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ound Marketing

자동차 엔진소리 피아니스트, 작곡가와 함께 만든다

박동철 | 132호 (2013년 7월 Issue 1)

 

소리는 청각심상(Auditory Imagery)이라는 매우 강력한 기억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처음 음만 들어도 다음 음을 기대하게 된다. 영화음악을 들으면서 해당 영화의 장면을 연상하고 광고의 로고송을 들으면 자연스럽게 해당 브랜드를 떠올린다. (인텔 사운드, SK텔레콤 로고송) 인간은 소리의 절대 크기뿐만 아니라 소리에 담긴 정보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계곡에서 물 흐르는 소리와 새소리를 들으면 편안하게 느낀다. 반면 여름밤에 아주 작은 모깃소리라도 들으면 잠을 설칠 수 있다. 모깃소리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음압으로 30데시벨(dB) 이하이다. 계곡의 물소리(70dB)는 오히려 모깃소리보다 더 시끄럽다. 새소리는 다른 맹수가 없다는 것을 알려주고 계곡에서 물을 만나면 생존에 어려움이 없다는 것을 떠올리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반면 모깃소리는 인간을 괴롭히는 환경이라는 것을 오랜 세대를 통해 몸에 각인돼 온 것이다. 이런 특징을 가지는 청각적 요소가 자동차 개발에서는 어떻게 반영될까. 현대자동차가 2007년 실시한 오감의 중요도에 대한 소비자 조사 결과를 보면 시각적 요소(40.4%) 다음으로 청각적 요소(23.5%)를 중요한 것으로 뽑고 있다.(그림1) 

운전자는 운전 중에 전방을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소리로 정보를 많이 받아 들인다. 가속 엔진음은 타고 있는 차량이 잘 달린다는 느낌을 소리로 전달하는 것이다. 내비게이션의 안내음은 주행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소비자가 매장에서 차를 구입할 때 차량의 디자인을 시각적으로 판단하면서 차문을 닫아보고 들리는 소리(Door Slam)로 품질을 미리 판단한다. 진동소음을 담당하는 자동차 엔지니어들도 엔진음과 타이어의 노면소음, 잡소리 등 소비자를 성가시게 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추세는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듣기 좋은 엔진음과 경고음, 작동음을 디자인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자동차 제작회사들은 소비자가 좋아하고 오래 기억할 수 있는 소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소음도 브랜드다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크게 주행음과 작동음, 알림·경고음 등으로 나뉜다. 주행음은 엔진음과 노면소음 등이고 작동음은 선루프와 파워윈도, 파워시트, 차문, 에어컨 등이다. 시트벨트 경고음과 주차보조시스템 경고음 등 차량과 상태를 알려주는 것은 알림·경고음에 해당된다. 최근에는 차선이탈경보시스템(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과 사각지대 감지시스템(BSD·Blind Spot Detection) 등의 전자안전장치가 증가하면서 경고음이 늘고 있다. 이처럼 차량의 소리는 품질(Quality)과 기계의 상태(Acoustic Feed back)를 표현한다. 내비게이션 등은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한다(Auditory User Interface). 이런 모든 차량의 소리는 결과적으로 해당 브랜드의 특성을 소리로 표현하는 것이다(Brand Identity).

 

좋은 소리의 기본은 듣기 싫은 소리를 줄이는 것에서 시작해서 궁극적으로 듣기 좋은 소리를 만드는 작업으로 발전한다. 그래서 자동차 개발에서 소리와 관련된 기술은 큰 소음을 줄이거나 잡소리를 없애는 사운드클리닝(Sound Cleaning)과 좋은 소리를 만들어 내는 사운드디자이닝(Sound Designing)으로 나눌 수 있다. 소비자에게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중요도를 조사해보면 좋아하는 실내에서 듣는 엔진음과 턴시그널, 알림음, 차 문 여닫는 소리(Door Slam), 파워윈도, 실외에서 들리는 엔진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싫어하는 소리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소음과 창문소음, 에어컨 팬소음, 알림음 등의 순이었다. 알림음은 긍정과 부정의 모든 측면에서 중요도가 높았다. 자동차를 개발할 때는 이 같은 소비자의 감정을 고려해서 개발한다.

