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인재 유출 불가피하다면 긍정적 효과로 유도해야 外

류주한,김진욱,강신형 | 253호 (2018년 7월 Issue 2)

Strategy
인재 유출 불가피하다면 긍정적 효과로 유도해야

Based on "Let them go? How losing employees to competitors can enhance firm status" by David Tan and Vhristopher I. Rider,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017, 38, pp.1848-1874.

무엇을, 왜 연구했나?
인적자원은 기업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다. 인재 확보를 위한 기업 간 경쟁은 거의 전쟁수준이다. 글로벌 기업의 경영진은 최고의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서라면 어디든 달려간다. 그런데 애써 확보하고 육성한 핵심 인재들이 경쟁사로 이직한다면 해당 기업으로선 커다란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최근 중국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체들의 한국 핵심 첨단 기술 인력 빼가기가 극에 치닫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같은 미래 먹거리 산업에서도 우리의 핵심 인력들에게 고액 연봉을 제시하며 흡수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중국 업체로 이직한 이들이 한중 간 기술 격차를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니 씁쓸함을 금할 수 없다. 이를 막을 방법은 없는 것인가?

무한경쟁시대에 안정된 직장도 사라져가고 개인의 역량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보니 기업 간 인력 이동도 더욱 빈번해졌다. 인재 유출은 우리나라, 우리 기업만의 문제는 아니다. 자신의 가치를 추구하며 더 나은 보장을 찾아 떠나는 인재들을 잡기도 쉽지 않다. 최근 미국의 한 연구진은 자사의 핵심 인재들이 경쟁사 등으로 빠져나간다 하더라도 그리 나쁠 건 없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끌고 있다. 인재 유출로 당장은 경제적 기술적 손실이 뒤따르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다 상쇄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다만 몇 가지 조건이 뒤따른다. 인재 유출이 심각한 우리의 상황을 비춰볼 때 이 연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필 필요가 있다.

무엇을 발견했나?
이 연구진은 핵심 인재가 경쟁사 등으로 이직하거나 유출되는 것이 기업에 정말 치명적인 해를 가하는지를 연구했다. 부정적 효과야 언급할 나위가 없지만 이직한 인력과의 새로운 관계 형성, 이를 통한 지식의 재유입, 노동시장의 유동성 확보 등 긍정적 효과도 얼마든지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무엇보다도 인력 유출이 그 회사가 산업 내에서 핵심적 위치라는 것을 반증하는 명성효과를 가져와 더 뛰어난 인재를 영입하는 데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경쟁사 간 핵심 인력 유출과 이직이 극심한 미국의 법률자문회사 상위 200곳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핵심 법조인의 이직, 유출 등이 회사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조사했다. 연구 결과 경쟁사 간 직원 이직과 유출은 해당 회사의 활동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고 회사의 명성을 오히려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다만 이직한 직원이 해당 회사보다 더 나은 회사로 옮기거나 더 높은 지위로 승진한 경우에만 명성효과, 새로운 아이디어와 인재 유입 등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줬는가?
기업 간 상호작용, 교류가 어느 때보다 빈번한 요즘, 핵심 인재의 이직이나 유출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이를 막을 방법도 없다. 연구 결과가 보여주듯 경우에 따라 인재 유출이 오히려 긍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으니 이에 따른 잠재적 손실을 줄이는 방안도 얼마든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역량 있는 중소기업 또는 해외 우수 기업 인재들이 오고 싶어 하는 선도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 우수 인재라면 파격적으로 대우해 이것이 시장과 업계에 퍼지게 해야 인재 유출의 리스크를 줄이고 오히려 더 많은 인재를 유인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타 회사로 이직한 직원들과도 관계를 유지하고, 경쟁회사의 인재를 역으로 영입하려는 적극적인 사고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핵심 인재들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이고,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를 제대로 파악해야 정확한 대응방안도 마련될 것이다.


