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근시안적 학습과 성공의 덫

신동엽 | 27호 (2009년 2월 Issue 2)
진정한 거장 제인스 마치 교수
경영학은 그 자체 지식은 물론 경제학·사회학·심리학·정치학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전형적인 학제간(interdisciplinary) 학문이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의 대가들이 경영대학에 몰려와 ‘별들의 전쟁’을 벌인다. 실제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중 상당수는 경영대학 소속이다. 당대 내로라하는 대가들의 경연장 같은 경영학 분야에서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최고의 거장은 미국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의 제임스 마치 교수다. 전략경영 분야의 대가로 일반인에게 잘 알려진 마이클 포터 하버드대 교수도 학문적 폭과 깊이, 독창성에 있어서 마치 교수와 비교하기 힘들 정도다.
 
마치 교수는 ‘통섭’으로 불리는 학제간 접근법을 이미 1950년대에 완벽하게 실현한 카네기대 경영대학원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또 다른 경영학 대가이면서 컴퓨터공학자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허버트 사이먼 박사와 공동 연구를 해 수많은 걸작을 만들었다. 마치 교수의 연구들은 그 누구도 흉내내기 힘든 독창성과 심오함을 갖고 있다. 그 중 한 가지가 조직학습 분야의 근시안적 학습(myopia of learning)과 성공의 덫(success trap)에 관한 연구다.
 
장기 생존이 어려운 이유
기업들은 생각보다 오래 생존하지 못하며, 장기간 살아남는 극소수의 기업들도 예외 없이 부침을 거듭한다. 2005년 통계를 보면 전 세계 기업의 약 80%가 창업 후 30년 이내에 사멸했다. 톰 피터스가 ‘초우량 기업의 조건(In Search of Excellence)’이란 책에서 완벽한 초우량 기업의 예로 든 60여 개 기업 중 절반 이상이 책 출간 후 불과 10년 만에 몰락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 포천 500대 기업 리스트의 3분의 1이 5년 안에 교체된다. 최근 통계만 봐도 2000년 말 포천 500대 기업에 선정된 기업의 약 30%가 2007년 말에 사라졌다.
 
한국 기업도 마찬가지다. 1970년 한국 10대 재벌그룹 중 현재까지 10대 그룹에 포함된 곳은 삼성과 LG 2개뿐이다. 당시 단일 기업으로 최대 규모를 자랑하던 동명목재는 없어진 지 오래다. 위기 없이 장기간 평탄하게 지속적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기업은 거의 없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이유는 간단하다. 기업의 생존과 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장·경쟁·기술·사회문화 등 환경이 가만히 머물러 있지 않고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 환경에 적합하게 조율됐던 기업의 전략과 구조·기술·문화·역량 등이 새로운 환경에서 더 이상 통하지 않는 것이다.
 
탐구-활용의 패러독스와 근시안적 학습
많은 기업이 환경 적응과 장기 생존에 실패하는 메커니즘과 관련해 일반적으로 각 조직이 지닌 약점이나 문제점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마치 교수는 개인이나 조직·국가를 막론하고 결정적 위기는 오히려 각자의 강점으로부터 온다고 역설적으로 주장했다. 이런 의외의 주장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치 교수가 1990년대 초반에 발표해 경영학계 전반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킨 조직학습에서의 ‘탐구와 활용(exploration and exploitation)’ 패러독스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치 교수에 따르면 기업들의 학습행동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이미 가지고 있던 전략·시스템·기술·지식·문화 등 기존 역량을 ‘활용(exploitation)’하는 행동이다. 다른 하나는 가지고 있지 않던 새로운 역량을 찾는 ‘탐구(exploration)’행동이다. 이 2가지 학습행동은 전혀 다른 기반 원리를 지니고 있어서 동시에 2가지 다 잘하기는 어렵다. 즉 기존 역량의 활용은 행동의 효율성과 리스크 감소(risk reduction)가 핵심이다. 반면에 새로운 역량 탐구의 핵심은 창조성과 과감한 리스크 감수(risk taking)다. 즉 두 활동은 정반대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 기업들은 이 2가지 정반대의 조직학습 유형 중 한 가지에 편중된다. 대부분은 기존 역량 활용으로의 쏠림(exploitation bias) 현상이 나타난다. 전혀 새로운 사업분야나 전략·시스템·기술 등에 대한 모험적 탐구는 불확실성과 실패 리스크가 높고 성공하더라도 수익은 장기적으로 실현된다. 반면에 이미 지니고 있는 역량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활용은 불확실성과 실패의 리스크가 낮고 수익이 단기간에 실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다수 기업들은 현재 가진 역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눈앞의 단기 성과와 현 사업으로부터의 수익 극대화에만 몰두하게 된다. 마치 교수는 이를 ‘근시안적 조직학습’이라고 부른다.
 
