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김유겸의 Sports Review

한국은 어떻게 펜싱 강국이 됐나

김유겸 | 332호 (2021년 11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대한민국 펜싱이 공정한 선수 선발과 최적의 훈련,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전 세계 펜싱 강국으로 입지를 다질 수 있었던 이유는 공익을 위한 후원 기업의 진정성 덕분이다. 대한펜싱협회 후원사는 홍보나 관련 수익 창출이 아니라 펜싱의 발전을 목표로 삼고 인재 중심의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기업의 공익 활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부나 후원이 아닌 비영리 또는 공익 단체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접근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양궁 강국이다.”

우리나라 양궁 국가대표 선수들은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도 금메달 5개 중 4개를 휩쓸었다. 우리나라가 이처럼 양궁을 잘하는 것은 엄청난 성과이고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왠지 자연스럽다. 그렇다면 이건 어떤가?

“우리나라는 펜싱 강국이다.”

조금 어색하지 않은가? 우리나라가 다른 종목도 아니고 삼총사에나 나오는 중세 유럽식 칼싸움을 세계 최고로 잘한다는 것은 좀처럼 어울리는 일이 아니다. 그런데 펜싱은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 양궁과 함께 우리나라가 제일 좋은 성적을 거둔 종목이다. 도대체 어떻게 이렇게 생경하지만 신통방통한 일이 일어났을까? 이에 대한 해답은 공정한 선발, 체계적이고 과학적 훈련, 과감한 투자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근본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

양궁을 제외하면 우리나라 전체 금메달 2개 중 1개, 은메달 4개 중 1개, 동메달은 10개 중 3개가 펜싱에서 나왔다. 펜싱과 양궁이 없었으면 우리나라는 메달 수에서 30년(1976년 몬트리올올림픽에 첫 금메달)도 넘게 거꾸로 갈 뻔했다. 이번 올림픽에서 우리나라 효자 종목 노릇을 톡톡히 한 것만 아니라 한국 펜싱의 세계적 위상도 분명히 보여줬다. 우리나라는 펜싱 최강국 이탈리아(은메달 3, 동메달 2), 달타냥과 삼총사의 나라 프랑스(금메달 2, 은메달 2, 동메달 1)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성적을 거뒀다. 사상 처음으로 4개 종목 단체전에 출전권을 따내 모두 메달을 얻어내는 쾌거를 이뤘다. 남자 사브르는 ‘어펜저스’라는 별명에 어울리게 단체전 올림픽 2연패(2016년 리우 대회 땐 종목 로테이션으로 제외)를 달성했다.

이번 올림픽만이 아니다. 우리나라 펜싱은 지난 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 플뢰레 개인전에서 김영호 선수가 금메달을 딴 이후 한 번도 올림픽에서 메달을 거른 적이 없다. 특히 지난 2012년 런던올림픽에선 여자 사브르에서 김지연 선수와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 금메달 2개를 따는 등 총 6개(금메달 2, 은메달 1, 동메달 3) 메달을 따내는 최고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2012년 이후에만 올림픽 펜싱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7개를 따냈다. 최근 3번 올림픽(런던, 리우, 도쿄)만 놓고 보면 전통의 펜싱 강국인 이탈리아, 프랑스, 헝가리 등과 견줘도 손색이 없는 성적이다. 이쯤 되면 각 나라 올림픽 선수단을 소개할 때 양궁과 더불어 펜싱을 우리나라 대표 종목으로 넣어야 할 정도다.

양궁이야 원래 활 쏘던 민족이라 그렇다고 치고. 펜싱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종목? 뭔가 어색하지 않은가? 우리나라 사람도 그렇지만 한국 선수한테 자국 선수들이 지는 것을 보는 이탈리아인들 관점에서 한번 생각해보자. 황당하지 않았을까? 우리나라 태권도 선수가 이탈리아 선수에게 번번이 지는 것을 한번 생각해보시라. 그것도 어쩌다 한두 번 잘한 것도 아니고 10년이 넘게 세계 정상급 기량을 뽐내고 있는 한국이 무척 신기해 보일 것 같다. 그리고 그만큼 궁금할 것이다. 도대체 왜 한국이 어울리지도 않게 펜싱을 잘할까? 그것도 어떻게 20년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신흥 펜싱 강국이 됐을까?

