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다양성만 추구한 개발팀, 성과 창출엔 되레 걸림돌 外

강신형,김진욱,주재우 | 244호 (2018년 3월 Issue 1호)
Technology Management

다양성만 추구한 개발팀 성과 창출엔 되레 걸림돌
Based on “R&D Team Diversity and Performance in Hypercompetitive Environments”, by Karin Hoisl, Marc Gruber, and Annamaria Conti i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017.

무엇을, 왜 연구했나?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기업이 연구개발(R&D) 조직을 꾸릴 때 서로 다른 경험을 보유한 인력들로 조직을 구성하는 경우 혁신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성과를 높이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안정적인 환경에 직면한 조직을 대상으로 한 것들로 현재 대부분의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초경쟁적(hypercompetitive) 환경에도 적용 가능한지는 미지수다. 초경쟁적 환경이란 경쟁자들이 발 빠르게 신제품을 내놓으면서 제품 사이클이 짧아져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런 초경쟁적 환경에서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조직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특히 기업의 조직 특성에 따라 초경쟁적 환경의 연구개발 조직 구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독일 맨하임대 카린 호이슬(Karin Hoisl) 교수와 연구팀은 F1 경주차 개발팀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했다. 일반적인 기업의 연구개발 조직을 세밀한 수준까지 관찰하는 데는 자료 접근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무엇을 발견했나?

본 논문 연구자들은 초경쟁적 상황에서의 연구개발 조직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1993년부터 2008년 사이에 88개 팀이 개발한 141대의 F1 경주차가 치른 2375번의 예선 결과 자료를 우선 수집했다. 개발팀의 다양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팀에 소속된 인원들의 F1 모터스포츠 관련 직무 경험을 일일이 조사했다. 각각의 경주차 개발팀 내에 다양한 경험을 한 인원이 얼마나 포진돼 있는지 허핀달지수(Herfindahl Index) 계산법을 바탕으로 팀 구성원의 다양성 수준을 측정했다. 각 개발팀에 할당된 예산과 설립 이후 경과된 연수를 개발팀 규모와 나이의 대리 변수로 활용했다. 개발팀의 성과는 각 팀이 개발한 경주차가 F1 예선전에서 치른 랩 타임을 기준으로 가장 빠른 경주차에 비해 몇 퍼센트나 느린지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 F1 모터스포츠 산업처럼 초경쟁적인 환경에서 개발팀의 다양성과 개발팀의 성과 간에는 역U 형태의 관계가 있었다. 즉, 개발팀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개발팀의 성과는 높아지나 다양성 수준이 임계점을 넘어서면 오히려 성과가 빠르게 감소했다. 초경쟁적 환경에서 기업의 유연한 대응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경험을 지닌 인력으로 개발팀을 구성할수록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문제 자체를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관점이 다양해질수록 구성원들 간의 갈등도 심화되는데 서로 의견을 조율하고 해결책을 논의하는 데 따르는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상승한다. 특히 개발에 대한 시간 압박이 상당한 초경쟁적 환경에서는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및 조율 비용이 높아진다는 점은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안정적인 환경에서와 달리 초경쟁적 환경에서는 팀 구성원의 다양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오히려 개발팀의 성과는 빠르게 감소한다.

또한 초경쟁적 환경에서 개발팀 다양성과 성과 간의 역U 형태 관계는 개발팀의 규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팀의 규모가 커질수록 다양성으로 인한 커뮤니케이션과 조율 비용은 상승한다. 그러나 개발팀의 규모가 큰 경우 문제 해결을 위해 팀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의 종류와 지식기반이 넓어져 더욱 혁신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여러 대안을 시도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여유 자원이 풍부해진다. 따라서 개발팀의 규모가 커질수록 다양성의 긍정적 측면이 부정적 측면을 상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일반적으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 조직을 다양한 배경의 인력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다양성으로 인해 증가하는 커뮤니케이션과 조율 비용을 간과한 것으로 빠른 의사결정과 실행이 중요한 초경쟁적 환경에서는 지나친 다양성이 성과에 부정적일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특히 여러 대안을 동시에 실험하고 추진하기 위한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지 못한 소규모 개발조직일수록 다양성의 긍정적 측면을 십분 활용하지 못한다. 초경쟁적 환경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대안 발굴 못지않게 빠른 실행 역시 중요하기 때문이다.