필자소개 
류주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jhryoo@hanyang.ac.kr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유치, 해외직접투자실무 및 IR, 정책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 바 있으며 국내외 학술저널 등에 기술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PMI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Accounting & Finance
기업 내 공인 사내이사 신뢰성-투명성 높여줘

Based on “Are All Inside Directors the Same? Evidence from the External Directorship Market“ by Ronald W. Masulis and Shawn Mobbs in The Journal of Finance (2011), 66(3), pp. 823-872.

무엇을, 왜 연구했나?
이사회는 기업의 주요 경영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경영진을 감독하는 조직이다. 동시에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 과정에 전문적 역량을 제공하는 자문 역할도 수행한다. 이렇듯 이사회의 효율적인 운영은 기업가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그만큼 이사회를 잘 구성하는 문제는 기업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이사회의 규모 및 독립성에 큰 관심을 뒀다. 특히 경영진으로부터 외형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독립성을 보유한 사외이사들의 감독 기능에 집중했다. 반면 사내이사의 기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모든 사내이사는 동일하다’는 다소 비현실적인 가정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우스웨일스대와 앨라배마대 공동연구팀은 그동안 연구에서 간과했던 사내이사에 초점을 맞췄다. 사내이사들의 타 기업 사외이사 겸직 여부를 통해 사내이사들의 차별적 가치를 연구한 것이다. 연구진은 타 기업 사외이사를 겸직하고 있는 사내이사들을 ‘공인 사내이사(certified inside directors)’로 이름 붙였다. 외부 임원 노동시장(labor market for directors)에서 그 능력을 인정받았다는 의미에서다. 연구팀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공인 사내이사들이 기업에서 특별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장했다.

첫째, 외부 임원 노동시장에서 각 기업 사내이사들의 가치는 자신이 소속된 기업에서 내부 의사결정자로서 보여준 경영 능력을 바탕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공인 사내이사들은 자기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가까워서 그 자리에 앉아 있다고 보긴 어렵다.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둘째, 대부분 공인된 사내이사는 경영능력뿐만 아니라 외부 덕망을 가진 자들이다. 사외이사로 겸직하기 위해선 회사 내에서 실력을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에서도 사외이사직을 제안받을 만큼 평판과 실력을 겸비해야 한다. 그래서 이들은 현 CEO의 강력한 후임자로 인식된다. 이 경우 공인 사내이사는 소속된 기업 CEO가 보다 더 좋은 경영 실적을 쌓도록 강력한 동기를 부여할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사외이사직으로 외부 활동이 늘어나고, 많은 사람을 만나면서 임원 개인의 좋은 평가를 확산해 나갈 수 있다. 이 때문에 공인된 사내이사들은 이직과 같은 좋은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만큼 자신이 소속된 기업 CEO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보다 객관적인 위치에서 기업을 바라보고 기업 가치를 증가시키는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촉구할 수 있다.

무엇을 발견했나?
연구팀은 1997년부터 2006년까지 S&P 1500 기업의 8742개의 사내이사직에 대해 분석했다. 타 기업의 사외이사를 겸직하는 사내이사, 즉 공인 사내이사는 875개로 전체 표본의 10% 정도였다. 연구팀이 가장 먼저 던진 질문은 공인 사내이사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였다. 실증분석 결과, 이들 기업은 CEO의 영향력이 낮으며, 성장 기회를 가지고 있고, 복잡한 사업구조를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즉, 투자 기회가 많으며 정보 비대칭이 높은 기업들의 경우 공인 사내이사를 통해 이사회 운영의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공인 사내이사들이 기업 성과와 기업 가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여러 가지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인 사내이사를 가진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자산수익률이 132bp(1bp는 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기업들의 평균 자산이 54억5000만 달러라는 점을 감안하면 공인 사내이사를 가진 기업들의 영업현금흐름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매년 7200만 달러(790억 원) 더 높다는 것이다. 두 번째, 경영진이 기업의 순자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기업을 성장시키는 정도의 척도로 사용되는 자본의 시가-장부가 비율(market-to-book ratio)은 공인 사내이사를 가진 기업들에서 8.8%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인 사내이사가 있는 기업들이 M&A 발표를 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시장의 반응(발표일 전후 5일 비정상수익률)이 163bp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공인 사내이사를 가진 기업들은 재무제표를 재작성할 확률이 유의하게 낮을 뿐 아니라 재작성한 경우에도 고의적인 왜곡표시로 인한 것이 아니었다. 수정 전과 후의 금액 차이도 적었다.