125

스포츠에선 상식과 예상을 벗어난 놀라운 일이 언제든 생길 수 있다. 이런 기적은 대부분 원인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반복되지도 않을, 그저 행운일 뿐이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에 피겨 여제 김연아 같은 선수가 등장한 것은 우리나라에 어떤 결정적인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다. 물론 김연아 선수가 피나는 노력을 했기에 가능한 일인 것은 분명하다. 우리나라 입장으로 보면 그저 천운이 따른 거다. 하지만 펜싱은 경우가 좀 다르다. 이렇게 많은 선수가 다양한 종목에서 10년이 넘도록 정상에 오르는 것은 운이 반복해서 따른 것이라기보단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당연히 그 비결이 뭘까 관심이 생기기 마련인데 그다지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이 없는 것 같다. 왜냐하면 이미 모범 답안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공정한 선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훈련, 전폭적인 투자가 바로 그것이다. 이렇게 부정할 수 없는 명쾌한 답이 이미 나와 있으니 펜싱 강국 한국을 이뤄낸 비결이 궁금할 것도, 흥미로울 것도 없을 수밖에. 과연 그런가? 이것들이 진짜 원인일까?

125_2


공정하게 대표팀을 선발하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훈련 시스템을 갖추고, 투자를 많이 하면 성적이 좋아진다는 걸 의심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과 좋은 성적의 관계는 진리다. 그래서 너무 뻔한 답으로 느껴질 정도다. 중요한 것은 공정한 선발, 최적의 훈련, 적극적 투자 등은 근본 원인이 아닌 ‘최종 결과’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같은 원인’은 문제를 해결하거나 계획을 세우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알아야 할 것은 눈에 띄는 뻔한 이유보다 조금은 결과와 떨어져 있는 ‘원인의 원인’이다. 즉, 펜싱은 어떻게, 다른 종목은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공정한 선발과 최적의 훈련, 적극적 투자가 가능했을까?

펜싱 대표팀이 세계적 펜싱 강국이 된 것은 공익을 위한 기업과 공공 조직의 사회적 파트너십의 성공 조건을 입증한 좋은 사례다.

공익이 수익

ESG 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Cooperate Social Responsibility),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공유가치 창출(Creating Shared Value) 활동은 모두 기업 이미지 향상과 신뢰도 증진 등 긍정적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성과를 극대화하는 최선의 방법은 다름 아닌 잿밥에 신경 쓰지 않는 것이다. 기업이 공익 활동을 할 때 마케팅 효과에 치중할수록 마케팅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은 쌓여 있는 연구 결과를 일일이 들추지 않더라도 알 수 있다. 대가를 바라고 베푸는 일은 선행이라기보다 거래에 가깝기 때문이다.

CSR 마케팅, 공익 연계 마케팅(Cause-Related Marketing)의 핵심 성공 조건은 진정성과 드러내 놓고 마케팅하지 않기다. 또한 기업이 공익 추구 자체를 최우선 목표로 하고 희생을 감수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가 나오기도 어렵기 마련이다. 결국, 공익에 이바지한 바가 없으니 연계해서 좋아질 이미지도 없어진다. 진정성을 가지고 장기적 안목으로 꾸준히 노력할 때만 공익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마케팅 효과는 따라오는 것이다.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펜싱 대표팀이 큰 성공을 거뒀지만 주 후원사인 SK그룹은 특별히 평소와 다른 홍보 활동을 펼치지 않았다. 이는 대한펜싱협회를 지원하는 SK그룹의 목표와 태도를 잘 보여준다. 즉, SK그룹은 대부분 기업의 체육 종목 단체 후원과는 달리 대한펜싱협회 지원을 마케팅 수단으로 보지 않는 것이다. 또한 SK그룹과 대한펜싱협회 관계자 모두 한목소리로 펜싱 지원에 대해 기업의 상업적 손익을 따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SK그룹 홍보나 관련 수익 창출이 아니라 우리나라 펜싱 발전이 목표라는 것을 분명히 한다.

