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한누 세리스토 핀란드 알토대 부총장 인터뷰

모든 문제를 새롭게 본다 통섭과 디자인 경영으로

하정민 | 76호 (2011년 3월 Issue 1)

과거 경영자들은 환경 파괴, 노령화, 윤리 경영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많은 이익을 창출하기만 하면 좋은 경영자로 평가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제 사회는 새로운 모습의 경영자를 요구하고, 경영 교육도 이에 맞춰 변화해야 합니다.”
 
통섭과 융합의 중요성이 등장하기 오래 전부터 이를 교육 과정에 반영한 핀란드 알토대(Aalto University)의 한누 세리스토(Hannu Seristo) 부총장의 말이다. 알토대학교는 핀란드의 경제, 문화, 산업을 선도하는 헬싱키 경제대, 헬싱키 디자인 예술대, 헬싱키 공과대 3개 대학이 통합해 만든 학교다. 알토대의 출범은 핀란드 정부가 교육 융합과 혁신을 목표로 국가적 차원에서 주도한 초대형 프로젝트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 또한 2009년 3월 호 ‘Tapping the World’s Innovation Hot spots’ 기사에서 알토대를 새로운 교육 혁신 사례로 언급하며, ‘혁신은 다양한 학문 간 교차를 통해 발생한다’는 취지의 분석을 한 바 있다.
 
이를 반영하듯 알토대에는 IDBM(International Design Business Management)이라는 독특한 MBA 커리큘럼이 있다. IDBM은 기술, 디자인, 마케팅 교육을 혼합한 과정으로, 다른 분야 간의 통섭을 통해 경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게 목표다. 특정 분야에 국한된 지식과 교육으로는 결코 21세기를 선도하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제품과 경영자가 나오기 어렵다는 알토대의 교육 철학이 담겨있다.
 
DBR(동아비즈니스리뷰)은 지난 2월 15일 내한한 한누 세리스토 부총장과 만나 경영 교육 및 통섭의 중요성에 관한 그의 생각을 들어봤다. 세리스토 부총장은 알토대의 3뿌리 중 하나인 헬싱키 경제·경영 통합과정(HSEBA·Helsinki School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딴 후 매킨지 컨설턴트, 헬싱키 경제대 국제 경영(International Business) 교수로 일했다. 2010년 알토대 출범 후 지식 네트워크 부문 부총장(The Vice President of Knoewledge Networks)을 맡고 있다.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MBA 교육과 접목시킨 이유는?
글로벌 경영 환경이 급변하면서 여러 분야를 통틀어 소화할 수 있는 더 넒은 시야를 가진 인재를 요구한다. 적어도 경제 및 경영, 디자인, 기술을 이해하고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과도 효율적으로 조율하며 일할 수 있는 인재가 있다면 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다. 1995년에 알토대가 문을 열고 그런 인재들을 배출하기 시작했을 때 학생들은 물론 학계와 산업계 모두 만족스러워 했다.
 
과거 예술가들은 경영자를 이해하지 못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이런 통섭 교육을 받은 인재들은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과 쉽게 소통할 수 있다. ‘예술가나 기술자들이 이런 말을 하는데 과연 무슨 뜻으로 하는 말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얻기 시작한 셈이다. 예컨대 어떤 디자이너가 기술자들에게 “이 제품 괜찮긴 한데 약간의 락앤롤이 더 필요해요”라고 했다. 조금 더 젊고 감각적인 느낌을 가미했으면 좋겠다는 뜻이지만 숫자에 익숙한 경영자가 바로 그 의미를 알아차리기 어려울 수 있다. 바로 이런 소통의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재무를 담당하는 경영자에게 예술가가 되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예술가를 이해할 수는 있어야 한다. 우리의 목표는 전문 경영인, 기술자, 디자이너와 같이 본래 존재하는 직업을 해체하거나 이를 합한 새로운 전문가를 탄생시키는 게 아니다. 기존 전문가들이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만을 가지고 있었다면, 그들의 지식에 다른 분야에 대한 이해를 조금 더하자는 게 우리의 목표다. 기업 현장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문제가 각 분야의 상호협력을 필요로 한다. 집 하나를 짓는데도 여러 가지 시야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시대가 아닌가. 우리 시대에 필요한 경영자는 경영학적인 시각만 가진 경영자가 아니라 디자인과 기술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있는 경영자다.
 
