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생태계에서 배우는 경영

노련한 하마는 배가 고파도 멀리 있는 풀을 먹지 않는다

서광원 | 178호 (2015년 6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 전략

 

노련한 하마들은 아무리 배가 고프고 맛있는 풀이 눈앞에 아른거려도 어느 지역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물속에서 무리와 함께 있을 때 천하무적인 이들이 물 밖에선 속수무책으로 맹수들의 먹잇감이 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노련함의 핵심 조건 중 하나는 자신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를 잘 아는 것이다. 경영학에서 말하는 포지셔닝(Positioning)이다. 한편 위기상황이 닥쳤을 때 보스가 어디서 어떻게 하느냐는 무리의 생존, 더 나아가 보스 자신의 생존을 좌우한다. 사자 왕국에서 보스의 수명은 보통 2년이지만 상황에 따라 자신이 있어야 할 곳을 잘 아는 보스들은 5년까지 장수한다. 

 

아프리카의 강에는 아주 센 두 녀석이 산다. 철갑 무장에 세상에서 가장 강한 턱을 가진 악어와 역시 커다란 입에 날카로운 송곳니를 가진 하마다. 녀석들은 덩치도 크다. 악어는 몸 길이 5m에 무게가 400∼500㎏에 달하고, 하마는 1.5m 남짓 키에 몸무게는 보통 1t, 큰 녀석은 3t까지 나간다. 이 거대한 두 녀석이 붙으면 누가 이길까?

 

같은 강에서 이웃하고 사니 날이면 날마다 바람 잘 날이 없을 것 같지만 녀석들이 사는 강은 의외로 조용하다. 별로 싸우지 않기 때문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하마는 초식이어서 악어에게 관심이 없고, 고기를 먹고 사는 악어는 하마가 커다란 입과 무서운 송곳니, 거기다가 무리까지 있으니 잘못 건드렸다간 본전도 못 찾겠다는 생각을 한다. 마음속에서야 3t에 달하는 튼실한 살점을 마음껏 포식하고 싶은 생각이 굴뚝 같겠지만.

 

 

특히 하마는 누군가가 자기들의 영역을 침범하면 절대 그냥 놔두지 않는다. 평소에는 하루 종일 강물 밖으로 코와 눈만 내놓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온순한 측면도 있지만 영역 내 침입자만큼은 결코 곱게 보내주지 않는다. 한마디로 강 속의 하마는 아무도 건드리지 못하는 천하무적이다.

 

이 강물 속의 천하무적을 완전하게 볼 수 있는 시간은 뜨거운 태양이 사라져줄 때다. 강한 햇빛은 피부를 상하게 하기도 하고 사자 같은 녀석들의 눈에 띄면 좋을 일이 없기에 물속을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해질녘 강물 밖으로 나온 하마들은 근처 풀밭으로 식사를 떠난다. 워낙 덩치가 있는 녀석들이라 하루에 100㎏ 정도는 먹어야 하니 여유를 부리다가 뒤처지면 풍성한 식탁은 다른 놈들 차지다. 다들 앞서거니 뒤서거니 잰걸음으로 초원 속으로 사라진다.

 

녀석들이 하루에 먹어야 하는 풀 100㎏은 말 그대로 엄청난 양이어서 날이 갈수록 강 근처에서 풍성한 식탁을 찾는 건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모두들 조금씩 조금씩 강에서 멀리 나아간다. 하지만 그러다 보면 예상치 못한 일이 생긴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던 무리들은 간 곳이 없고 이미 어둠이 짙게 깔린 캄캄한 초원에 혼자 떨어져 있는 상황을 맞게 되는 것이다. 아차 싶어 오던 길을 되돌아가려고 하지만 뭔가 불길한 예감이 들고, 이 예감은 맞아 떨어질 때가 많다. 이미 다가온 불행이 주변을 서성거리고 있다. 불행의 정체는 배고픈 사자들이다. 어디서 왔는지 이글거리는 사자들의 눈이 어둠 속에 혼자 있는 하마를 빙 둘러싼다. 풍성한 식탁을 찾아 왔다가 사자들의 풍성한 식탁이 될 위험에 빠진다.