마케팅 효과 또는 수익에 대한 기대가 없다고 해서 지원을 소홀히 했던 것도 아니다. 손길승 SK텔레콤 명예 회장이 2003년 재정 위기에 처한 대한펜싱협회 회장직을 맡아 지원을 시작한 이래 SK그룹은 우리나라 펜싱 발전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기업 공식 후원금만이 아니라 기꺼이 회장 사재도 털었다. 2003년부터 SK텔레콤은 협회에 250억 원 이상을 지원했으며 대학 펜싱팀과 시•도 협회 활성화 지원금을 지급하고 매년 국제그랑프리 사브르 펜싱선수권 대회 등 국제 대회 개최를 후원해 왔다. 안정적인 재정 지원으로 경제적 보상과 기회가 늘어나면서 선수 기량과 지도자 역량이 함께 향상됐다. 협회도 우수 인재 확보가 가능해져 더욱 효과적인 협회 행정과 현장 지원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손익계산을 따지지 않는 진정성 있는 지원이 있을 때만 공익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펜싱 국가대표팀의 성공이 보여준다.

전략적 파트너십(Strategic Partnership)

전략적 파트너십은 원래 둘 이상 기업이 공동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일시적인 협력 관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 전략적 파트너십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기술을 빠르고 유연하게 달성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꼽힌다.1 성공적으로 공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기업의 공익 활동을 단순히 기부나 후원 개념이 아니라 비영리 또는 공익 단체와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SK그룹과 펜싱협회는 효과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이 되기 위한 원칙들을 충실히 적용해 목표를 달성했다. 우선, 기업과 협회가 가지고 있는 전문성을 존중하고 공유하며 적재적소에 활용했다. SK그룹은 펜싱협회 행정 운영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했다. 특히 협회가 가지고 있는 현장 전문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동시에 재정적 지원만이 아니라 비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은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스포츠 경영 전문가를 협회 임원 또는 분과위원으로 임명하는 등 그룹 임원 파견을 통해 행정 및 경영 전문성을 지원했다. 특히 국제 업무 경험과 역량이 부족할 수밖에 없었던 펜싱협회에 글로벌 기업이 가지고 있는 국제 업무 전문 인력과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왔다. SK그룹의 국제 업무 협조 덕분에 펜싱협회는 올림픽 및 국제 대회에서 선수단의 안전, 통역, 식음(喰飮), 이동 등에서 최고 수준의 현장 지원이 가능했으며 이는 경기력 향상으로 이어졌다.

전략적 파트너십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헌신과 신뢰가 필요하다. 펜싱협회 관계자들은 SK그룹이 진심으로 펜싱 발전에 관심이 있다고 믿는다. 펜싱협회가 위기에 처했을 때 조건 없이 회장직을 맡으며 도와줬고 꾸준하게 협회를 지원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원을 대가로 간섭하고 통제하기보다 공동 목표를 세우고 제시했다. 한국 펜싱 중장기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3차례에 걸쳐 개정 2 및 공유하며 함께 해내고자 노력했다.

