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수익 창출하면서 삶의 질 향상 혁신의 프론티어, 사회적기업 키우자

김재구 | 117호 (2012년 11월 Issue 2)

 

 

21세기에 들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되 그의 실현은 비즈니스 방식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조직이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따르면 노동시장 통합 및 사회통합, 그리고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사회·경제적 목적을 동시에 수행하는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을 사회적기업이라고 한다.

 

 

가치 기반 전략을 추구하는 사회적기업

그동안 기업들은 어떤 사업영역에서 활동할 것인지 고민하는기업전략(corporate strategy)’과 어떻게 경쟁할 것인가를 주제로 다루는경쟁전략(competitive strategy)’을 중시했다. , 기업전략과 경쟁전략의 실행을 위해 우선적으로 챙겨야 하는 핵심성공요인(KSF)이 무엇인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정합성(alignment)을 가진 경영시스템과 관행을 설계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전략 관점에서 최고경영자는 이러한 연결들이 잘 정렬돼 조화롭게 맞물리며 돌아가는지를 감독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림 1)

 

그런데 사회적기업은 이와 달리 가치에 기반한 전략(value-based strategy)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사회적기업들이 전략의 전통적인 관점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건 아니며 그 기반 위에서 경영전략을 펼치게 된다. 하지만 사회적기업은 이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목적이라는사명(mission)’ 달성을 최우선 목표로 삼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치기반 전략에 대한 관점을 가지고 비즈니스 모델을 실행하게 된다. 이 사명이 기업의 근본적 가치와 원칙을 규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경영관행들을 채택하고 활용해 핵심역량을 구축함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한다. 당연히 CEO의 역할도 전략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에서 말하는 감독자적 위치에서 벗어나야 한다. 가치 기반 전략 관점에서 CEO의 주요 임무는 기업의 가치를 경영하는 일이다. 요약하면, 사회적 미션을 우선시하는 사회적기업들은 가치에 기반한 전략 관점을 구사하거나, 혹은 그러한 지향점을 가짐으로써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을 실행할 수 있다고 본다.(그림 2)

 

 

 

사회적기업가 정신과 비즈니스 모델

사회적기업 역시 기업이기 때문에 사회적 목적 추구 못지않게 경영의 탁월성을 갖춰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을 가진 비즈니스 모델을 갖춰야 하며 혁신적인 기업가정신이 발휘돼야만 한다. 특히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목적을 지닌 기업이기 때문에 일반 기업들보다 기업의 존재 목적, 미션에 대한 고민이 더 클 것이다.

 

사회적 목적 추구와 비즈니스를 통한 수행방식이라는 사회적기업의 두 가지 특성은 어떻게 보면 모순된 것처럼 보이지만 역설적으로 사회를 변화시키는 혁신과 창조를 가져오는 동력이 될 수 있다. 일찍이 미국 스탠퍼드대의 짐 콜린스 교수는 <성공하는 기업의 8가지 습관(Built to Last)>이라는 책에서 일반적으로 서로 상반돼 보이는 목적 가운데 하나를 택해야 한다고 믿는 기업이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콜린스는 실제 연구결과 비전이 높은 기업일수록 동시에 두 가지를 모두 추구하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들은 선택의 압박에 시달리지 않고 둘 다를 모두 추구하는 지혜를 발휘하고 이 두 가지를 함께 얻을 수 있는 길을 모색했다. , 이윤을 창출하면서 동시에 인류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성공했다.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려는 사회적 가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가치와 질을 높인다. 둘째로 경제적 빈곤에 처한 이들과 이민노동자 등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이들에게 일자리란 단순히 생계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자존감과 자긍심의 회복, 새로운 삶의 시작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적기업은 열악한 환경에서 어떻게 할 방도를 찾지 못하는 이들에게 문제를 풀 수 있는 해결책을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 제공해 준다. 유누스 교수의 그라민은행은 방글라데시에서 성 차별과 억압적 사회구조하에 있던 여성들에게 소액대출(micro-credit)을 제공함으로써 작은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 개발을 이룰 수 있도록 했다. 끝으로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의 궁극적인 지향은 사회 혁신을 통해 산업이나 사회, 경제적으로 뿌리박힌 기존 부조리나 적폐를 해소하는 데 있다.

