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ong-A Business Forum 2011 Special Section

기업 경쟁력 높이는 csv, 첫발은 측정이다

도현명 | 93호 (2011년 11월 Issue 2)



가치(Value) 창출 원천의 확장

자본주의 역사를 통틀어 인류는 재화를 사유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나 문화적 시스템을 발전시켜 왔다. 또 화폐를 통해 사유화한 상품이나 자산을 자유롭게 시장에서 거래해왔다. 이를 통해 인류는 부(Wealth)를 축적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시장에는 다양한 참여자들이 재화의 가격, 보다 근본적으로는 재화가 가지고 있는 가치의 원천을 놓고 끊임없이 갈등과 충돌을 반복하면서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것으로, 물질적인 것에서 문화적인 것으로, 공급자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개인적인 것에서 사회적인 것으로, 노동집약적인 것에서 지식집약적인 것으로, 단기적인 것에서 장기적인 것으로 가치의 원천을 확장해왔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기업은 새로운 가치의 원천을 발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창의와 혁신을 이뤄냈으며 이를 통해 인류는 시장의 양적 크기를 키워냈고 질적으로도 윤택한 삶을 누리게 됐다.

산업화 초기, 시장의 수요가 공급을 앞질렀던 시대에는 가장 싸게 대량으로 재화를 생산해낼 수 있는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고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이 시기를 통해 포드(Ford)와 같은 기업은 내부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대량 생산 시스템을 구축, 시장의 선택을 받게 됐다. 시간이 흐르면서 시장에 참여하는 공급자가 증가하고 경쟁이 치열해지자 맥도날드, P&G와 같은 소비재 기업들을 중심으로 고객이 가치 있다고 여기는 재화를 만들어내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시장과 좀 더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고객의 욕구와 효용을 먼저 파악해 다품종 소량 생산 시스템으로 재화를 판매했다. 두 시기는 공통적으로시장적 수요(Market Demand)’가 가치의 원천이 됐던 시기였다. 이후 자본시장이 활성화되고 신용 시스템이 발달하면서자본적 수요(Capital Demand)’가 가치의 원천이 되는 시기가 도래했다. 소위 주주 가치 극대화에 성공한 기업들은 더 큰 신용과 금융 인센티브를 누리며 자본의 선택을 받을 수 있게 됐고 더욱 큰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1



하지만 시장적 수요 충족에 성공했던 기업들도 자본의 요구에 따라 단기적인 재무 성과를 높이기 위해 극단적 시장 경쟁에 나서고 자본 공급자들마저 탐욕적으로 자산 가격에 거품을 만들어내는 데 열을 올리다 결국 실물 경제에 재앙을 불러왔다. 이 과정에서 기업은 주주 가치 극대화를 위해 극단적인 시장 효율을 추구했고사회적 수요(Social Demand)’는 도외시했다. 하지만 최근 마이클 E. 포터 하버드대 교수와 마크 크레이머 FSG 대표가 주창하는공유가치 창출(CSV·Creating Shared Value)’ 개념은 이러한 사회적 수요를 반영해 기업이 가치의 원천을 더욱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업과 사회를 이분법적 갈등 관계로 전제해 시장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다양한 사회, 환경적 이슈를 외면하지 말고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전략과 역량에 사회적 수요를 통합하자는 주장이다. 이미 확장된 가치 영역에서 변화에 성공한 기업들도 등장하고 있다. 월마트(Wal-Mart)는 유통 과정에서의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품 포장과 유통 과정을 축소하면서 연간 200만 달러 규모의 연료 비용을 절약하고 있으며 노바티스(Norvatis) 4200만 명에 달하는 인도 교외 지역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수백 명의 지역 의료 인력의 고용을 창출해 5만 개의 소형 진료소를 공급망으로 확보하고 있다. 세계 3위의 알루미늄 기업 알코아(Alcoa) 2008 50%에 불과했던 미국의 알루미늄 캔 재활용률을 2015 7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하에 2400만 달러를 투자해 재활용 공장을 신축하고 연간 30만 톤의 알루미늄을 직접 재활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매년 335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미래의 가치 원천을 발견하는 데에 성공한 기업들이고 현재에도 다양한 전략과 방법을 통해 경영 혁신에 도전 중이다.