 

물론 몸무게가 톤 단위인 하마가 200㎏ 안팎에 지나지 않는 사자와 겨룰 수 있는 여지는 적지 않다. 하지만 결말은 언제나 하마의 일방적인 패배로 끝날 확률이 높다. 강에서는 그 누구도 범접하지 못하는 천하무적이지만 강에서 나오는 순간 모든 강점이 치명적인 약점으로 변해버리기 때문이다. 거대한 몸과 짧은 다리는 움직임을 둔하게 만들고, 커다란 입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으며, 물속에서 최적화된 피부는 약간의 스침도 견뎌내지 못한다. 시간이 갈수록, 몸부림을 칠수록 상황은 악화되기만 한다. 죽을 힘을 다해 강으로 돌아오는 녀석들이 있긴 하지만 그런 행운이 따르더라도 온몸이 상처투성이가 되는 걸 감수해야 한다.

 

그래서 노련한 하마들은 아무리 배가 고프고 맛있는 풀이 눈앞에 아른거려도 어느 지역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위기가 왔을 때 물속으로 재빨리 돌아오면 자기만의 강점을 되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노련함의 핵심 조건 중 하나는 자신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를 잘 아는 것이다. 반면 젊고 팔팔한 녀석들은 그 팔팔함 때문에 아까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다. 생존의 기본 조건을 어긴 대가다. 생존의 기본 조건은 평상시에는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지만 중요한 순간에 생과 사를 가른다.이 삶의 기본을 갖추지 않는 생명체에게 세상은 항상 가혹하다. 특히 있어야 할 곳을 아는 것은 특정 생태계 속에서 자리 잡고 살아가는 생명체에게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다. 삶은 어디에 어떻게 위치하느냐 하는 생태적 지위(niche)에서 시작하는 까닭이다. 경영학에서 말하는 포지셔닝(Positioning)이다. 이 삶의 기본 조건은 그것이 니치든, 포지셔닝이든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미국 서부 개척 시절 땅속이 아니라 청바지에서 금광을 찾아낸 청바지 업체 리바이스는 최초의 시장을 만든 덕분에 무려 100년 넘게 전 세계 청바지 시장을 석권하다시피 했다. 더구나 전 세계 젊은이들이 청바지를 자신들의 아이콘으로 받아들이면서 청바지의 세계화가 자연스럽게 이뤄졌다. 하지만 1970년대 들어 성장 곡선이 처지기 시작하자 좀 더 멀리 있는맛있는 풀을 찾아 나섰다.

 

 

리바이스는 우선 경영학 이론이 권한 대로 자신들의 업을 재정의했다. 좁은 영역에 불과한 진(jean) 생산 전문업체가 아니라 폭넓은 의류생산업체로 정체성을 넓힌 다음, 빠르게 수영복과 신발, 비옷, 모자로 넓어진 영역으로 나아갔다. 그들은 자신을 믿었다. 뭘 하든 성공해왔으니까.

 

새로운 풀밭은 멀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역량을 믿고 조금 더, 조금 더 나아갔다. 강에서 멀어지고 있었지만 조금만 더 가면 맛있는 풀이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문득 이게 아니다 싶어 정신을 차렸을 땐 강에서 너무 멀리 온 뒤였다. 풍성한 식탁 대신 낯선 경쟁자들이 나타났고 어둠 속의 사자들 같은 위기도 몰려왔다.

 

위기는 조용히 오는 경우가 많지만 절대 조용히 지나가는 법은 없다. 안 되겠다 싶어 얼른 강으로 다시 돌아오기는 했지만 몸은 상처투성이였고 설상가상으로 돌아온 청바지 시장은 이미 다른 하마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1990년 리바이스는 전 세계 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점한 절대강자였다. 하지만 너무 멀리 갔다 온 1998년 리바이스의 시장점유율은 절반밖에 안 되는 25%에 불과했다. 1%에 죽고 사는 상황임을 감안한다면 추락에 가까운 낙폭이다. 강물과 가까운 곳에서, 자신들의 축적된 기량이 잘 발휘되는 곳에서 새로운 먹이를 찾아야 했는데 강에서의 강점만 믿고 너무 멀리 갔다가 화를 자초했던 것이다. ‘강물의 천하무적풀밭의 천하무적이 되려면 생존방식을 완전히 바꿔야 했는데 여기서도 통했으니 저기서도 통하겠지 했던 것이다. 리바이스는 독보적인 존재에서 여러 괜찮은 브랜드 중의 하나가 됐다.