 

사회적기업가들이 이와 같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면서도 지속가능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튼튼한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 비즈니스 모델이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본 설계도로 어떤 상품을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판매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요소로는 핵심역량, 고객선택, 전략, 가치네트워크 등이 있다. 이러한 개별 기업 차원의 비즈니스 모델 요소들은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마이클 포터 교수가 국가차원의 경쟁력 다이아몬드 모델에서 제시한 부존자원, 시장수요, 기업들의 전략과 경쟁, 사회 인프라 등의 요소들과 각각 대응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위한 제언

- 4C 3I

 

사회적기업이 비즈니스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명/소명(Calling), 지식/경험(Career), 창의성(Creativity), 공동체(Community) 등 네 가지 요소들이 융합돼야 한다. 각 요소들의 앞 글자를 따서 이를 ‘4C’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우선 사회적기업 성립의 전제조건인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분명한 사명이 존재해야 한다. 이러한 사명이 기업의 가치관과 원칙을 규정하게 된다. 이에 적합한 경영관행들을 채택해 확립하는 가운데 기업의 핵심역량을 구축할 수 있고 나아가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당연히 비즈니스 경험이나 지식, 역량도 갖춰야 한다. 이는 최고경영자 수준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라 말단 조직 구성원에 이르기까지 모두 해당된다. 그래야만 각기 상호보완을 이루며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필요한 요소는 창의성이다. 사회적기업의 경쟁력은 혁신에 있고, 이를 위해 창의성 개발 및 발휘가 필수적이다. 창의성을 갖춰야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구상하고 실천해나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기업은 공동체의, 공동체에 의한, 공동체를 위한(of the community, by the community, for the community) 기업이 돼야 한다. 사회적기업은 그 조직 자체가 신뢰와 헌신에 기초한 기업공동체로 설 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가치 창출에 있어서 생산성을 확보하고, 가치 분배에 있어서도 공정성을 담아야 하며, 열린 시스템으로서 공동체와 상호 작용할 때 지속적인 비즈니스 영위가 가능하다.

 

한편, 사회적기업이 성공적으로 경영을 일구어 내고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기업경영과는 다른 관점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기업 자체가 새로운 비즈니스 시도라는 점에서, 그리고 일반 기업과는 달리 사회적 목적 추구가 우선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적기업의 경쟁전략 실행(execution)을 위해서는 다양한 자원이 필요하며 이를 연결시켜야 한다.

 

사회적기업을 통해 사회에 영향(impact)을 미치기 위해서는 투자(investment)와 혁신(innovation), 통합(integration)이라는 세 요소, ‘3I’가 필요하다. 우선 출발점은 투자인데, 이는 단순히 금전적 투자뿐 아니라 시간과 열정 등 무형적 요소도 해당된다. 최고경영자는 외부 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학습하는 것은 물론, 실무자들과의 대화 등을 통해 현재 그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부터 새로운 시장,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수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투자 다음 단계는 혁신을 통해 대안을 개발하고 제시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기존의 패러다임을 넘어서고 비즈니스를 새롭게 함으로써 새로운 경쟁우위 및 경쟁전략을 발굴하거나 블루오션을 열 수 있다. 이 모든 노력은 통합으로 귀결돼야 한다. 이때 전략적 목표의 달성이라는 초점에 맞도록 이 자원들 간의 연결을 정렬(align)시키고 이끌어 가는(lead) 실행력이 요구된다.

 

 

사회적기업의 혁신 사례

1) Websourd

 

프랑스의 협동조합인 웹수르(Websourd)는 온라인상에서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www.WebSourd.org)이다. 이들의 사명은 혁신적 기술제품을 통해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2001년에 창립, 2009년 현재 18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이 개발한 프로그램 엘리송(Elison)은 인터넷 화상 카메라를 통해 수화 통역자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청각 장애인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초기엔 기업이나 관청 등 B2B 서비스가 주를 이뤘지만 모바일 환경의 발달에 따라 지금은 스마트폰을 통한 개인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엔 아바타(수화를 전달하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자동메시지 전달시스템도 개발해 현재 프랑스 내 몇몇 기차역에서 활용 중에 있다. 웹수르는 2015년까지 150개 기차역에서 아바타 시스템을 제공할 계획이다.