 

호랑이의 울음소리와 비슷한 엔진음을 만들다

엔진음은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리다. 엔진음은 엔진과 흡·배기계, 차대, 차체 구조물, 내장재 등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종합적으로 어울려서 나오기 때문에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이 요구된다. 차량 주행음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으로는 새로운 차종의 기본 형태와 제원, 엔진사양 등을 고려하고 경쟁차와 이전모델(Mother Car)에 대한 분석작업이 진행된다. 먼저 소리에 대한 감성적인 평가와 계측적인 평가가 이뤄지고 차량을 팔 지역의 소비자 선호도 파악을 통해서 취약점을 분석하고 목표음을 설정한다. 목표음을 만들어내기 위해선 먼저 실내음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소음원을 분리해서 각 부품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기여 정도를 파악한다. 이후 목표음을 만들어내기 위한 소음원별 목표량이 설정된다. 특히 차량이 속도를 낼 때 엔진음에서는 흡기계와 배기계의 소음이 매우 중요하다. 차량을 개발할 때 이 소음량을 고려해서 차량을 설계한다. 이후 시험차와 평가를 거치고 여러 보완작업을 통해서 최종적인 목표음을 달성하게 된다. 좋은 차량의 주행음을 만들기 위해선 엔진음이 좋아야 한다. 엔진의 회전 수(RPM)가 증가할 때 엔진음이 크게 변화하면 운전자는 이를 소음으로 인식할 수 있다. 가속할 때 적절하게 엔진음이 증가해야 운전자는 만족감을 느낀다. 엔진음은 다수의 실린더의 폭발로 발생하기 때문에 불협화음이 발생할 수 있다. 실린더의 폭발 과정에서 화음의 요소는 살리고 불협화음의 요소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은 엔진음을 만드는 방법이다. 또 차량소리의 주파수적인 요소도 조화를 이뤄야 한다. 저주파수와 고주파수가 조화를 이룰 때 편안한 엔진음이 만들어진다.

 

좋은 엔진음을 만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동물 울음소리의 음향학적인 특징(포르만트)에서 모티브를 얻어서 엔진음을 개발하는 것이 있다. 호랑이의 울음소리를 분석해서 포르만트 필터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해서 기존 엔진 가속음에 백호의 울음소리가 반영된 엔진음을 설계한다. 음악 이론을 이용한 가속음 개발 기술에는 엔진음을 어울림 음정과 안 어울림 음정으로 분리하고 완전음정으로 재배열해서 좋은 화음으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런 방법으로 설정한 목표음을 차량에 구현하는 기술로는 차량음 구현기술(ASD·Active Sound Design)이 있다. 차량음 구현기술은 차량의 오디오시스템을 이용해서 엔진 회전 수를 고려한 소리를 스피커에 발생시켜서 기존 차량의 엔진음을 보강하거나 부밍(우는 것처럼 떨림이 발생하는 현상, 저음이 서로 간섭될 때 발생) 등의 소음에는 반대 파동의 주파수를 흘려서 소음을 제거하는 기술(ANC·Active Noise Control)이다. 엔진과 흡배기계 등의 설계를 바꿔 목표음을 만들어 내는 기술과 비교하면 더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래서 특정 브랜드에 부합하는 소리를 개발할 수 있다.

 

세계 자동차 제작회사들이 좋은 엔진음을 개발하기 위해 들이는 노력은 다음과 같다. BMW는 따로 음향연구실을 만들어서 BMW만의 색채를 가진 소리를 제작하고 있다. 차종별로 엔진에 가장 잘 어울리는 소리를 사전에 설정하고 실제 주행상황과 똑같은 시뮬레이션 시설에서 비교 작업을 반복한다. 그래서 차종에 부합하는 엔진음을 만들어 낸다.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 스포츠 GTS는 차량을 개발할 때 피아니스트와 작곡가의 자문을 받는다. 특히 저·고속의 주행상태에서 차량이 공기를 빨아들이고 내쉬는 소리를 악보에 그렸고 이를 종합해서 최적의 엔진 배기음을 만들었다. 운전자가스포츠 버튼을 누르면 평소와는 전혀 다른 우렁차고 특이한 배기음이 나온다. 중독성이 있는 소리다. 포르셰의 엔진 배기음은 음악처럼 감미롭다고 해서포르셰 노트라고 불린다. 노트(음표 또는 악보)라는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엔진음과 배기음을 단순 소음이 아니라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는 하나의 요소로 승화시켰다. 포르셰는 모든 차종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음색을 가지면서도 차량의 콘셉트에 따라 일부 음량은 조율했다. Panamera S의 배기음은 부드러운 발라드 가수와 같은 음색이라면 911은 로커와 같은 음색을 가졌다. 911 GT3는 좀 더 강해서 하드 로커의 울부짖는 소리를 표현했다.