공유가치 측정 방법

최근 가치 영역의 새 지평을 열며 CSV 경영 전략과 프랙티스를 선도하고 있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창출된 공유가치를 합리적으로 측정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제대로 측정해야 경영을 통한 관리와 개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가치의 원천이 점차 덜 정량적이고 무형적 특징을 가진 사회적 영역으로 확장됨에 따라 객관적인 성과 측정이 어려워지고 그 결과 투자자나 경영자들도 전략적 의사결정과 경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가치의 영역이 유형적 부분으로 국한됐던 과거에 생산성은 오로지 경제적 가치를 중심으로 그 편익과 비용만을 반영해왔다. 덕분에 현재의 회계 및 공시, 감사 시스템이나 다양한 밸류에이션 방법, 투자 수익률(ROI) 분석 기법들이 구축됐다. 하지만 네슬레(Nestle)를 비롯해 GE, IBM CSV 전략을 잘 수행하며 좋은 경영 사례를 남기고 있는 기업들마저도 측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업 내부의 단기적 경제 성과는 비교적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CSV 활동을 통해 창출된 사회적 영향(Impact)과 이로 인한 장기적 기업 성과는 측정이 쉽지 않다. 공유가치를 생산하는 가치 사슬상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해 조직 구성원들에게 경제적 보상과 인센티브를 통해 적합한 신호(signal)를 보내는 것은 경영진의 중요한 임무다. 또 경영진의 사업 수행 여부나 투자자들의 투자 여부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공유가치를 기반으로 한 합리적인 통합 보고(Integrated Reporting)도 필요하다.

네슬레는 현재 지속가능경영 보고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은 GRI2 의 지표(Indicator)를 도입해 ‘Creating Shared Value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하지만 네슬레도 기존의 GRI가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 이슈에 대해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한계를 인지하고 창출된 사회와 경제적 가치를 통합할 수 있는 핵심 성과 지표(KPI)를 직접 개발해 성과를 공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네슬레의 고급 캡슐 커피 라인인 네스프레소(Nespresso)의 원두를 생산하는 프로그램 에콜래보레이션(Ecolaboration)의 경우 2013년까지
 

트리플A 지속가능한 퀄리티(AAA Sustainable Quality™) 프로그램과 열대우림동맹 인증(Rainforest Alliance Certified™) 농가로부터 80%의 원두 수급

캡슐 커피 머신에 사용되는 캡슐의 75% 수준까지 재활용 가능한 시스템 구축

소비자가 캡슐 커피 머신으로 내리는 커피 한 잔당 탄소배출량(Carbon Footprint) 20%까지 감축


한다는 3가지 목표를 내걸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토대로 네스프레소 머신과 캡슐 커피는 매년 30%의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네슬레그룹 전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테말라를 비롯한 남미의 커피 농가에는 농작 기술과 친환경 농장 경영 기법, 금융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농가 소득 증대와 일자리 창출, 환경 영향 감소와 같은 사회적 성과를 창출하고, 이러한 성과는 그대로 높은 퀄리티의 커피 원두 공급, 친환경적 제품 디자인, 제품 생산 원재료 비용 절감 등과 같은 직접적인 경제적 성과로도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 네슬레는 현재에도 매년 글로벌 CSV 포럼을 개최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공유가치 성과를 전달하고 피드백을 청취, 지속적으로 성과 지표를 개선해나가는 노력도 이어가고 있다.

93_pic3

[그림1] 임팩트 측정 프로세스 3



임팩트 측정(Impact Measurement) 도구 사례

CSV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조직의 사회적 영향(Impact)을 측정해 재무적 성과와 통합을 시도한 사례들이 있었다. 특히 비영리 기관이나 공공 부문에서 지역사회 개발이나 사회적 사업에 보조금을 제공하고 기대하는 사회적 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임팩트 측정 도구들을 많이 개발했다. 최근에는 사회적 기업과 같이 비즈니스의 핵심 모델이 CSV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사회경제적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글로벌 표준도 등장하고 있다.