강신형 KAIST 경영공학 박사 david.kang98@gmail.com

필자는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경영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LG전자 본사 전략기획팀에서 신사업기획, M&A, J/V 등의 업무를 수행한 바 있으며 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에서도 근무했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경영혁신으로 개방형 혁신, 기업벤처캐피털(CVC) 등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했다.

72


Accounting & Finance

재무책임자에게 나르시시스트는 안 어울려
Based on “CFO Narcissism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 by Charles Ham, Mark Lang, Nicholas Seybert, and Sean Wang i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017), 55, pp. 1089-1135.

무엇을, 왜 연구했나?

“CFO매거진에서 수여하는 올해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당연히 나여야 합니다. 내가 이 회사에서 이뤄낸 업적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요?”

엔론의 전 CFO인 앤드루 패스토가 13억 달러(약 1조5000억 원) 규모의 회계부정으로 파문을 일으키기 전 내뱉은 말이다. 엔론의 몰락에 대한 취재 과정에서 앤드루 패스토의 동료들과 많은 인터뷰를 했던 커트 에이첸왈드(뉴욕타임스 취재기자)는 앤드루 패스토를 본인의 사욕 추구를 위해서라면 주변인들을 희생시키는 그 어떤 일도 스스럼없이 하는 ‘나르시시스트’로 표현했다.

심리학 연구들은 나르시시즘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과도한 특권 의식, 자신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타인을 착취하려는 의지,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지배욕, 지속적인 칭송과 보상에 대한 욕망을 열거한다. 최근 워싱턴대 등 공동 연구팀은 CFO의 나르시시즘이 기업의 재무보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했다. 기업의 최고재무책임자로서 CFO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재무정보를 공시하는 주요한 책임을 가질 뿐 아니라 재무보고 의사결정에 있어 주된 통제권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나르시시스트의 비윤리적 행동을 밝힌 심리학 연구 결과에 근거해 자애적인 성격 속성(예: 특권의식, 착취 성향, 자기 성취욕, 과장된 자기 인식)을 가진 CFO는 재무보고에서도 부정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르시시스트들은 과도한 자기중심적 사고를 갖는다. 또한 자신의 권리를 최대한 확대하길 원한다. 따라서 그들은 타인을 희생시키더라도 그들 자신의 이익을 위한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나르시시스트들은 남을 이용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인 규칙이 그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믿는다. 그 결과, 그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법률과 사회적 규범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나르시시스트들은 의사결정 과정을 지배하려고 하며 다른 이들의 조언을 잘 받아들이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통제 시스템을 무시하거나 그들의 목적 성취에 도움이 되는 보다 탄력적인 통제 시스템을 직접 설계하려는 경향이 있다. 즉, 나르시시스트 CFO는 의도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비의도적인 사유로 재무보고 부정을 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무엇을 발견했나?

연구팀은 CFO 나르시시즘을 측정하기 위해 아주 흥미로운 방법을 이용했다. 바로 CFO의 서명이다. 심리학 연구자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서명의 크기와 나르시시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서명을 크게 하는 사람들은 특권 의식, 과장된 자아 인식, 우월감 및 현시욕과 같은 나르시시즘 성격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서명의 크기는 오롯이 CFO 자신이 선택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르시시즘에 대한 유용한 척도라 판단한 것이다.