 

 

 

 

 

지역별 소비자의 특성 고려해서 턴시그널음을

다르게 만든다

자동차의 작동음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선호하는 소리가 유사하다. 하지만 턴시그널음과 경고음 등 일부 작동음은 판매지역에 따라 선호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생활환경과 과거 경험에 따른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자동차 제작사들은 턴시그널음(방향지시등 소리)을 개발할 때 판매지역별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다. 독일인은 기계음의 턴시그널음을 가장 고급스럽다고 생각한다. 반면 한국인은 좀 더 부드럽고 덜 자극적인 소리를 선호한다.

 

경고음을 개발할 때는 인지성과 응답성, 재미, 브랜드 등을 고려한다. 경고음은 경고한다는 메시지 전달에 충실하면서도 듣는 사람들이 듣기 싫어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 또 이런 경고음의 소리 하나하나는 해당 브랜드의 특성을 잘 표현해야 한다. 문 닫는 소리나 선루프, 파워윈도 등의 작동음은 기계가 잘 작동하고 있다고 운전자가 느낄 수 있도록 정보도 전달해야 한다. 최근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EPB·Electric Parking Brake)은 스위치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장치다. 만일 작동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면 운전자가 스위치를 누른 뒤에도 주차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적절한 작동음이 발생해야 한다. 아우디의 차량들은 모든 스위치를 누를 때 마지막 순간에하는 소리가 발생한다. 이 소리를 싫어하는 소비자도 있을 수 있지만 아우디는하는 소리를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할 수 있는 소리의 요소로 이용한다. 현대자동차는 한 사람의 뛰어난 장인이 차를 모두 만든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차에서 발생하는 모든 차량음이 조화와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목표음을 설정하고 있다.

 

 

음식 씹는 소리까지 사운드마케팅을 적용하다

①영국 해러즈(Harrods)백화점의 사운드스케이프

시각적인 풍경을 영어로 ‘Landscape’라고 하듯이 시각적인 조화를 표현하는 어휘는 ‘Soundscape’. 영국 해러즈백화점은 140여 공간에 각기 적절한 소리를 제작해서 매장과 공간의 느낌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매장들은 서로 다른 배경음을 사용하고 시간대에 따라서 배경음이 바뀌기도 한다. 특히 장난감 코너에서는 상상을 이끌어 내는 배경음을 사용했다. 잘 만들어진 매장의 Soundscape가 판매량을 38%나 늘렸다는 보고도 있다.

 

②할리데이비슨의 배기음

할리데이비슨의 매력은 디자인, 사운드, 감흥이다. 특히 배기음은 심장을 두드리는 북소리다. ‘두둠! 두둠!’ 하고 이어지는 리듬감 넘치는 소리(미국에서는 Potato-Potato-Potato로 표현)는 청각뿐만 아니라 오감으로 느끼는 매력적인 배기음이다. 이런 배기음을 만들기 위해서 할리데이비슨의 엔진은 V 2기통을 공유하는 형식으로 이뤄져 있다. 그래서 기통 간의 폭발음이 약간 엇박자로 느껴진다. 특유의 엔진 소리는 소리의 상표권(Sound Trademark)에 대한 논의까지 만들었다. 상표권의 요건인업무에 관련된 상품을 타인의 상품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와 문자, 형상, 소리, 냄새 등에 해당된 것이다. 소리와 냄새처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것은 기호와 문자 등 시각적인 방법으로 표현돼야 한다. 또 일반적으로 들리는 소리여서는 안 된다. 인텔의 로고송처럼 그 소리만으로 구분되는 멜로디와 리듬을 가진 소리는 법적으로 보호를 받는다. 할리데이비슨의 소리 상표권은 V-Twin구조의 엔진을 사용하는 많은 경쟁자의 반박과 6년의 소송 끝에 할리데이비슨이 상표권 등록을 취하하는 것으로 끝났다. 하지만 사람들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는 없지만 할리데이비슨의 배기음을 할리데이비슨만의 브랜드라고 생각한다.