 

 

이 삶의 원리는 조직 생태계 내에서도 적용된다. 특히 조직을 이끄는 리더에게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 하는 것은 리더십 그 자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직을 이룬 덕분에 3t의 거대한 하마도 사냥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는 사자 무리의 보스들도 마찬가지다. 자신이 있어야 할 곳과 때를 알아야 장수하는 제왕이 될 수 있다.

 

사자들이 사는 세렝게티 초원도 가도가도 끝없이 펼쳐지는 푸르디 푸른 모습이 아닐 때가 많다. 우기일 때만 초원이 형성되고 건기가 되면 완전히 말라붙어 먼지만 풀풀 날리는, 비 한 방울 내리지 않아 메마른 황무지가 되기 때문이다. 이런 기간이 1년의 절반인 6개월이나 된다. 텅 비다시피 한 황무지에는 모든 것을 태울 듯 내리쬐는 뜨거운 햇빛만이 가득하다.

 

이 즈음 사자 무리엔 긴장감이 높아진다. 먹을 게 없기 때문이다. 다행히 이 시기가 되면 고지대에 살던 버팔로들이 물을 찾아 내려오지만 함부로 건드릴 수가 없다. 꽤 강한 조직력을 갖고 있는데다 몸무게가 1t 가까이 나가는 녀석들을 잘못 건드렸다가는 본전도 못 건질 때가 많기 때문이다. 드센 뿔은 어떻게 피할 수 있다고 해도 만의 하나 육중한 몸에 깔리기라도 하면 그 자체로 치명상이다. 그렇다고 가만히 있자니 배를 곯아야 하고, 사냥을 하자니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사자 새끼들의 절반 이상이 굶어 죽는 일이 흔하다. 말 그대로 위기다. 시간이 갈수록 살길은 또렷해진다. 저 육중하고 무서운 버팔로를 사냥하는 것이다. 어떻게 저 거대한 목표물을 공략할 수 있을까?

 

사자 사회에서는 역할 분담이 확실하다. 조직을 꾸려가는 사냥은 암사자들이 담당하고 국방은 보스인 숫사자들이 담당한다. 그래서 암사자들이 애써 사냥을 해놓으면 숫사자들이 먼저 와서 먹는다. 왜 숫사자들은 빈둥빈둥 놀면서 암사자들이 애써 마련한밥상을 차지하느냐, 이런 의문이 들 수 있지만(물론 순전히 그런 못된 보스들도 있다) 국방의 의무 또한 만만치 않다. 이웃 사자들과 떠돌이 사자들의 공격이 시도 때도 없이 전개되기 때문에 만약을 위한 힘을 비축해놓지 않으면 언제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른다. 더구나 숫사자들의 육중한 덩치와 멋지게 자란 갈기는 사자들과의 일전에서는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위장 접근과 빠른 스피드가 필수인 얼룩말과 가젤 사냥에서는 장애물이 된다. 자연스럽게 역할 분담이 이뤄진 것이다.

 

하지만 위기가 고조되면 암사자들은 숫사자들에게 SOS를 청한다. 버팔로나 기린과 같은 훨씬 더 큰 덩치와의 싸움에서는 암사자들보다 평균 50㎏ 이상 무거운데다 싸움 경험이 풍부한 숫사자 보스들의 역할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민첩성이 좋은 암사자들이 버팔로의 주의를 끌 때 보스들이 결정타를 가하면 사냥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다.