알토대의 IDBM 과정은 통섭과 디자인 경영의 중요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교육 과정이다. 디자인 경영은 우리가 부딪히는 모든 문제를 해체(deconstructing)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사고방식이자 접근법이다. 단순히 원인과 결과만을 분석하는 게 아니라, 왜 우리가 이런 문제를 갖게 됐는지를 다른 시각과 관점에서 바라보는 방식이다.
 
통섭과 디자인 경영에 대한 본인의 철학에 잘 부합하는 기업은 어디인가?
스페인 의류회사 자라(ZARA)다. ZARA는 흔히 패스트 패션의 선두주자로만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디자인 경영의 목표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 회사다. 많은 사람들이 ZARA를 찾는 건 단순히 가격이 싸기 때문만은 아니다. ZARA 매장에 간 고객들은 종종 ‘지금 당장 이 옷을 사야 해. 만약 내일 이 매장을 다시 찾는다면 내가 점 찍어둔 상품이 사라질 거야’라고 느낀다. 그만큼 ZARA가 매장 및 제품 디자인에 고객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게 만드는 의도된 장치들을 요소요소에 숨겨놨기 때문이다. 하다 못해 매장 내 테이블이나 의자의 위치도 고객들의 동선과 구매 패턴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배치했다. 스마트한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의 대표 사례다.
 
또한 ZARA는 소비자들의 요구와 제품에 대한 반응을 매우 빠른 속도로 디자이너 및 경영진에게 전달한다. 매장 직원들이 바로 전에 입수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경이로운 속도로 디자이너들에게 도착한다. 디자이너들은 이를 반영한 제품을 즉각 만들어낸다. 그들은 소비자들에게 항상 귀 기울이고 있으며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아마 세계에서 그런 시스템을 갖춘 거의 유일한 회사라고 생각한다.

 
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을 발현토록 하는 알토대만의 방법이 있는가?
알바 알토(Alvar Aalto)의 이름을 따서 대학 명을 짓기 전, 알토대의 가칭은 혁신 대학(Inno-vation university)이었다. 이름 그대로 우리는 학생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창업 하는 일을 돕는 데 큰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 알토대는 기업가 양성을 위해 알토 기업가센터(Aalto Center for Entrepreneurship)를 운영하고 있다. 기술 변환, 지적 재산 관리, 창업 및 연구, 교육 등 창업과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제로 이 센터를 통해 다수의 학생이 창업에 성공했다.
 
알토 기업가센터의 대표적 프로그램은 ‘창고 캠프(Venture Garage’s Booth Camp)’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유명한 회사가 다들 창고에서 시작했다는 점에 착안해서 이 이름을 붙였다. 예비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2주간 창업 전반에 대한 트레이닝을 제공한다. 수강생 중 뛰어난 면모를 보이는 학생들에게는 창업 자금도 지원해주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작년에만 15개의 신생 회사가 생겼다. 최근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세계적으로 히트를 친 앵그리 버즈(Angry Birds)도 알토대 공과대학 학생들이 모여 설립한 로비오(Rovio Mobile Ltd.)가 개발한 게임이다.
 
졸업생 중 한 명은 영국에서 파워 키스(Power Kiss)라는 회사를 열고, 현재 운영 이사를 담당하고 있다. 이 회사는 모든 가구에 무선 충전 기능을 내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과거에는 충전을 하려면 반드시 선이 달린 충전기가 필요했지만 이젠 모바일 기기에 작은 스틱을 꽂아서 가구 위에 올려두기만 하면 충전이 완료된다. 혁신적인 개념 아닌가.

금융위기 후 비즈니스 스쿨의 커리큘럼도 많이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단기 이익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말고 사회적 책임의식과 윤리 경영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기업의 존재 이유는 이익 추구지만 미래의 경영자들에게 윤리 의식을 심어주는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실제 금융위기 후 많은 비즈니스 스쿨에서 사회와 조직에 책임을 다할 줄 아는 ‘윤리적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윤리 과목을 별도로 개설하거나 늘리고 있다. 이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 매우 뜨겁다. 알토대에서도 어떤 과목을 신설하면 좋겠느냐는 설문에 대다수의 학생들이 윤리, 환경, 지속 가능성 경영을 제대로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어떤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이런 요구 때문에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How to change the world)’라는 과목도 생겼다고 들었다.
 