 

③켈로그의 시리얼 사운드

켈로그의 ‘Rice Krispies’ 시리얼은 우유와 씹을 때 나는 특유의 소리를 마케팅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켈로그는 광고 등에서 마케팅을 할 때 이 소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소비자들이 제품을 쉽게 기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조치다. 이 소리는 의성어로 표현되는데 해당 국가의 언어 특성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한다. (Snap! Crackle! Pop!(미국), Knisper! Knasper! Knusper!(독일), Pim! Pam! Pum!(멕시코))

 

④휴대전화 벨소리

애플 아이폰의 마림바 벨소리를 들으면 사람들은 쉽게 애플 제품이라고 생각한다. 아이폰의 벨소리 설정에서 마림바음은 가나다순이 아니라 기본 설정으로 가장 위에 있다. 애플은 이 소리를 아이폰을 상징하는 소리로 여기고 있다. 삼성은 갤럭시S 시리즈에서 브랜드 사운드인 ‘Over the horizon’을 기본 벨소리로 설정하고 있다. 그래서 고객의 귀에 각인시키고 있다. (Earconic) Over the horizon은 오케스트라 버전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노키아는 벨소리 제작과 노키아송 페스티벌(Nokia Song Festival)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서 자체 벨소리를 일관되게 사용했고 사운드 브랜드로 만들었다. 전 세계 소비자의 41%는 노키아의 휴대폰 소리를 듣고 노키아 브랜드를 떠올린다는 내용의 여론조사 결과도 있다.

 

브랜드에 감성적으로 부합하는 소리를 찾아라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리는 고객에게 정보와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요소다. 부품들이 맞부딪치며 내는 잡음과 과도한 주행 소음 등은 불만의 요소이지만 방향지시등 소리와 안전벨트 경고음, 주차 경보음 등은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엔진음은 엔진의 반응을 운전자에게 전달하고 차량과 회사의 이미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자동차의 소음은 계속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 제작업체들은 앞으로 고객의 감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섬세한 소리 개발과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 자동차의 소리개발은 진동소음 분야의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전자제어와 감성공학,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소음이 고객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소리로 바뀔 수 있다.

 

소리 마케팅에서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소리와 브랜드를 접목시켜야 한다. 기업의 이미지에 맞는 브랜드 사운드를 선정하고 개발해야 한다. 브랜드 사운드를 찾아냈다면 제품의 소리부터 광고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해서 고객이 브랜드 사운드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브랜드음에는 브랜드 뮤직과 브랜드 보이스, 소닉 로고, 제품 사운드 등이 있다. 브랜드 사운드가 고객에게 인식되려면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다. 꾸준하게 사운드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기억하기 쉽고 중독성이 있는 소리를 만드는 것 못지 않게 일관성 있게 브랜드 사운드를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다. 고객에게 어느 정도 브랜드 사운드가 자리를 잡았다면 다양한 유형의 사운드 변형을 만들어서 고객의 지루함을 덜 수 있다. 소리의 멜로디는 그대로 두고 편곡을 하면 된다. 끊임없이 고객에게 귀를 기울이는 것도 필요하다. 사운드 마케팅은 소리를 통해 고객과 소통하는 것이다. 같은 소리라도 지역에 따라 반응은 다를 수 있다. 한국에서 성공했더라도 다른 국가에서는 그 결과를 기대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사운드 마케팅에 앞서서 소리의 지역적인 적합성을 확인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사내에서 감성 전문가와 사운드 전문가를 키워야 한다. 많은 기업들이 사운드 마케팅을 위해서 외부 전문 인력을 활용한다. 하지만 소리 개발부터 마케팅, 기계공학, 감성공학 등의 모든 요소가 사운드 마케팅에 접목되려면 해당 브랜드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알고 있는 내부 전문가가 꼭 필요하다.

 

참고문헌

[1] 엔진음 신기술 http://www.tagstory.com/video/100474397

[2] 오감브랜딩 (마틴 린드스트롬)

[3] 감성음질을 디자인하라 (중앙일보 11.10.13)

[4] 소리로 타는차아날로그의 감성을 느끼다’ Danawa.com

[5] Autobild No.35, Sep.2010

[6] Harrods’ Toy Kingdom Soundscape http://vimeo.com/61722233

[7] http://en.wikipedia.org/wiki/Sound_trademark

[8] 캘로그 crspy sound : https://en.wikipedia.org/wiki/Rice_Krispies

http://www.youtube.com/watch?v=aKWcBCL8T6U, http://www.youtube.com/watch?v=T13nK_REHWw&NR=1&feature=endscreen

[9] Sound Business by Julian Treasure

 

 

 

박동철 현대자동차 연구위원 dc.park@hyundai.com

필자는 서울대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자동차 진동소음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소음진동공학회와 대한기계학회 이사도 맡고 있다. 현재 현대자동차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심리음향과 소비자분석, 청음, 브랜드마케팅 등을 고려한 자동차 사운드 개발 전략과 구현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