근시안적 학습과 성공의 덫
근시안적 학습은 역설적으로 그 기업의 장기 생존과 지속 가능한 경쟁력 확보에 치명적인 위협을 초래한다. 마치 교수는 이를 ‘성공의 덫’이라고 표현했다. 기업이 기존의 전략이나 이미 보유한 자원을 반복적으로 활용하면 해당 역량을 성과 창출에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 점점 능숙해진다. 그 결과 기존 역량은 기업이 성공적으로 성과를 창출하는 ‘성공 공식(success formula)’으로 자리잡게 된다. 기업들은 일단 성공 공식으로 증명된 역량을 다른 사업에도 계속 확장해 사용한다. 실무에서는 이를 ‘레버리지(leverage)’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 공유’ 등으로 부른다.
 
그런데 기존 성공 공식의 반복적 활용은 치명적인 위험도 수반한다. 기존의 성공 공식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기업은 다른 대안적 역량이나 가능성들로부터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점차 고립된다. 그러다가 기존의 역량과 성공 공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불연속적이고 역량파괴적(competence-destroying) 환경 변화가 발생하면 기업은 갑작스레 붕괴한다.
현재 진행 중인 글로벌 경제위기에서 제너럴모터스(GM)·포드·시티은행·코닥 등 20세기를 지배하던 전통 강자들이 몰락하고 있는 이유도 근시안적 학습과 성공의 덫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훨씬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의 몰락 원인은 일반인이 말하는 것처럼 ‘방만한 경영’ 때문이 아니다. 실제 GM과 포드는 자신들의 성공 공식인 규모의 경제를 기반으로 한 대량생산 역량에서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런데 1990년대 중반부터 대량생산이 성공을 보장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환경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창조·혁신·속도가 중시되는 21세기 글로벌 초경쟁 환경(hyper competition)이 도래한 것이다. 이런 새로운 환경에서는 과거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상품이나 기술, 비즈니스 모델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혁신 역량이 경쟁우위의 원천이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강력한 창조적 혁신 역량을 보유한 구글은 창업 5년여 만에 세계 최고의 브랜드 가치를 갖게 됐다. 20세기 후반 몰락 위기에 처했던 애플과 닌텐도도 화려하게 부활했다. 반면에 규모의 경제와 대량생산이라는 성공 공식을 반복적으로 활용하며 근시안적 학습에 치중하던 GM과 포드 등 전통 강자들은 치명적인 위기를 맞았다. 이것이 바로 현 경제위기의 본질이다.
 
마치 교수의 ‘근시안적 학습과 성공의 덫’ 이론은 장기 생존과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원하는 기업들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높은 성과를 창출한 기업은 자신의 경영방식을 ‘XX식 경영’ 또는 ‘○○ Way’라는 식으로 정리해서 철저하게 지키곤 한다. 그러나 기존의 경쟁우위와 역량에 대한 자부심과 반복적 활용이 근시안적 학습과 성공의 덫으로 연결되어 치명적인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경계해야 한다.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동시에 그 강점이 결정적 위기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반드시 인식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마치 교수는 경영자들은 항상 단기 생존을 위한 기존 역량의 효율적 활용과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과감한 탐구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편집자주 신동엽 연세대 교수가 학계에서 인정받는 최고 경영 사상가들의 지혜와 통찰을 전하는 ‘경영 거장 탐구’ 코너를 연재합니다. 위대한 학문적 업적을 달성한 거장들은 인류의 지식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데 기여했지만 오로지 학술 연구에만 매달린 탓에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거장들의 통찰은 첨단 지식정보 사회에서도 여전히 위력을 발휘합니다. 한 차원 높은 지식의 세계로 독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