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ESG Business and Law

ESG, ‘과거에서 온 계산서’에 응답하라

권석천 | 333호 (2021년 11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기업의 ESG 활동이 ‘워싱’이라는 비판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ESG 활동을 추진할 진정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진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개방성, 일관성, 비판성을 갖추는 것이 핵심이다. 개방성은 기업 이해관계자들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그들의 목소리에 반응하면서 변화할 자세가 돼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일관성은 목표를 세우고 일관성 있게, 자기 논리를 잃지 않고, 끝까지 밀고 나가는 꾸준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비판성은 단점을 찾아내 바로잡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개방성, 일관성, 비판성에 기반을 둔 진정성을 바탕으로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과 커뮤니케이션해야 기업의 ESG 활동이 ‘워싱’이라는 오해에서 벗어나 진정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묻고 싶은 게 하나 있었습니다. 저한테 왜 그러셨습니까?”

넷플릭스 인기 랭킹에 한국 드라마 ‘D.P.’가 올랐다. 드라마의 소재는 탈영병 체포조(Deserter Pursiut). 병영 내 폭력 문화 속에서 탈영할 수밖에 없는 젊은이들의 좌절이 숨 막히게 그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한 장면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가혹 행위를 당하다 탈영한 병사가 제대한 선임을 납치한다. 그는 선임에게 “내게 왜 그랬냐”고 묻는다. 너무 당연했기 때문일까. 선임이 내놓은 대답은 허탈할 뿐이다. “왜냐고… 그냥 그래도 되는 줄 알았어.” 문득 의문부호가 머리를 스친다. 우리가 범해온 숱한 잘못들도 “그냥 그래도 되는 줄 알았기” 때문 아닐까?

ESG, ‘그래도 되는 줄 알았던’ 시대의 마침표

과거엔 ‘그래도 되는 줄 알았던’ 일들이 지금은 ‘절대 그래선 안 되는’ 일들이 돼가고 있다. 예를 들어보겠다. 필자가 사회생활을 시작했던 1990년대 초ㆍ중반만 해도 사무실에서 담배를 피우는 게 일상, 아니 정상이었다. 선배의 담배 연기에 싫은 표정이라도 지으면 영락없이 ‘버릇없는 후배’가 됐다. 비흡연자들은 뿌연 너구리 굴 속에서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야 했다.

그러던 것이 180도 변했다. 담배 피울 수 있는 공간이 건물 내 흡연실로 좁혀졌다 결국 건물 밖으로 밀려났다. 지금 사무실에서 담배를 피운다면? “제정신이 아닌 사람”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오죽하면 말보로로 유명한 글로벌 기업 필립모리스가 ‘담배 연기 없는 미래’를 기업 비전으로 들고나왔겠는가.

성 인식도 다르지 않다. 과거엔 성적 농담이 식사 자리에서 스스럼없이 오가곤 했다. 회식 후 노래방에 가면 “블루스 한번 추자”며 추잡한 손을 내미는 이들도 있었다. 지금은? 두말할 나위 없이 성희롱이고 성추행이다. 그때 그 사람들이 우리 앞에 소환된다면 “그땐 그래도 되는 줄 알았지…”라고 중얼거리지 않을까.

그렇다. ‘그래도 되는 줄 알았던’ 시대에 마침표를 찍고 있는 게 ESG다. 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석유나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흥청망청 써도 되는 줄 알았다. 회장님, 사장님은 직원들을 함부로 대해도 되는 줄 알았다. 지배구조가 좀 후진적이어도 뇌물 주고 로비하면 되는 줄 알았다. 기후위기, 갑질 경영, 부패 구조….

과거로부터 속속 계산서들이 날아오고 있다. 구식 시스템은 더 이상 버틸 수 없다는 사실이 시시각각 확인되고 있다.

‘워싱’ 논란 속 갈수록 엄격해지는 검증 기준

세상이 빠르게 변하다 보니 다들 뒤쫓아가기 바쁘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그린워싱’ ‘소셜 워싱’ ‘ESG 워싱’ 논란도 그런 지체 현상에서 비롯된 것 아닐까. 실제론 달라지지 않았으면서 이미지만 그럴듯하게 세탁하는 ‘워싱(Washing)’ 역시 “그래도 되는 줄 알았던” 시대의 유물이다. ESG의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자못 심각한 문제다. ‘워싱’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눈길이 갈수록 매서워지는 건 그래서다.

올 1월 영국의 비영리기관인 어카운터빌리티(AccountAbility)는 새로운 검증 기준 ‘AA1000AS(Assurance Standard) v3’를 도입했다. AA1000 시리즈는 국제적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검증하는 대표적인 표준이다. 국내에서 발행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중 70% 이상이 AA1000 시리즈를 사후 검증 표준으로 쓰고 있다.