 

웹수르는 경제적 성과 면에서도 괄목할 실적을 내고 있다. 2009년 기준 매출액은 130만 유로에 달하며 수익률(EBITDA) 17%에 순이익만 10만 유로다. 현재 80개 기업과 60개 행정관서에서 비디오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매달 4000건의 개인전화서비스가 활용되는 등 사회적 성과(social impact)도 탁월하다. 주요 뉴스들을 수화로 통역해 제공하는 별도의 웹사이트에는 현재 매달 3만 건의 접속이 일어나고 있다.

 

 

 

2)E3Empower

이스리엠파워(E3Empower)는 기독교 선교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기업이다.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 카운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스리엠파워는 적정 기술로 제작된 제품을 보급함으로써 낙후된 지역들이 직면한 기본적인 생존에 관한 문제들(깨끗한 물, 에너지 부족 등)을 해결하는 동시에 현지인들이 소규모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자생력을 높이는 전략을 추구한다.

 

이 회사의 대표적인 사업인디라이트(D.Light)’는 미국 스탠퍼드대의 연구실에서 적정기술을 활용해 만든 다목적 배터리레디셋(ReadySet)’을 낙후 지역에 보급하는 것이다. 레디셋은 쉽게 망가지지 않고 고장이 잘 나지 않는 단순하고 튼튼한 배터리로 태양열 충전은 물론 자전거 동력을 통해서도 충전이 가능하다.

 

이스리엠파워는 단순히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전등 보급이 목표가 아니다. 이 회사는 레디셋을 현지에서 직접 판매하는 대신 특정 지역을 관장할 수 있는 1∼2명의 판매 사원을 현지에서 발굴한 후 그들에게 사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후 이스리엠파워는 자신들이 발굴한 판매책들에게 상품을 공급해 줌으로써 현지인들이 소규모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스리엠파워가 직접 시장에 뛰어들지 않는 이유는 단 한 가지. 해당 지역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그림 5>는 낙후된 지역의 여성들이 디라이트 프로그램을 통해솔라 시스터 네트워크(Solar Sister Network)’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한 사람의 창업가가 생기면 이스리엠파워는 창업자금으로 500달러 정도를 소액 대출로 빌려주며 레디셋을 판매한다. 물론 상세한 제품 설명과 함께 영업, 마케팅에 필요한 기본 지식도 전수한다. 이 창업자는 레디셋을 팔면서 수익을 올리는 동시에 소비자들을 새로운 창업자로 모집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간다. 디라이트 사업에 참여하는 창업자들은 판매 수수료를 통해 자신의 가정을 위한 교육, 양질의 식사, 보건 혜택 등을 위한 자금을 얻게 된다. 물론 수익금을 통해 대출도 갚아 나간다. 디라이트 사업은 특히 소외 계층이었던 여성들의 경제적 독립을 지원하고 그들의 네트워크 형성을 지원함으로써 가정과 지역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미래

사회적기업의 주요 사업 영역으로 우선 사회 서비스 시장을 주목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기업이 담당해야 하는 사회 서비스는 복지를 포함해 환경, 교육, 문화 등으로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원래 선진국에서 사회적기업에 주목하게 된 이유도 사회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증대하면서 동시에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이 컸다. (그림 6)

 