127


인재 중심 투자

돈이 남아도는 조직이 어디 있을까? 하지만 수익이 나지 않는 공익사업은 특히 재정이 열악한 경우가 많다. 가능한 한 아껴 써야 하고, 효율적으로 예산을 배분하고 운영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목표 달성을 위해선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SK그룹은 인재 관리(Talent Management)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펜싱협회 급여 체계와 복지 수준 향상을 통해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펜싱협회는 스포츠 종목 단체 중 가장 근무 여건이 좋고 뛰어난 직원이 많은 단체로 꼽힌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훈련 시스템 구축 등 최상의 현장 지원과 협회 운영은 협회에 인재가 모여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또한 펜싱 지도자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힘썼다. 대학 펜싱팀과 시•도 협회에 2억 원 가까이 지급한 지원금은 지도자의 재정적 어려움을 덜어주는 데 큰 보탬이 됐다. 지도자가 선수 기량 향상을 위해 집중할 수 있었으며 입시 비리 등 부정행위 유혹은 줄어들었다. 선수 육성에 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초중고, 대학, 일반부 모든 국내 대회를 선수들에게 참가비를 받지 않고 개최했다. 또한 유소년, 청소년, 23세 이하, 25세 이하, 성인 모든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 참가 비용을 전액 지원했다. 선수들이 운동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됐고, 펜싱 선수층이 두꺼워졌으며, 어린 시절부터 풍부한 국내외 경기 경험을 쌓은 선수들이 우리나라 펜싱대표팀을 이뤘다. 펜싱 인재에 투자를 아끼지 않았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ESG 리더십

SK그룹은 ESG 리더십으로 펜싱협회에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를 확립할 수 있게 했다. 전폭적인 지원과 함께 투명성과 책임 이행 등 ESG 경영 기본 원칙을 도입하고 강조했다. 공동 목표를 설정하고, 이해관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며, 투명하고 공정하게 협회를 운영한다는 원칙을 뚜렷이 밝히고 적용한 것이다. 이런 가이드에 따라 협회는 목표를 제시했으며 공정성과 합리성을 우선하는 조직 운영 원칙을 명확히 하고 협회가 나서 재정, 행정, 관리 측면에서 거버넌스의 강력한 구심점 역할을 했다.

최고 성적은 공정한 선발이 이뤄져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모르는 체육 종목 단체는 없지만 실제 그렇게 하는 종목 단체는 드물다. 못하는 이유도 많고 장애물도 많다. 펜싱 국가대표는 국내 4개 대회 성적과 국제 연맹 세계 랭킹 포인트를 합한 총점 순위대로 선발한다. 특혜를 부여하거나 편파적 평가가 반영될 여지가 전혀 없다. 2020 도쿄올림픽이 1년 연기됐을 때도 이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 새로 대표팀을 선발했다. 1년 전이 아니라 올림픽 기간에 가장 잘할 선수를 뽑은 것이다. 결과는 모두 알다시피 아주 좋았다. 공정한 선발은 모든 체육 종목 단체가 가지고 있는 목표이며 과제다. 공정한 선발은 펜싱대표팀이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원인임과 동시에 그 자체로 대단한 성과기도 하다. SK그룹의 ESG 리더십과 펜싱협회 굿 거버넌스가 없었더라면 불가능했던 일이다.

ESG 경영이 유행이다. 하지만 많은 기업에 ESG 경영은 마케팅일 뿐이며 공익은 창출하지도 못하고 갑질하는 물주가 돼버리기 십상이다. SK그룹도 마찬가지인 경우가 많았다. 이런 현실에서 우리나라 펜싱 국가대표팀이 거둔 성과는 올림픽 메달과 대중적 인기만이 아니다. 공익 우선, 전략적 파트너십, 인재 중심 투자, ESG 리더십으로 공익을 위한 사회적 파트너십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 더 값진 결과일지도 모른다.


김유겸 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 ykim22@snu.ac.kr
필자는 서울대 체육교육과 학사와 석사를 거쳐 플로리다대에서 스포츠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플로리다주립대에서 7년간 재직하며 종신교수직(tenure)을 받았다. 현재 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Journal of Sport Management, Sport Marketing Quarterly, Sport Management Review 등 국제 저명 학술지 편집위원과 대한농구협회 상임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Journal of Sport Management, Sport Marketing Quarterly, Sport Management Review,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 등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 100여 편을 발표했다.
  • 김유겸 | - 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
    - Journal of Sport Management, Sport Marketing Quarterly, Sport Management Review 등 국제 저명 학술지 편집위원
    - 대한농구협회 상임이사
    - 플로리다주립대 7년간 재직, 종신교수직(tenure)
    - Journal of Sport Management, Sport Marketing Quarterly, Sport Management Review,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 등 국제 저명 학술지 80여 편의 논문 발표
    ykim22@snu.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