공유가치 측정은 기업이 전략적으로 수행하는 활동(Activities)에 자본이나 인력 등을 투입(Inputs)하고, 이를 통해 1차적인 산출물(Outputs)을 얻는다. 예를 들면, 시스코(Cisco) UN의 산하 기관들과 지역 NGO와의 협력으로 지역 주민에게 네트워크 기술을 교육하는시스코 네트워킹 아카데미프로그램을 1997년부터 론칭해 현재까지 약 35000만 달러의 자금을 투자했다. 그 결과 최빈국 40개 국을 포함해 현재 165개 지역에 아카데미를 설립했고 400만 명이 넘는 수강생을 배출했다.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사업 활동의 투입과 산출까지만 측정된다. 최종적인 임팩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앞서 얻은 산출물을 통해 사회적 변화가 나타난 결과물(outcomes)을 발견하고 측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시스코 네트워킹 아카데미 졸업자들은 습득한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해 50% 이상이 새로운 직장을 얻거나 70%가 승진을 하는 등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소득이 증대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사회적 영향(Impact)은 이를 통화 가치로 환산해 얻을 수 있고 시스코가 직접적으로 네트워크 기술자 노동 시장을 만들어냄으로써 얻어지는 가치 사슬상의 재무적 성과를 통합한다면 CSV의 성과 측정이 가능해진다.

현재 다양하게 존재하는 사회적 성과나 공유가치 측정을 위한 도구들은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4 해볼 수 있다.

순위시스템(Rating System)

분석 시스템(Assessment System)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순위 시스템(Rating System)

순위 시스템은 주로 다수의 종목이나 기업, 사업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활용된다. 절대적인 수치보다는 상대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약속된 인덱스가 주로 사용된다. 최근 사회책임 투자자나 임팩트 투자자들은 전 세계 자본시장이나 세계 각지에서 사업 활동을 펼치고 있는 기업들을 상호 비교하기 위해 다양한 순위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외부 전문 평가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순위 시스템은 일반적인 기업 신용 평가에서 활용되는 방식처럼 기업들의 사회적 성과 수준이나 공유가치의 상대적인 크기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산출하고 가독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투자자나 평가자들에게 전달한다. 대표적인 순위 시스템 사례인 B Lab5 B Corporation이라는 브랜드 인증을 위해 CSV를 목표로 하는 기업들의 성과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평가(B Impact Assessment)하고 있다. 산업과 규모에 따라 60∼170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평가 설문에 기업 관계자가 응답하고 증빙 서류를 제출하면 B Lab은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 지역사회, 환경, 소비자, 임직원이라는 5개의 영역에서 5점 척도로 별점을 부여한다. 이를 통해 일정 기준을 넘어선 기업들에는 B Corporation이라는 이름의 브랜드로 인증하고 각종 법률 및 회계, IT 지원 서비스와 임팩트 투자자 연결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B Lab의 순위 시스템은 기업들로 하여금 창출된 공유가치를 검증 가능한 데이터로 외부에 보고할 수 있도록 해 임팩트 투자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평가 시스템(Assessement System)

순위 시스템과 비교해 평가 시스템은 성과의 절대적 수치를 산출하는 데 더욱 적합하다. 특히 전 세계 각지의 기업들과 재단, 공공기관들이 각자의 논리와 방식을 적용해 활용하고 있는 사회적 투자 수익률(SROI·Social Return on Investment) 원리가 대표적인 예다. 일반적으로 통화, 숫자, 기간 등과 같은 정량적이고 절대적 수치들로부터 성과 분석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 평가 시스템들의 공통된 목표다. SROI는 비용-편익 분석 원리에 입각해 투자를 통해 얻어지는 사회적 성과를 절대적 수치로 분석해 비율로 표현한 값이다. 특히 SROI는 데이터 측정이나 보고를 위한 표준이라기보다는 수익률 분석을 위한 원리이며 평가의 결과에 대한 해석은 보는 경영자나 투자자, 이해관계자들의 판단 기준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관리 시스템은 경영 활동이나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활동의 성과들을 지표화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경영상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활용된다. 일반적인 재무 정보를 위한 회계 기준도 이러한 관리 시스템의 일종이다. 최근 록펠러재단(Rockefeller Foundation)과 어큐먼펀드(Acumen Fund), B Lab이 주도하고 딜로이트와 PwC 같은 대형 회계 회사들이 기술을 지원해 개발 중인 IRIS6 는 대표적인 임팩트 회계 기준이다. 앞서 언급한 GRI 역시 기업의 트리플 보텀 라인(Triple Bottom Line)을 체계적으로 보고할 수 있는 기준으로, 양자 모두 핵심 제품과 서비스를 비롯해 운영상의 경제, 사회, 환경적 성과를 기업들이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다.