 

물론 암사자들의 SOS에 모든 보스들이 언제나 달려오는 건 아니다. 상황을 가늠한 다음 판단을 내린다. 여기서 보스들은 대개 두 종류로 나뉜다. SOS에 응해 사냥을 맨 앞에서 진두지휘하면서 성공적으로 이끄는 보스들이 있는가 하면 여전히 나 몰라라 하는 보스들이 있다. 물론 나 몰라라 한다고 무조건 나쁜 보스는 아니다. 사냥에 참여하는 게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버팔로 같은 녀석과의 싸움은 그 자체로 위험천만한 일인데다 그 사이에 다른 숫사자들이 공격이라도 해오는 날에는 그야말로 진퇴양난이 된다. 하지만 SOS를 나 몰라라 하는 보스가 이끄는 무리는 눈에 띄게 힘이 빠진다. 사냥을 하지 못하는 날이 많으니 굶어 죽거나 힘이 부족해 사냥에서 부상 당하는 사자들이 생기는데다 결원이 생길수록 다음 사냥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런 보스들은 암사자들이 애써 사냥에 성공한 사냥감을 먼저 먹어버린다. 무리가 시들어가는 풀잎처럼 무기력해질 수밖에 없다. 항상 배가 고픈데다 되는 일이 없으니 모두들 신경을 곤두세우는 바람에 툭하면 마찰도 생긴다. 더구나 새끼들이 잘 먹고 자라줘야 무리의 새로운 힘으로 자리매김하고, 그래야 사냥능력도 좋아지는데 그러질 못하니 무리의 힘은 더 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못된 보스는 자연의 순리가 해결한다. 어느 순간 조용히 사라지는 것이다. 기회를 엿보던 외부의 도전자가 보스 자리에 도전을 해왔을 때 암사자들은 보스의 위기를 못 본 척한다. 보스들이 무리의 위기를 못 본 척한 것에 보복하는 것이다. 먼산 불구경하듯 바라보는 암사자들의 마음은 이미 천리 만리 떠나 있다.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보스가 어디에서 어떻게 하느냐 하는 건 무리의 생존, 더 나아가 보스 자신의 생존을 좌우한다. 사자 왕국에서 보스의 수명은 보통 2년이지만 상황에 따라 자신이 있어야 할 곳을 잘 아는 보스들은 5년까지 장수한다. 조직이라는 강력한 결속력을 통해 각각의 생태계에서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늑대 무리와 바다의 범고래 무리에서도 같은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완전히 다른 생태계이긴 하지만 강력한 조직력이라는 공통점으로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오른 이 최강자들에게서 같은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는 건 뭘 의미할까? 보스는 조직이 필요로 할 때와 필요로 하는 곳을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보스가

어디에서 어떻게 하느냐 하는 건

무리의 생존,

더 나아가 보스 자신의

생존을 좌우한다.

 

개인이건, 기업이건 자신이 있어야 할 곳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물에 살아야 할 물고기가 하늘을 날게 되면 어떨까? 날개 없이도 날게 됐으니 좋은 일일까? 물고기가 하늘을 날게 된다는 건 사실 끔찍한 일이다. 물고기들을 노리는 사냥꾼인 물수리들의 발톱이 움켜잡아준덕분에날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지금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 어디론가 떠나고 있다. 잘 가고 있는 걸까? 강물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데 너무 멀리 초원으로 가고 있지는 않은지, 아니면 초원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데 물속에 들어와 허우적거리고 있는 건 아닌지, 항상 우리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것은 어디에서 뭘 하든 간에 꼭 필요한 일이다.

 

 

서광원 생존경영연구소장 araseo11@naver.com

필자는 <경향신문> <이코노미스트> 등에서 경영 전문 기자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대한민국 리더의 고민과 애환을 그려낸 <사장으로 산다는 것>을 비롯해 <사장의 자격> <시작하라 그들처럼> <사자도 굶어 죽는다> <살아 있는 것들은 전략이 있다> 등이 있다.

 

  • 서광원 |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필자는 경향신문, 이코노미스트 등에서 경영 전문 기자로 활동했으며 대표 저서로는 대한민국 리더의 고민과 애환을 그려낸 『사장으로 산다는 것』을 비롯해 『사장의 자격』 『시작하라 그들처럼』 『사자도 굶어 죽는다』 『살아 있는 것들은 전략이 있다』 등이 있다.
    araseo11@naver.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