한국에서 사회적기업의 활성화가 필요했던 배경은 무엇보다 경제위기 상황을 극복하면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들 때문이었다. 정부 정책의 한계와 사회적 빈틈을 사회적기업들이 메워줄 수 있고 양극화의 후유증을 해소하고 소외계층을 구제해 줄 수 있는 대안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 시장에서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게 고용기회를 제공해 이들을 일반 노동시장으로 통합하고 이들이 자존감을 갖고 경제적으로 자립해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초점이 맞춰져 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사회적기업의 목적을 노동 통합, 사회적기업 지원, 국제공헌, 지역재생 등을 포함해 사회혁신을 위한 전반적 영역으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사회혁신에 기초해 사회 전반의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접근을 해나갈 때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이 가능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취업이 어려운 이들에게 직업훈련과 일자리 경험 및 취업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노동통합형 사회적기업(WISE·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사회적기업이 필요로 하는 금융이나 마케팅, 디자인, 컨설팅 지원 등 사회적기업 지원을 위한 사회적기업들도 더 활성화돼야 한다. 공정 무역이나 공정 여행뿐만 아니라 공적개발원조(ODA) 등 국제원조사업을 개선하는 국제 공헌형 사회적기업의 활약 역시 기대해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기업의 유사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마을기업이나 농어촌공동체회사 등까지 포괄해 지역경제를 혁신하고 재생하는 유형의 사회적기업의 중요성 역시 커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는 협동조합기본법의 시행으로 협동조합형 사회적기업, 소위 사회적 협동조합의 설립이 가능하게 되는 원년이 된다. 지난 2008년의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협동조합이 높은 소득과 생활안정을 가져다준다는 것이 널리 알려지게 됐다. 그동안 한국에서도 협동조합에 대한 설립요구가 컸으나 그동안 법이 미비해 협동조합 설립이 용이하지 않았다. 협동조합 7대 기본원칙의 첫째가 자립, 자조 정신이며 오랫동안 영리사업을 영위해 온 경험도 있다. 그러므로 협동조합은 사회적기업과 함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사업화로 나아감에 있어서 상호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불리한 여건에 있는 사회적기업들이 공동생산, 공동판매, 공동소비 등을 구축하는 협동조합형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나가는 게 필요하다. 이제 2012 121일의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으로 농촌이나 구도심의 지역재생사업, 친환경농업 분야나 주거서비스 분야 등 전반 영역에서 협동조합형 사회적기업의 활약이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부처 간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각 부처별 사업의 칸막이 현상과 정책 총괄 및 조정의 미비로 인해 효과적인 사업집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2012 121일부터 설립 가능해지는 사회적 협동조합을 계기로 사회적기업 관련 유사정책인 마을기업(행안부), 농수산공동체기업(농수산부), 자활공동체(복지부) 등의 전달체계를 정부가 통합 관리해 체계적으로 정책을 집행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될 때 사회적기업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하는 정부 정책이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을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기업이 단지 사회 서비스 분야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와 지역공동체의 역량을 모아 사회 전반의 혁신을 이끌어 내는 과정에서 한국 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고, 약자들을 도우며, 미래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 우리의 선한 이웃이자 동료가 될 것을 확신한다.

 

 

김재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명지대 경영대 교수) jgkim@ikosea.or.kr

필자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을 거쳐 명지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생산성학회 회장이자 한국인사조직학회 상임이사이며 사회적기업활성화 전국네트워크 공동 대표도 맡고 있다.

 

 

참고문헌

김재구 외, 소셜벤처 경연대회 운영방안 연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이지영, Business As Mission(BAM), e3Empower, 2012.

짐 콜린스 Jim Collins, 제리 포라스 Jerry Porras, 성공하는 기업의 8가지 습관(Built to Last), 김영사, 2002.

e3Empower, D.Light 사업 브로셔, 2012.

G. Hamel, C.K. Prahalad, Competitng for the Futur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1996.

Brett Johnson, Consultant Manual, rep (2010), e3empower presentation 재인용.

le comptoir de l’innovation, Co-operatives in France, Groupe SOS, 2012.

Jeffrey Pfeffer & Charles O'Reiley, Hidden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00.

Michael Porter,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Free Press, 1998.

스탠퍼드대학교 경영대학원(Stanford GSB), 인적자원관리(HRM) 강의자료, 2000.

  • 김재구 김재구 | 명지대 경영대학 교수, 한국경영학회 회장

    필자는 서울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과 미국 스탠퍼드대 초빙 연구위원을 거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을 지냈다.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위 위원,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 지방시대자문위원장 등 정책 자문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국경영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jgkim@mju.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