은 뉴욕 메트로지역의 경우 부동산 개발업자의 절반 이상이 유대인이라는 게 정설이다. 뉴욕 뉴저지주의 부동산 갑부인 맥-칼리, 한때 엠파어스테이트빌딩 공동소유주였던 벤 토빈, 맨해튼 중심부의 크라이슬러빌딩을 소유하는 등 세계 최대 부동산 개발업자로 통하는 제리 스파이어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빌딩숲으로 이뤄진 맨해튼의 좋은 건물은 거의 유대인 소유로 보면 틀림없다는 게 현지 부동산 관계자들의 얘기다.

 

유대인들은 부동산 분야에서도 특유의 창의성을 발휘하면서 큰돈을 벌었다. 몇 가지 예를 살펴보자. 서울발 비행기가 뉴욕에 도착하면 통상 퀸스에 있는 JFK 국제공항으로 입국해 브루클린을 거쳐 맨해튼으로 들어간다. 공항에서 맨해튼으로 가는 사이에는 큰길가에 6층짜리 붉은색 계통의 아파트들이 계속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재산이 수백억 달러로 뉴욕에서 가장 알짜 부자 중 하나로 소문난 르프레이크(LeFrak) 가문이 개발하고 운영하는 아파트단지다.

 

과거 미국은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거의 단독주택이 주거용 주택의 대부분이었다. 2차대전 이후인 1940∼50년대 가난한 서민들을 위한 값싸고 편리하고 안전한 아파트가 처음으로 대량 공급되기 시작했는데 이 같은건설비가 싸게 드는 규격화된 공동 주택인 아파트란 아이디어를 내놓은 사람이 바로 사무엘 르프레이크(1918∼2003)란 유대인 부동산개발업자였다. 그는 아파트개발사업을 통해 회사를 <포브스> 선정 세계 500대 기업에서 50위 안에 들게 할 정도로 키웠고 엔지니어링 설계 디자인 등 관련 업종을 수직계열화하면서 대형 상업건물에도 손을 대 막대한 성공을 거뒀다.

 

이 같은 창의성을 부동산시장에 접목시킨 또 한 명의 유대인은 윌리엄 레빗이다. 그는 대도시 인근의 주택지역인 ‘suburbia’라는, 우리말로근교 혹은 교외란 개념의 단어를 처음으로 만들어 낸 사람으로 ‘King of suburb’란 별명까지 얻었을 정도다. 여기서 얘기하는근교란 도심에서 가까운 곳에,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이른바 타운하우스라는 주택단지 형태로, 즉 위로 올라가는 아파트와는 달리 똑같은 모양의 일반 주택을 다닥다닥 옆으로 이어붙인 타운하우스를 대량으로 공급하는 것을 말했다. 2차대전 직후 뉴욕주 롱아일랜드와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제대 군인들을 위한 타운하우스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대도시 근교주택의 전형이 됐다. 단독주택보다는 싸고 아파트보다는 생활공간이 넉넉해 미국의 중산층들이 선호하는 주택 유형이라고 보면 된다.

 

사무엘 르프레이크나 윌리엄 레빗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유대인들의 창의성은 건설 부동산 시장에서도 큰 위력을 발휘했다. 창의성이 돋보이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유대인 건축가들도 상당수에 이른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유대인 건축가로는 서울 삼성동 현대산업개발본사와 부산 해운대 아이파크를 설계한 대니얼 리베스킨트를 들 수 있다. 9.11 테러로 붕괴된 세계무역센터(WTC) 현장을 재창조하는 프리덤타워 설계를 맡는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건축가이기도 하다.

 

창의적인 건축을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프리츠커건축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이다.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이 상은 건축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를 가진 상으로 평가받는다. 세계적인 호텔체인인 햐얏트호텔을 소유한 프리츠커 가문이 운영하고 있다. 프리츠커 가문 역시 미국의 명문 유대인 가문 중 하나다. 19세기 후반 우크라이나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니컬러스 프리츠커란 유대인이 독학으로 변호사가 된 이래 다양한 사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는데 현재 프리츠커 가문은 하얏트호텔 체인 등 150억 달러 상당의 재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문의 상속녀 페니 프리츠커는 오바마 대통령의 선거자금을 모집하는 핵심 참모 역할을 했고 오바마 대통령 재선 이후 상무부 장관으로 임명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맨손 이민 후 자산축적, 그리고 사회적 기부와 정치적 입신이라는 미국에서 성공한 유대인의 전형적인 스토리를 그대로 보여준 셈이다.

 

이처럼 비즈니스 분야에서 유대인들의 활약상을 살펴보면 창의산업, 창조산업이란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업종, 어떤 산업이라도 상상력과 창의력을 불어 넣으면 큰 성공을 이룰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하는 말이다. 창조산업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누구나 창조산업에 도전장을 낼 수 있다는 얘기와도 같다. 창의적인 사고와 나이 마흔에 창업의 세계에 도전한 에스티 로더 같은 불굴의 기업가정신을 가진 사람들이 바로 창의인재들이고 이들이 활약하는 곳이 창조산업이며 그런 시스템이 잘 돌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로 창조경제라고 할 수 있다.

 

육동인 커리어케어 대표 dongin@careercare.co.kr

필자는 서울대 서양사학과와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에서 공부했다. 한국경제신문에서 뉴욕특파원을 거쳐 논설위원, 금융부장, 사회부장을 역임했다. 국회사무처 공보관 및 홍보기획관직도 맡았다. 현재 한국컨설팅산업협회 부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유대인처럼 성공하라(2004)> <육동인, 소통 정치를 말하다(2010)> 등이 있다.

 

  • 육동인 | - (현) 커리어케어 대표이사 사장 재직 한국컨설팅산업협회 부회장
    - (전)한국경제신문 뉴욕특파원논설위원
    - (전)국회사무처 공보관 홍보기획관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