그렇다면 실제로 사내이사의 타 기업 사외이사 겸직에 대해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응할까? 기업의 사내이사가 타 기업의 사외이사로 선임되는 경우, 우리 기업에 쏟았던 이들의 시간, 활동 및 주의는 아무래도 줄어들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내이사의 타 기업 사외이사 겸직에 대한 뉴스에 시장은 0.84%의 비정상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기업들의 평균 시가총액이 84억 달러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뉴스가 기업의 가치를 7060만 달러(776억 원)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공인 사내이사가 두 번째 사외이사직을 수락할 때는 비정상수익률의 크기가 낮아지며, 세 번째 이상의 사외이사직을 수락하는 경우에는 비정상수익률이 음(-)의 값을 보인다는 것이다. 즉, 주식시장 또한 과도한 업무를 수행하는 공인 사내이사는 이사로서의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인 사내이사들은 이사회 의사결정(예: M&A 및 투자의사결정)의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경영자의 감시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해 대리인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기업가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연일 지적되고 있는 국내 경영계에 던지는 시사점도 크다. 기업의 경우 외부로부터 경영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 받고 있는 사내 이사들을 재평가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동시에 투자자들은 기업 내 공인 사내이사 존재 여부를 해당 기업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평가해보는 하나의 잣대로 활용할 수 있다.


필자 소개
김진욱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jinkim@konkuk.ac.kr
필자는 건국대와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경영학과 회계학을 전공하고, Cornell University에서 통계학 석사 학위를, University of Oregon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Rutgers University 경영대학 교수와 금융감독원 회계제도실 자문교수를 역임했다. 2013년부터는 건국대 경영대학에서 회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 IFRS 17(新보험회계기준) 적용지원 TF 위원과 송파세무서 국세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자본시장, 회계감사 및 조세회피다.



Entrepreneurship
신생기업도 기회주의적 대기업과는 협업 꺼려


Based on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Links, Social Ties, and Incumbent Firm Opportunistic Propensity on the Formation of Corporate Venture Capital Deals”, by Ji Youn Kim, H. Kevin Steensma, and Haemin Dennis Park in Journal of Management, Forthcoming.

무엇을, 왜 연구했나?
신생 기업은 개발한 기술을 제품으로 상업화하기 위해 대기업과 협력한다. 특히, 기술 관련성이 높은 대기업과 협력하는 것이 상업화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 기술 관련성이 높으면 상업화 과정에서 중요한 개발, 생산, 유통 등의 보완적 자산과의 정합성(整合性)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술 관련성이 높은 대기업과 협력하는 것이 신생기업 입장에서 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대기업이 벤처 투자 등을 통해 신생 기업과 협력하는 주된 이유는 혁신적인 기술을 경쟁사보다 먼저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기술 관련성이 높을수록 대기업은 자신의 전략적 목적을 위해 신생기업의 기술을 모방하거나 유용하려는 동기와 흡수 역량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생 기업 입장에서 가장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 관련성이 높은 대기업은 아이러니하게 가장 위험한 협력 파트너인 셈이다. 그렇다면 신생 기업은 대기업의 이런 기회주의적 성향을 사전에 어떻게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을까? 워싱턴대 스틴스마(Steensma) 교수와 연구팀이 살펴봤다.