109


이번 v3 기준 도입으로 검증의견서를 작성하는 조직(Assurance Provider)의 자격 요건이 대폭 강화됐다. 기업들이 제3자의 검증의견서를 받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검증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알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기준 도입에 따라 검증의견서를 작성해 제출하는 기관은 프로토콜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어느 기관에서 수행했고, 어떤 절차를 거쳤는지를 구체적으로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검증 책임’을 엄격히 묻겠다는 취지다.

또한 검증의 3대 원칙이었던 포괄성(Inclusivity), 중대성(Materiality), 대응성(Responsiveness)에 임팩트(Impact)가 새로 추가됐다. ‘포괄성’은 기업의 의사결정으로 영향받는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괄해야 한다는 것이고, ‘중대성’은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중요한 주제들(topics that matter)을 다뤄야 한다는 것이고, ‘대응성’은 관련 현안들에 투명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임팩트’는 기업 활동이 광범위한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모니터링하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쉽게 말해, 기업이 스스로 밝힌 ESG 프로그램을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지 계속해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발표한 기업은 지속적으로 감축 노력을 기울이는지, 중요 정보를 감추지 않는지 등을 검증의견서에 밝혀야 한다.

시민단체와 환경단체들도 검증 강도를 높이고 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GreenPeace)는 2021년 6월 삼성전자의 재생에너지 전환 사업을 분석한 보고서 ‘삼성전자 100% 재생에너지 로드맵’을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전환 성과는 ‘부분적 달성’으로 평가됐다.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달 수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88% 정도로 높은 편이라고 평가한 것이다. 나아가 “삼성이 진출한 세계 시장 중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한국과 베트남에서도 재생에너지 100% 사용 목표를 세우고 온실가스 감축에 앞장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호락호락하게 넘어가지 않겠다는 의지가 느껴진다.

‘매우 까다로운’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그렇다면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주주와 소비자, 시민사회, 정부 같은 이해관계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

글로벌 자산관리 컨설팅 기업인 알파FMC가 ‘ESG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8가지 팁’에서 가장 먼저 꼽은 것은 ‘투명성’과 ‘정확성’이다.(그림 2) ‘메시지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보내라.’ 이어지는 조언들도 같은 맥락 위에 있다. ‘간단 명료하게 말하고, 특수 용어는 피하라.’ ‘고객 여정 전반에서 ESG를 주제로 소통하라.’

110


뒤이어 ‘타 기업과 어떻게 다르게 ESG를 추구하는지를 입증하라’ ‘창의력을 발휘하라’는 대목에 이르면 결코 만만한 작업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투명성과 정확성은 한국 시장에서 특히 중요한 기준”이라고 말한다. 안드레 안도니안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는 이렇게 설명한다.

“한국의 소비자들은 매우 까다롭다. 그것은 장점이다.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과장을 잘 찾아낸다. 그린워싱은 과장 때문에 나타나기도 하고, 실질적인 로드맵의 부재 때문에 나타나기도 한다. 기업 입장에서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확한 측정을 통한 발표를 매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1

한국거래소의 ‘ESG 정보 공개 가이던스’도 정보 공개의 원칙으로 정확성과 명확성, 비교 가능성, 균형, 검증 가능성, 적시성을 제시한다. 정확성에 대해선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정보의 오류나 누락을 방지해야 한다’고, 명확성에 대해선 ‘이해관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하고, 지나치게 구체적이거나 개략적인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한다. 비교 가능성도 기업의 목표와 성과를 비교하고, 다른 기업의 성과와 비교함으로써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다.

알파FMC와 한국거래소가 강조하고자 하는 바를 한 단어로 줄이면 무엇일까. 필자는 ‘진정성’이라고 말하고 싶다. 기업이 밝힌 것들을 이해관계자들이 진짜라고 신뢰할 수 있을 때 그들과 오래, 함께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진정성의 세 가지 조건: 개방성, 일관성, 비판성

그렇다면 진정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보자.

‘사랑하는 마음을 사랑한다잖아/ 솔직하고 싶은 마음만 솔직한 거고/ 미안하고 싶은 마음만 미안한 거지….’

인디 가수 윤지영이 부른 노래 ‘죄책감이’의 한 구절이다. 솔직하고 싶은 마음만 솔직한 것은 ‘반쪽짜리 진심’ 아닐까. 진정성은 자기 마음대로, 자신만 만족하면 되는 게 아니다. 그 이상이어야 한다. 필자가 말하고 싶은 진정성의 조건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는 ‘개방성’.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은 이해관계자들에게 있는 그대로 자기 자신을 열어 보이는 데서 시작된다. 이해관계자들과 끊임없이 호흡하고 그들의 목소리에 반응하면서 변화해갈 자세가 돼 있어야 한다. 잘한 게 있을 때는 잘한 만큼, 못한 게 있을 때는 못한 만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ESG는 목표인 동시에 과정이다. ESG를 목표로만 여기면 과장하게 되거나 거짓으로 꾸미게 된다.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하나하나 고쳐가고 있다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자.

