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老壯에게 배우는 경영

말이 많으면 궁색해지고
객관성을 유지하기 힘들다

안병민 | 293호 (2020년 3월 Issue 2)
세상만사, 변화가 상수(常數)입니다. 열흘 붉은 꽃 없듯 달도 차면 기우는 법입니다. 변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상황과 맥락이 바뀌면 정답도 달라지게 마련입니다. 그러니 세상 변화를 있는 그대로 담담히 받아들이면 될 일입니다. 그게 ‘변화에 맞춤하는 새로운 정답을 찾아가는’, 혁신으로의 길입니다.

그럼에도 변화를 부정하고, 외면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제’의 이론으로 ‘오늘’을 평가하고 ‘내일’을 재단합니다. 견강부회(牽强附會)입니다. 음(陰)과 양(陽), 유(有)와 무(無), 공(空)과 색(色)을 오가며 순환하는 세상의 유연함에 역행하는 일입니다. 내가 갖고 있는 고루한 잣대 때문입니다. 세상 변화를 담아내지 못하는 죽은 잣대를 들이대니 들어맞질 않습니다. 내 눈을 가리고 내 귀를 막는, 지식과 경험의 완고한 굴레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입니다.

‘리더(leader)’는 앞서서 이끄는 사람. 세간의 정의입니다. 그래서인지 수많은 리더가 자꾸 앞장서서 이끌려고 합니다. 하지만 ‘작위(作爲)’입니다. 작위는 의식적으로 행하는 적극적인 행위입니다. 의식이 개입되니 ‘나(我)’가 들어갑니다. ‘나’는 주관적입니다. 객관적일 수 없는 존재입니다. 리더 개인의 가치와 경험이 리더십의 표준으로 올라섭니다. ‘맞고 틀림’과 ‘낫고 못함’의 기준이 모두 리더 자신의 것입니다. 그러니 자꾸 엇박자가 납니다. 무심(無心)히 변화하는 세상과 들어맞질 않는 겁니다.

노자는 ‘천지불인(天地不仁)’ ‘성인불인(聖人不仁)’이라 했습니다. 천지와 성인이 인자하지 않다? 요령부득의 이 문구, 나중에야 깨달았습니다. 노자의 눈에는 ‘인(仁)’ 역시 또 하나의 작위적 가치였음을. 요컨대, 작위에 의한 주관적 시선을 탈피하라는 의미였습니다. 작디작은 나의 기준을 내려놓고 크디큰 자연의 섭리에 눈을 뜨라는 가르침이었습니다. 편애 없이 불편부당하라는 일갈이었습니다. 보편타당한 객관성을 향해 치열하게 나아가라는 의미로 노자는 ‘천지불인’ ‘성인불인’이란 표현을 썼던 겁니다.

이를테면, 여우가 토끼를 잡아먹는 것은 우리 눈에 나쁜 일입니다. 하지만 그 여우가 먹여 살려야 할 새끼들을 보게 되면? 잔인하기 짝이 없던 여우에게도 눈물 나는 모성이 있음을 그제야 알게 됩니다. 주관을 배제하니 평면의 세상이 비로소 입체로 보입니다. 호연(浩然)한 자연의 운행 원리를, 알량한 나의 기준으로 재고 자르고 있었던 겁니다.

143


LG생활건강의 차석용 부회장에게서 ‘불인’의 실례를 봅니다. 차 부회장은 직원들과 점심 식사를 함께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매일 돌아가며 직원들과 밥을 먹는다 해도 1만 명이 넘는 직원 중 극히 일부하고만 밥을 먹게 되는 셈인데요. 함께 밥을 먹다 보면 이런저런 정(情)과 연(緣)에 이끌려 객관적인 상황 판단과 의사결정이 힘들어진다는 겁니다. 합리와 공정으로 곧추선 조직을 만들기 위한 나름의 노력입니다. 이 때문만은 아니겠지만 그가 리드한 근 15년 세월 동안, LG생건의 매출은 1조 원에서 7조 원으로, 영업이익은 600억 원에서 1조 원으로 수직상승했습니다.

『도덕경』 5장에는 ‘천지불인’ ‘성인불인’에 이어 ‘다언삭궁 불여수중(多言數窮 不如守中)’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말(言)’이 많아지면 자주 궁색해지고, ‘비어 있음(中)’, 즉 객관성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뜻입니다. 말은 ‘구분’의 도구입니다. 뭔가를 억지로 정의하고 구분하고 재단하려 하면 지금 여기, 눈앞에서 벌어지는 변화를 온전히 포용할 수 없습니다. 변화는 ‘옳으냐, 그르냐’ 가치 판단의 문제가 아닙니다. 혁신으로 껴안아야 할 미래적 화두입니다.

노자는 풀무를 보며 ‘비어 있지만 그 작용은 끝이 없다(虛而不屈, 허이불굴)’라고 표현했습니다. 속은 텅 비어 있지만 풀무가 일으키는 바람으로 불꽃은 활활 타오릅니다. 나를 비우고 나를 버리니 더 커지는, 풀무의 리더십입니다. 창의혁신의 리더가 되고 싶다? ‘다언(多言, 작위적 가치 판단과 주장)’을 삼가고 ‘불인(不仁, 객관과 공정)’을 좇을 일입니다. 채움이 아니라 비움, 올려 세움이 아니라 내려놓음입니다.


안병민 열린비즈랩 대표(facebook.com/minoppa)
필자는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헬싱키경제대에서 MBA를 마쳤다. 대홍기획 마케팅전략연구소, 다음커뮤니케이션과 다음다이렉트손해보험의 마케팅본부를 거쳐 휴넷의 마케팅이사(CMO)로 고객행복 관리에 열정을 쏟았다. 지금은 열린비즈랩 대표로 경영혁신•마케팅•리더십에 대한 연구•강의와 자문•집필 활동에 열심이다. 저서로 『마케팅 리스타트』 『경영일탈-정답은 많다』 『그래서 캐주얼』, 감수서로 『샤오미처럼』이 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