하지만 나는 윤리는 인간의 기본이기 때문에 관련 과목을 별도로 개설하는 일이 다소 모순적이고 부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 윤리는 교과목으로 가르칠 수 있는 게 아니다. 기업가정신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평생 교육 및 생활 과정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어야 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나 지속가능 경영(Sustainable Management)의 이름을 단 교과목을 개설하고, 그 개념을 학생들의 머릿속에 주입하는 방식이 좋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마케팅, 재무, 회계, HR 등 경영대에서 배우는 모든 수업에는 윤리가 밑바탕으로 깔려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원봉사나 비영리단체(NGO) 활동을 직접 해보도록 유도하는 게 훨씬 중요하다.
 
알토대에서는 학생들의 윤리 의식을 높이기 위해 어떤 제도를 마련했나?
알토대 경영대에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알토 소셜 임팩트(Aalto Social Impact)라는 모임이 있다. 에너지, 제3세계의 열악한 의료시스템, 급속한 고령화, 환경 파괴와 같은 전 세계적 문제들을 학생들의 힘으로 해결하려 노력하는 게 이 모임의 목표다. 이 모임에 참가한 학생들은 놀라울 만큼 열성적이고 구체적으로 활동한다. 스스로 자금을 조달하고 교수진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을 끌어들여 해당 문제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 브루키나 파소라는 아프리카 최빈 국가의 오지에 위치한 고아원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려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핀란드 내부 사회 문제 해결에도 열심이다. 과거에는 ‘지금 할머니께 전화하세요(Call your grandma)’ 운동을 벌여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전화 한 통으로 얼마나 많은 기쁨과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운동인가. 단순하지만 놀라울 정도로 창의적이고 효과적이다. 이게 바로 경영자가 가져야 할 덕목이다.
 
윤리 경영은 유럽에서 비교적 더 중요한 화두로 평가 받고 있지만, 미국을 비롯한 타 국가들도 예외는 아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은 2009년 졸업생들부터 경영자와 금융인으로서의 올바른 역할과 책임에 대해 선언하는 윤리 서약식을 진행하고 있다. 네덜란드 로테르담 경영대, 미국 선더버드 경영대도 이를 뒤따르고 있다. 경영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단기 이익 극대화보다 더 큰 사고를 할 줄 아는 학생과 경영자들이 더욱 많아질 것이다.
 
일각에서는 MBA 교육에 대한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
MBA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경영학이 다른 학문과 많이 다른 건 사실이다. 그렇다고 철학을 배우는 일보다 덜 중요하지도 않다. 세상에는 나쁜 경영, 나쁜 조직의 사례가 너무 많다. 지금 당장 주변을 둘러봐도 여러 개를 찾을 수 있다. 그 많은 것들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경영학을 잘 익히면 비단 기업뿐 아니라 모든 조직에 있는 사람들이 더 효율적이고 재미있게 일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아침에 즐거운 마음으로 출근할 수 있게 만드는 일이야말로 세상을 바꾸는 가장 기본 단계가 아닐까.
 
무슨 일을 하든지 조직이 필요하고 그 조직을 제대로 움직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보이스카우트나 군대에서도 조직 운영 기술(organizing skill)을 배울 수 있겠지만, 경영학은 다른 차원의 지식을 전달한다고 생각한다. MBA 교육비가 비싸다고 불평하는 사람들에게 말한다. “교육비가 비싸다고? 그럼 배우지 마라. 하지만 훨씬 더 비싼 비용을 치러야 할 것이다(If you think education is expensive, go and try ignorance. That will cost you more).” 무슨 일을 하건, 모든 이에게는 어떤 식으로든 경영 기술이 필요하다. 성공하려는 사람에게 경영학은 필수이지 선택이 아니다.
 
한국 MBA 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다면.
기회가 있을 때 최대한 많은 나라에 가서 다양한 문화를 많이 접하라. 혁신을 하려면 창의성이 필요하다. 창의성은 다양성에서만 나온다. 크게 성장하려면, 자신을 새로운 세계에 끊임없이 노출시키려는 자세가 있어야 한다. 알토대는 매년 International Week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핀란드, 싱가포르, 폴란드, 한국, 중국 등에 있는 알토대 연계 MBA/Executive MBA 과정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수업을 듣고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이다. 2008년 9월, i-Week 내 비즈니스 시뮬레이션 경쟁에서 한국 팀이 우승한 적도 있다. MBA 교육이건 여행이건 기회가 닿을 때마다 다른 세계를 접하는 게 중요하다.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 연구원 박예솔(20·연세대 경영학과 3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