둘째는 ‘일관성’. 목표와 취지가 아무리 좋더라도 실현하는 과정에서 일관성을 잃으면 진정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 이런 때는 이렇게, 저런 때는 저렇게 행동해서야 어느 누가 진정성을 느낄 수 있을까. 진정성은 감정이 아니라 논리다. 행동이다. 목표를 세우면 일관성 있게, 자기 논리를 잃지 않고 끝까지 밀고 나가는 꾸준함이 필요하다.

셋째는 ‘비판성’. 자신이 지닌 장점을 잘 부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점을 잘 찾아내 바로잡을 수 있어야 한다. 조직의 방향성에 순응하는 예스맨(Yes man)도 필요하지만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하는 노맨(No man)도 필요하다. 어떻게든 일을 이뤄내는 하우맨(How man)이 많아야 하지만 그 일을 왜 하는지 고개를 갸웃거리는 와이맨(Why man)도 있어야 한다. ESG 시대엔 의사결정의 주요 길목마다 노맨과 와이맨을 배치해야 한다.

칸막이 없애는 ‘커뮤니케이션 혁신’ 나설 때다

이 세 가지 조건은 이제 기업 커뮤니케이션을 탈바꿈해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잠깐. 착각하지 말자. ESG 경영을 ‘에지 있게’ 홍보하자는 얘기가 아니다. 커뮤니케이션 전반을 ESG의 관점에서 다시 들여다보자는 얘기다. 아직도 많은 기업의 PR는 ‘피할 건 피하고(P) 알릴 건 알린다(R)’는 차원에 머물러 있다. 제품의 효능을 한껏 부풀리고, 쥐꼬리만 한 기업의 선행을 대서특필하고, 심지어 거짓 해명을 했다가 발각된다. 그 점에서 더욱 중요해진 것이 ‘스스로를 비판적으로 반성할 수 있는 힘’이다. 외부의 지적에 “잘 알지도 못하면서”라고 혀를 찰 게 아니라 “잘못 알고 있는 건 우리 자신인지 몰라” 하고 되뇔 수 있어야 한다.

조직 내부의 시스템도 바꿔야 한다. 전략, 마케팅, 인사, 재무, 홍보…. 내부 부서들이 칸막이에 갇힌 채 제각각의 논리로 나뉘어 있어서는 외부와 제대로 소통할 수 없다. 내부에서만 아는 꿍꿍이가 한두 시간이면 밖으로 새 나가는 디지털 세상이다. 커뮤니케이션 부서에 “너희는 결정된 사항을 잘 알리기만 하면 된다”고 해서는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막을 수 없게 된다. 개방성은 안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칸막이를 없앨 수 없다면 낮추기라도 하자.

‘그래도 되는 줄 알았던’ 시대는 그냥 가능했던 게 아니다. 누군가의 희생을 요구했다. 보이지 않는 노동자의 희생, 소비자의 희생, 다음 세대의 희생, 지구 반대편의 희생 없이는 1분 1초도 작동하지 못하는 시스템이었다. 그런 구조는 파국을 맞을 수밖에 없다. 파국을 피하고 ESG 경영을 뿌리내리기 위해 가장 먼저 바뀌어야 할 것은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이다. 커뮤니케이션부터 ‘그래도 된다’ ‘잘 알리면 된다’는 마인드세트를 버려야 한다. 단언컨대 그냥 그래도 되는 일은 세상에 단 하나도 없다.

과연 ESG로 지구가 바뀔 수 있을까, 의구심을 품고 있다면 이렇게 말하고 싶다. “실망하지 않으면 된다”고. 넷플릭스 드라마 ‘D.P.’에서 체포조 고참이 후배 병사에게 묻는다. “맨땅에 헤딩할 때 제일 중요한 게 뭐게?”라고.

답은 “실망하지 않는 것”이었다. 어쩌면 가장 쉬운 일이 ‘쉽게 실망하는 것’이다.

기업 입장에서 고민 끝에 마련한 ESG 프로그램이 시행상의 착오나 실수로 ‘워싱’이란 비판을 받을 때면 매우 속상하고 억울할 것이다. 모든 걸 포기하고 싶은 마음도 들 것이다. 하지만 ESG는 힘들다고 안 할 수 있는 성질의 문제가 아니다. 목표한 지점까지 꿋꿋하게 나아간다면, 그 과정을 통해 하나둘씩 성과가 나타난다면 섣부른 오해임이 드러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개방성과 일관성, 비판성을 잃지 말아야 할 이유다.


권석천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고문 sukchun.kwon@bkl.co.kr
권석천 고문은 서울대 법과대학을 졸업한 뒤 중앙일보 사회부장•논설위원, JTBC 보도국장•보도총괄로 일하며 취재 및 보도 경험을 쌓았다. 법무법인(유한) 태평양에서 규제 컨설팅,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준법경영 등에 관한 자문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