무엇을 발견했나?
연구팀은 신생 기업이 어느 대기업으로부터 벤처투자를 받는지를 살펴봤다. 신생 기업이 대기업과 협력하는 방법 중 하나가 해당 기업의 기업벤처캐피털(corporate venture capital, CVC)로부터 벤처투자를 유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술 관련성은 신생 기업과 잠재적 협력 가능성이 높은 대기업 간의 특허 인용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했다. 대기업의 기회주의적 성향을 가늠하기 위해 특허침해소송 자료를 활용했으며 대기업과 벤처기업 간의 사회적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창업가의 경력 자료와 벤처캐피털 투자 자료를 활용했다.
실증 분석 결과, 신생 기업은 기술 관련성이 높더라도 기회주의적 성향이 높은 대기업과는 협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관련성이 높으면 신생 기업의 상업화 측면에서 도움이 되지만 자신의 기술이 대기업에 유출될 가능성 역시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회주의적 성향이 높은 대기업은 기술 관련성의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욱 부각되므로 신생 기업은 이들과의 협력을 꺼린다.
그렇다면 신생 기업은 대기업의 기회주의적 성향을 어떻게 사전에 파악할 수 있을까? 연구 결과, 신생 기업은 대기업의 기회주의적 성향을 알기 위해 자신의 직·간접적 사회적 관계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 사회적 관계는 학연·지연 등 개인적인 인맥을 이용하거나 창업 전 다니던 회사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식이다. 간접적 사회적 관계를 다양하지만 예를 들자면 신생 기업에 투자한 벤처캐피털(VC)을 통해 해당 회사의 평판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신생 기업은 특정 대기업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해당 대기업과의 기술 관련성이 아무리 높더라도 기회주의적 성향이 높다면 협력 관계를 맺지 않았다. 반면, 사회적 관계가 부재한 경우에는 대상 대기업의 기회주의적 성향이 높더라도 기술 관련성이 높으면 협력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생 기업과 잠재적 협력 파트너 간의 사회적 관계 존재 유무가 해당 파트너의 기회주의적 성향을 사전에 판별하는 데 중요함을 의미한다. 기회주의적 성향 같은 파트너에 대한 암묵적 정보는 사회적 관계를 통해서만 입수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가어떤 교훈을 주나?
신생 기업의 성공은 자신이 개발한 혁신적인 기술을 어떻게 상업화하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성공적인 상업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업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신생 기업이 대기업과 협력하는 경우 대기업의 기회주의적 행동으로 인해 협력의 득보다 실이 커지는 경우가 종종 목격된다. 핵심은 기회주의적 성향이 높은 파트너를 사전에 판별해서 걸러내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신생 기업이 지닌 사회적 관계, 더 나아가서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사회적 자본이 풍부한 신생 기업일수록 더 나은 협력 파트너를 찾을 수 있으며 덩달아 성공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 
강신형 KAIST 경영공학 박사 david.kang98@gmail.com
필자는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경영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LG전자 본사 전략기획팀에서 신사업기획, M&A, J/V 등의 업무를 수행한 바 있으며 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에서도 근무했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경영혁신으로 개방형 혁신, 기업벤처캐피털(CVC) 등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했다.

  • 류주한 류주한 |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 유치, 해외 직접투자 실무 및 IR, 정책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국내외 학술 저널 등에 기술 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비시장 전략, PMI, 그린 공급망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jhryoo@hanyang.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김진욱 김진욱 |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건국대와 오하이오주립대에서 경영학과 회계학을 전공하고 코넬대에서 통계학 석사, 오리건대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럿거스(Rutgers)대 경영대 교수, 금융감독원 회계제도실 자문교수 및 기획재정부 공기업 평가위원을 역임했으며 2013년부터 건국대 경영대학에서 회계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 한국회계학회 부회장, 한국거래소 기술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자본시장, 회계 감사 및 인수합병(M&A)이다.
    jinkim@konkuk.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강신형 | 충남대 경영학부 조교수
    sh.kang@cnu.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