공유가치 측정 글로벌 표준을 노리는 기어스(GIIRS)

GIIRS(Global Impact Investing Ratings System)는 연기금, 대형 자선 재단, 글로벌 기업, 공공 개발 기금, 사회적 벤처캐피털, 마이크로파이낸스(Microfinance) 등을 중심으로 소위 사회적 영향을 창출하고 재무적 수익까지 기대하는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 시장이 확대되면서 공유가치 성과 측정에 대한 공통의 언어 개발 필요성으로 개발된 임팩트 측정 프레임워크 표준이다. 기존 사회책임투자(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가 소극적인 의미에서 기업의 비재무적인 사회, 환경, 지배구조 성과 요소를 반영하고 투자 포트폴리오의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두었다면 임팩트 투자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기업들이 긍정적인 사회, 환경적 영향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거나 가치 사슬 과정상의 부정적 영향들을 저감시키기 위해 운영 모델이나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해 투자 수익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GIIRS는 투자 포트폴리오 전체의 사회적 영향을 평가하거나 개별 종목 기업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 체계를 제공하고 있다. GIIR 개발에는 지표의 핵심 원리와 내용을 작성하는 B Lab을 비롯해 록펠러재단(Rockefeller Foundation), USAID, 푸르덴셜(Prudential), 딜로이트(Deloitte), 듀크(Duke)대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실제로 JP 모건, 푸르덴셜, 캘버트재단(Calvert Foundation) 15개의 기관투자가들은 GIIRS 평가 시스템을 활용해 자사의 임팩트 투자 프로그램이나 펀드 성과를 평가하고 있고 그 규모는 15억 달러에 이른다. 물론 GIIRS를 통해 기업 내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임팩트 창출 성과를 측정해 CSV 생산성을 분석하거나 인사 관리나 경영 의사결정, 협력 업체를 관리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기업 정보의 미래

현재 국내 기업들은 현재 IFRS 도입을 통해 재무 정보의 투명성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중압감에 시달리고 있다. 더불어 기업의 지속가능성 성과, 즉 사회, 환경, 지배구조 정보 또한 측정하고 보고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에도 직면하고 있다. 그 결과 많은 기업들이 재무 정보를 담은 연차 보고서와 함께 GRI 기준으로 작성된 지속가능성 보고서나 CSR 보고서를 발간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나아가 양자를 적절히 합친통합 보고(Integrated Reporting)’7  체계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여기서 기업은 다시 한번 기업의 가치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단순히 어떤 보고 체계나 표준을 도입할 것인가라는 차원을 넘어서 기업이 창출하는 가치의 본질, 그리고 그 가치 창출을 위해 관리돼야 할 제품과 서비스, 가치 사슬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고민할 필요가 있다. CSV 개념을 통해 공유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성과, 회계, 공시, 데이터, 감사 등으로 표현되는 기업 정보의 미래는 점점 공유 가치를 발견하고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정보 수요자에게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동천 Impact Square 공동대표 luveastsky@impactsquare.com

도현명 Impact Square 공동대표 timothydho@impactsquare.com


도현명, 박동천 공동대표는 각각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했다. CSV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CSV/CSR전략 수립,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성과 측정 및 분석, 소셜 벤처 모델 개발 등 임팩트 비즈니스 전문 컨설팅 회사인 임팩트스퀘어(www.impactsquare.com) 공동대표로 재직 중이다. SK 행복나눔재단, 국경없는 교육가회 등 비영리 기관을 비롯해 한국가스공사 같은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기업 사회공헌 실무자 및 주요 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CSV 전략에 대한 강연도 하고 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