연구진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된 CFO 512명의 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CFO 서명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발생액을 통한 이익 조정과 실물 이익 조정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뿐만 아니라 나르시시스트 CFO의 기업은 적시에 손실을 인식하지 않으며 취약한 내부 통제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나르시시스트 CFO가 진실된 경영 성과를 감추려 하는 경향이 높을 것이라는 연구팀의 가설과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나르시시스트 CFO의 기업은 재무제표를 재작성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CFO 시그니처 크기가 제1 사분위수에서 제3사분위수로 증가할 경우 재무제표 재작성 확률은 23%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CFO 나르시시즘과 재무보고 품질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위해 실험 연구도 진행됐다. 연구진은 회계학을 전공하는 미국 대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학생들이 짝을 지어 파트너를 구성하게 했다. 이후 각각에게 5달러를 주고 파트너와 5대5로 배분하도록 지시했다. 단, 이들에게 파트너에겐 배분 비율이 다를 수 있고, 파트너는 자신이 공지 받은 할당 비율을 알지 못한다는 정보를 줬다. 실제로는 모든 학생의 5달러에 대한 수익 비율은 5대5로 동일했다. 즉, 학생들이 파트너를 속이고 고의로 자신이 높은 할당 비율의 수익을 가져가는지 여부를 측정한 것이다. 이후 연구진은 학생들의 성향을 NPI-40(자기애적 성격 검사지) 테스트와 실험동의서에 날인한 서명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글자당 면적으로 측정된 서명 크기의 사분위수(quartiles)가 증가할수록 (1) NPI-40 점수 및 (2) 할당액에 대한 부정보고 금액이 모두 단조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명 크기가 나르시시즘의 유용한 척도일 뿐 아니라 크기가 증가할수록 파트너를 속일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서명 크기가 가장 작은 제1 사분위수에 속하는 학생들의 경우 파트너로부터 12%($0.30/$2.50)만 착취했다. 반면 그 크기가 제2, 제3, 제4 사분위수에 속하는 학생들은 각각 파트너로부터 31%, 34%, 53%를 착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이번 연구결과는 나르시시스트에게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재무정보를 공시하는 책임을 가진 최고재무책임자의 역할을 맡기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경영자의 얼굴만큼이나 다른 개인적 성향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기업은 경영자들이 가진 성향을 충분히 고려해 적합한 역할을 맡기고, 경영자 보상 패키지(급여, 임금, 수당, 성과급, 인센티브, 스톡옵션 등)의 비율을 적절하게 구성해 경영자의 이해와 주주의 이해를 일치시켜야 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이사회는 경영자의 성향을 고려해 효과적인 감독/감시를 행해야 한다. 이런 역할에 자신의 이익 극대화와 영향력 과시에 몰두하는 CFO가 있다면 분명 기업에 좋은 영향을 끼치긴 어려울 것이다.

김진욱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jinkim@konkuk.ac.kr

필자는 건국대와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경영학과 회계학을 전공하고, Cornell University에서 통계학 석사 학위를, University of Oregon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Rutgers University 경영대학 교수와 금융감독원 회계제도실 자문교수를 역임했다. 2013년부터는 건국대 경영대학에서 회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 IFRS 17(新보험회계기준) 적용지원 TF 위원과 송파세무서 국세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자본시장, 보험회계 및 조세회피다.



76


Marketing

‘고객의 아이디어’ 써놓으니 제품 매출 크게 늘어
Based on Hidehiko Nishikawa, Martin Schreier, Christoph Fuchs, and Susumu Ogawa (2016) The Value of Marketing Crowdsourced New Products as Such: Evidence from Two Randomized Field Experimen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https://doi.org/10.1509/jmr.15.0244.

무엇을, 왜 연구했나?

델, 레고, 스타벅스는 크라우드소싱(crowd sourcing)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대중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고 더 나은 신제품 개발에 도전한다. 티셔츠 회사인 Threadless는 전 세계 80만 명의 사용자로부터 하루에 150∼200개의 프린팅 디자인을 받아서 생산한다. 한국에서도 애경산업과 아모레퍼시픽은 새로운 샴푸와 화장품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 경쟁 기반 공모전을 매년 열고 있다. 2017년에는 40대 남성의 냄새를 제거하는 샴푸가 애경산업의 아이디어 공모전 대상을 받았다. 이처럼 크라우드소싱을 통해서 혁신 상품을 기획하거나 기존 상품을 변경하려는 시도는 실무자에게 큰 관심을 얻고 있다.

하지만 크라우드소싱으로 나온 아이디어라는 것을 알면 소비자들은 제품을 어떻게 평가할까? 기존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농산물이 유기농임을 알면 더 맛있어하고, 제품이 수작업 생산품임을 알면 더 좋아하고, 기계가 독일에서 만들어졌음을 알면 품질이 더 좋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순간(POP·Point of Purchase) 제품이 고객 아이디어에 기반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소비자 니즈가 더 잘 반영됐다는 생각이 들어서 제품을 더욱 좋아하게 될까? 연구자들은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무지(Muji)에서 개발하고 판매한 신제품 2개의 일본 내 판매 실적을 조사했다.

무엇을 발견했나?

첫 실험에서는 무지(Muji)가 실행한 크라우드소싱 결과물을 조사했다. 이 회사는 실리콘 재질의 전자 태그와 앱을 연동해서 무언가 새로운 것을 개발하려고 노력해 왔다. 내부 기획자들이 만보계, 온도계, 알람시계를 생각하는 동안 크라우드소싱 대회에서는 한 번 누르면 시끄럽게 알람이 울리고 한 번 더 누르면 알람이 꺼지는 비상용 알람(Security Buzzer) 아이디어가 나와 최종 선발됐다. 이 아이디어는 1500엔의 가격을 가진 제품으로 실제 개발됐다. 연구자들은 비상용 알람이 시장에 선보인 67일 동안의 판매 실적을 추적했다. 조사 대상인 46개의 무지 매장을 무작위로 둘로 나눠 비상용 알람 옆에 전시하는 128x91㎜ 크기의 POP 디스플레이 내용을 다르게 조작했다. 23개 매장에 들어간 디스플레이에는 단순 신제품임이 명시됐고 다른 23개 매장에 들어간 디스플레이에는 ‘무지 고객으로부터 개발된 아이디어’라는 점이 명시됐다. 두 조건에 배정된 23개 매장은 평균 크기, 평균 매장 형태, 평균 지역 등에서 차이가 없었다.

판매량을 비교한 결과 POP 디스플레이에 ‘무지 고객으로부터 개발된 아이디어’임이 명시되자 총 48개가 더 많이 판매됐다(330개 vs. 282개). 개별 매장으로 환산하면 매장당 17%의 추가 판매가 있었으며 일일 매출액으로 환산하면 전체 67일 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58일)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정 매장이나 특정일에 판매가 갑자기 차이를 보인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판매가 증가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확장하기 위해서 무지가 실행한 또 다른 크라우드소싱의 결과물인 프레젤 스낵의 판매 실적을 비교했다. 내부 기획자들은 할라피뇨향을 제안했지만 크라우스소싱에서는 완두콩향이 최종 결정됐다. 이번 실험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아이디어가 모두 같은 가격(105엔)의 제품으로 생산됐다. 연구자들은 두 개의 프레젤이 시장에 출시된 16일 동안, 128x90㎜ 크기의 POP 디스플레이 내용을 총 4가지로 다르게 조작하면서 일본 전역의 194개 무지 매장에서 판매 실적을 추적했다.

먼저 고객이 제안한 완두콩 프레젤과 디자이너가 제안한 할라피뇨 프레젤을 비교했다. 최종적으로 고객이 제안한 프레젤이 디자이너가 제안한 프레젤에 비해서 더 많이 판매됐다(8507 vs. 5533). 또 똑같은 완두콩 프레젤이라도 ‘무지 고객으로부터 개발된 아이디어’가 명시되면 신제품임만 명시될 때에 비해서 평균 20% 정도 판매가 증가됨을 확인했다(고객 조건 vs. 기준 조건). 이번 결과는 이전 실험의 결과와 동일했는데 매장 크기, 매장 내 스낵에 배정된 크기, 매장 형태, 매장 위치, 지역을 고려해서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제품이 고객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는 점이 명시되면 판매가 유의미하게 증가한다는 점이 확인됐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대부분의 실무자들과 연구자들은 크라우드소싱을 통해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아이디어를 얻을지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크라우드소싱이라는 사실 자체가 고객으로부터 환영받고 매출 증대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무지가 일본에서 실제로 실행한 크라우드소싱 제품을 실험 대상으로 정하고 제품 정보를 매장에 따라 다르게 조작한 뒤, 매장당 실제 판매 실적을 분석했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행한 기존의 연구들보다 현실에 적용해볼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 결과는 공모전을 통한 크라우드소싱이 자주 사용되는 여러 공공 정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일한 공공 정책이라도 공무원이 아니라 시민이나 국민이 제안한 것이라는 단서가 더해진다면 더 많은 사람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주재우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designmarketinglab@gmail.com

필자는 서울대에서 인문학 학사와 경영학 석사를, 캐나다 University of Toronto의 Rotman School of Management에서 마케팅 박사 학위를 받았다. 행동적 의사결정 심리학을 바탕으로 디자인 마케팅, 신제품 개발, 소비자 행동에 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 강신형 | 충남대 경영학부 조교수
    sh.kang@cnu.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김진욱 김진욱 |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건국대와 오하이오주립대에서 경영학과 회계학을 전공하고 코넬대에서 통계학 석사, 오리건대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럿거스(Rutgers)대 경영대 교수, 금융감독원 회계제도실 자문교수 및 기획재정부 공기업 평가위원을 역임했으며 2013년부터 건국대 경영대학에서 회계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 한국회계학회 부회장, 한국거래소 기술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자본시장, 회계 감사 및 인수합병(M&A)이다.
    jinkim@konkuk.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주재우 주재우 |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서울대에서 인문학 학사와 경영학 석사를 받았고 토론토대에서 마케팅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제품 개발과 신제품 수용을 위해 디자인싱킹과 행동경제학을 연구하며 디자인마케팅랩을 운영하고 있다.
    designmarketinglab@gmail.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